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la > 0676 ☴ 新羅 > (1) 한중일동조론 > 한반도에 백인이 살았나? > 서역인

역사 시대에 들어와 서역인이 한국으로 흘러들어오는 경우는 드물지만 있기는 있었다. 그러나 선사 시대의 인골에서 나타나는 코카서스 인종의 비율은 역사 시대에서 확인되는 정도의 유입을 크게 웃돈다.
 
0475± 고려 각저총 씨름도
0475± 고려 각저총 씨름도
왼쪽에 있는 사람은 이목구비로 보아 서역인으로 추정된다. 고려는 코카서스 인종이 섞여 있는 북방 유목 민족들과 접해 있었기 때문에 코카서스 인종이 고려에 오는 일은 아주 드물지는 않았을 것이다.
10746#1308 SIBLINGS CHILDREN 1308
 
Name Dictionary
Names are also vocabulary.
 
0798± 新羅 원성왕릉(괘릉) 1
0798± 新羅 원성왕릉(괘릉) 1
왼쪽 문신의 얼굴은 편평하고 가는 눈을 하고 있어 전형적인 동북아인의 얼굴 모습을 하고 있다. 가운데 사람은 동북아인과 달리 눈이 부리부리하고 구레나룻이 발달하였으나 얼굴은 동북아인처럼 편평하다. 오른쪽의 무인은 눈 주위가 움푹 들어가 있고 구레나룻이 발달하여 서역인처럼 보인다.
10746#10745 SIBLINGS CHILDREN 10745
 
0798± 新羅 원성왕릉(괘릉) 2
0798± 新羅 원성왕릉(괘릉) 2
두 무인의 모습은 석굴암의 금강역사처럼 불교 미술의 영향을 받은 결과일 뿐 서역인을 보고 조각한 것이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 서역인이 신라로 왔다면 상인으로 왔을 것이지 무사로 왔을 리는 없다는 이유도 제시된다. 그러나 왜 두 무사가 대칭을 이루지 않고 이목구비가 서로 다른 지는 풀어야 할 숙제다.
10746#1337 SIBLINGS CHILDREN 13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