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la > 0369 七國 > 安羅┆阿尸良

삼국사기에는 신라가 阿尸良國을 멸망시키고 咸安郡으로 바꾸었다고 하는데, 尸는 阿尸兮가 安賢이 된 것처럼 ㄴ으로 바뀐 사례가 몇 있고 良은 加羅가 加良으로도 불린 것처럼 羅와 같은 말로 쓰인 사례가 몇 있으므로, 阿尸良은 곧 安羅이고 함안에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Military Dictionary
Aircrafts, tanks, missiles, ...
 
0289 三國志(三國志 晉·陳壽)
有已柢國 不斯國 弁辰彌離彌凍國 弁辰接塗國 勤耆國 難彌離彌凍國 弁辰古資彌凍國 弁辰古淳是國 冉奚國 弁辰半路國 弁樂奴國 軍彌國 弁軍彌國 弁辰彌烏邪馬國 如湛國 弁辰甘路國 戶路國 州鮮國 馬延國 弁辰狗邪國 弁辰走漕馬國 弁辰安邪(안야)國 弁辰瀆盧國 斯盧國 優中國 弁辰韓合二十四國 大國四五千家 小國六七百家 總四五萬戶
7247#41745 SIBLINGS CHILDREN COMMENT 41745
 
0369 왜의 7국 4읍 정복
0369 왜의 7국 4읍 정복
7247#201 SIBLINGS CHILDREN COMMENT 201
 
0369.03(<-249) 日本書紀(720)
... 함께 탁순국에 모여 신라를 격파하고, 비자발‧남가라‧녹국‧安羅‧다라‧탁순‧가라의 7국을 평정하였다.
7247#40201 SIBLINGS CHILDREN COMMENT 40201
 
0400 廣開土王陵碑(414)
왕이 보병과 기병 도합 5만 명을 보내어 신라를 구원하게 하였다. 남거성을 거쳐 신라성에 이르니, 그곳에 왜군이 가득하였다. 관군이 막 도착하니 왜적이 퇴각하였다. 그 뒤를 급히 추격하여 임나가라의 종발성에 이르니 성이 곧 항복하였다. 안라(安羅)인 수병 … 신라성 ▨성 … 하였고, 왜구가 크게 무너졌다.
7247#40202 SIBLINGS CHILDREN COMMENT 40202
 
0513.11 日本書紀(720)
조정에서 백제의 저미문귀 장군과 사라의 문득지, 安羅의 신이해와 분파위좌, 반파의 기전해와 죽문지 등을 불러놓고 은칙을 선포하여 기문과 체사를 백제국에 주었다.
7247#40290 SIBLINGS CHILDREN COMMENT 40290
 
0529.03 日本書紀(720)
근강모야신을 安羅에 사신으로 보내어 명령을 내려 신라에게 남가라와 녹기탄을 다시 세우도록 권하게 하였다. 백제는 장군 군이귀와 마나갑배·마로 등을 보내어 안라에 가서 조칙을 받게 했다. 신라는 번국의 관가를 없앤 것이 두려워서 대인을 보내지 않고 부지내바례와 해내마례 등을 보내어 안라에 가서 조칙을 듣게 했다. 이에 안라는 새로이 높은 당을 세워서 칙사를 오르게 하고 국주는 그 뒤를 따라 계단을 올라갔다.
7247#40291 SIBLINGS CHILDREN COMMENT 40291
 
0531.03 日本書紀(720)
군대가 나아가서 安羅에 이르러 걸탁성을 쌓았다.
7247#40292 SIBLINGS CHILDREN COMMENT 40292
 
0541.04 日本書紀(720)
安羅의 차한기 이탄해·대불손·구취유리 등과 가라의 상수위 고전해, 졸마의 한기, 산반해의 한기의 아들, 다라의 하한기 이타, 사이기의 한기의 아들, 자타의 한기 등이 임나의 일본부의 길비신과 더불어 백제에 가서 함께 조칙을 들었다.
7247#40293 SIBLINGS CHILDREN COMMENT 40293
 
