▐ 阿利那禮河는 熊津江이 熊+津+江으로 분해되는 것처럼 阿利+那禮+河로 분해될 수 있다.
① 阿利는 娥利英井이 閼英井으로도 표기된 것처럼 閼로 표기될 수 있다. →閼那禮河
② 那禮는 久麻那利의 那利처럼 나루를 음차한 것으로, 熊津江을 熊川으로도 표기한 것처럼 생략될 수 있다. →閼川
③ 阿利는 지명 阿利那禮河와 인명 阿利斯等으로 나타나고 閼은 지명 閼川과 인명 閼智로 나타난다. 이러한 阿利·閼의 뜻으로는 알(egg)이 있을 수 있다.
...
솔직히 까놓고 말하는 역사
•
0720 日本書紀 久麻那利
천황이 백제가 고려에게 패배했음을 듣고 久麻那利를 문주왕에게 주어 그 나라를 구원해 일으키게 하였다. 당시 사람들이 모두 “백제국은 비록 거의 망해 창하에 모여 근심하고 있으나, 실로 천황에게 의지하여 다시 그 나라를 만들게 되었다”고 하였다. 문주왕은 개로왕의 동생이다. 일본구기에서는 “久麻那利를 말다왕에게 주었다”고 하였는데, 아마도 잘못일 것이다.
❶ 久麻那利는 熊津으로 어울리고 그렇다면 久麻와 那利는 각각 곰과 나루를 음차한 것이다.
29395#26777
SIBLINGS
CHILDREN
26777
•
0720 日本書紀 阿利那禮河
非東日更出西 且除阿利那禮河返以之逆流 及河石昇爲星辰 而殊闕春秋之朝 怠廢梳鞭之貢 天神地祇 共討焉
“동쪽에서 떠오른 해가 서쪽에서 떠오르는 일이 없는 한, 또 アリナレイ강이 역류하고 강의 돌이 하늘에 올라가 별이 되는 일이 없는 한, 춘추로 조공을 거르거나 태만하여 말빗과 말채찍을 바치지 않는다면, 천신지기여, 벌을 주십시오.”
29395#8670
SIBLINGS
CHILDREN
8670
•
1145 三國史記 閼川(22)
❻ 삼국사기에는 혁거세가 閼川 양산촌의 나정에서 알로 태어났다고 한다.
그렇다면 閼川이란 이름은 알에서 나왔을 가능성이 생긴다.
또 나정은 지금의 형산강과 남산 사이에 있으므로 그 閼川은 지금의 형산강일 가능성도 생긴다.
삼국사기에 나오는 신라 하천의 범람 기록이 모두 閼川의 범람 기록인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
경주 하천의 주류는 형산강인데, 이 형산강의 범람 기록이 빠졌을 리 없기 때문이다.
29395#15522
SIBLINGS
CHILDREN
15522
•
1281 三國遺事 閼智(9)
❼ 삼국사기에는 及長聦明多智略乃名閼智(자라면서 총명하고 지략이 많아 이름을 알지라 했다)고 하고 삼국유사에는 閼智即郷言小兒之稱也(알지는 우리말로 어린아이를 일컫는 말이다)고 하였다. 그러나 閼川 양산촌에서 혁거세가 알에서 나왔다고 하고, 智는 신라인의 인명에 붙는 접미사이므로, 閼智는 알과 같은 금궤에서 나왔다고 해서 붙인 이름일 수 있다.
29395#33772
SIBLINGS
CHILDREN
33772
•
阿利那禮河·閼川
낙동강 물길에서 금호강을 따라 올라온 뒤 다시 대천을 따라 내려가면 형산강과 만난다.
이곳에 나루가 있었고 나루를 건너면 楊山 아래에 蘿井이 있었는데, 그 우물에서 혁거세가 알에서 나왔기 때문에 나루의 이름을 알나루라 하였다.
그리고 그 나루를 지나는 물길을 阿利那禮河 또는 閼川이라 했다.
29395#26783
SIBLINGS
CHILDREN
26783
•
알
현대 국어 ‘알’의 옛말 ‘앓’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앓’은 모음이나 ‘ㄱ, ㄷ’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끝소리 ‘ㅎ’이 나타나지만, 그 밖의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이나 단독으로 쓰일 때는 ‘ㅎ’이 탈락하는 ‘ㅎ종성체언’으로 ‘앓/알’의 이형태 교체를 보였다.
29395#33777
SIBLINGS
CHILDREN
337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