0541.07 日本書紀(720)
백제는 安羅의 일본부가 신라와 더불어 계책을 공모한다는 말을 듣고, 전부 내솔 비리막고, 내솔 선문, 중부 내솔 목례미순, 기신 내솔 미마사 등을 보내 안라에 가서 신라에 온 임나의 집사를 불러 임나를 세울 것을 도모하게 하였다. 따로 안라 일본부의 하내직이 신라와 공모한 것을 심하게 꾸짖었다.
7247#40294 SIBLINGS CHILDREN COMMENT 40294
 
0543.12 日本書紀(720)
백제의 성명왕이 다시 앞서의 조서를 군신들에게 널리 보이며, “천황의 조칙이 이와 같으니, 어떻게 하여야 하겠는가”라고 말하였다. "하내직·이나사·마도 등이 여전히 安羅에 있게 되면 아마도 임나는 세우기 어려울 것입니다. 그러므로 아울러 표를 올려 본처로 옮겨달라고 구하십시오”라고 대답하였다.
7247#40295 SIBLINGS CHILDREN COMMENT 40295
 
0544.03 日本書紀(720)
무릇 임나는 安羅를 형으로 삼아 오직 그 뜻을 좇고, 안라인들은 일본부를 하늘로 삼아 오직 그 뜻을 따르므로 이제 적신·길비신·하내사 등은 모두 이나사·마도의 지휘를 좇았을 따름입니다. 이나사·마도는 비록 소가의 미천한 자이나 일본부의 정치를 오로지 제멋대로 하며 또 임나를 제압하여 막고 보내지 않았습니다.
7247#40297 SIBLINGS CHILDREN COMMENT 40297
 
0544.11 日本書紀(720)
가만히 듣건대 신라·安羅 두 나라 사이에는 큰 강이 있어 적을 방비하기 좋은 곳이라 한다.
7247#40298 SIBLINGS CHILDREN COMMENT 40298
 
0544.11※
0544.11※
7247#25815 SIBLINGS CHILDREN 25815
 
0548.04 日本書紀(720)
백제가 중부 간솔 약엽래 등을 보내어 “마진성의 전투에서 사로잡은 포로가 ‘安羅국과 일본부가 불러 들여 벌줄 것을 권했기 때문이다’라고 말하였는데, 사정으로 미루어 상황을 보더라도 진실로 서로 비슷합니다."
7247#40299 SIBLINGS CHILDREN COMMENT 40299
 
0552.05 日本書紀(720)
백제·가라·安羅가 중부 덕솔 목례금돈·하내부 아사비다 등을 보내어 “고려가 신라와 화친하고 세력을 합쳐 신의 나라와 임나를 멸하려고 도모합니다. 그러므로 삼가 구원병을 청해 먼저 불시에 공격하고자 합니다. 군사의 많고 적음은 천황의 명령에 따르겠습니다”라고 아뢰었다.
7247#40289 SIBLINGS CHILDREN COMMENT 40289
 
0553.08 日本書紀(720)
‘백제와 임나가 자주 일본에 나아가니, 생각건대 군사를 빌려 우리나라를 치려는 듯하다. 이 일이 만약 사실이라면 나라의 패망은 발꿈치를 들고 기다리는 것과 같을 것이다. 일본의 군대가 떠나기 전에 安羅를 공격해 빼앗아 일본과의 통로를 끊자’
7247#40288 SIBLINGS CHILDREN COMMENT 40288
 
0554 관산성 전투
0554 관산성 전투
7247#210 SIBLINGS CHILDREN COMMENT 210
 
0554.12 日本書紀(720)
백제가 하부의 간솔 문사간노를 보내 표를 올려 “백제왕 신 명(성왕)과 安羅에 있는 왜신들, 임나 여러 나라의 한기들은 아룁니다. 사라가 무도하여 천황을 두려워하지 않고 박(고려)과 마음을 함께 하여 바다 북쪽의 미이거(관가)를 멸망시키려고 합니다."
7247#40258 SIBLINGS CHILDREN COMMENT 40258
 
0562.01 日本書紀(720)
통틀어 말하면 임나이고, 개별적으로 말하면 가라국, 安羅국, 사이기국, 다라국, 졸마국, 고차국, 자타국, 산반하국, 걸찬국, 염례국 등 모두 열 나라이다.
7247#39235 SIBLINGS CHILDREN COMMENT 39235
 
0600 日本書紀(720)
이에 신라왕이 두려워하여 흰 기를 들고 장군의 깃발 아래에 이르러 서서 다다라·소나라·불지귀·위타·남가라·아라라 多多羅·素奈羅·弗知鬼·委陀·南迦羅·阿羅羅 6성을 떼어 주며 항복을 청하였다.
7247#31893 SIBLINGS CHILDREN COMMENT 31893
 
1145 三國史記
咸安郡 法興王以大兵 滅阿尸良國 一云阿郡加耶 以其地爲郡 함안군은 법흥왕이 큰 병사로써 아시량국(아나가야라고도 이른다)을 멸하고 그 땅으로써 군을 두었다. ▐ 尸는 阿尸兮가 安賢이 된 것처럼 ㄴ으로 바뀐 사례가 몇 있고 良은 加羅가 加良으로도 불린 것처럼 羅와 같은 말로 쓰인 사례가 몇 있으므로 阿尸良은 곧 安羅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법흥왕은 540년에 죽었고 안라는 그 이후에도 계속해서 일본서기에 등장한다.
7247#12625 SIBLINGS CHILDREN COMMENT 12625
 
1145 三國史記※
車竹以南 - 盧·邪→羅·奈→那·耶·良(나라)
7247#29559 SIBLINGS CHILDREN 29559
 
1145 三國史記※
車竹以南 - 尸(ㄴ)
7247#29560 SIBLINGS CHILDREN 29560
 
다호리 고분군 (茶戶里 古墳群)
대부분이 널무덤(목관묘)이며, 일부에서 독무덤(옹관묘)이 나타났다. 중국 거울인 성운경과 중국 화폐인 오수전이 출토되어 다호리 고분이 서기 1세기 후반에서 기원전 1세기 사이의 유적임을 알려주고 있다.
7247#41186 SIBLINGS CHILDREN COMMENT 41186
 
말이산 13호분
5세기. 출토된 직호문양 골각은 왜의 문화다. 구덩식 돌방에 제사와 부장을 위해 구멍을 만든 것은 구주의 구덩식 돌방에서 한 쪽 면에 통로를 만든 것과 비교해 볼 만하다.
7247#8298 SIBLINGS CHILDREN COMMENT 8298
 
말이산 고분군
말이산 고분군
7247#6088 SIBLINGS CHILDREN COMMENT 6088
 
말이산 고분군 (末伊山 古墳群)
아라가야 왕들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37기의 대형 고분들이 높은 곳에 열을 지어 위치하여 있는 이 고분군은 일조시대 때 처음 조사되었는데, 당시 34호분(현 4호분)은 봉토의 지름이 39.3m, 높이가 9.7m나 되는 큰 규모의 무덤이었다. 최근에는 8호분 조사를 통해 다섯 사람의 순장 인골이 확인되었다.
7247#41188 SIBLINGS CHILDREN COMMENT 41188
 
성산산성
축성 양식이나 출토된 죽간은 신라의 것이었다.
7247#29602 SIBLINGS CHILDREN 29602
 
안라
7247#29563 SIBLINGS CHILDREN 29563
 
의령 경산리
돌방에 돌널을 배치하는 방식은 일본의 구주 지역에서 많이 나타나는 무덤 양식이다.
7247#1449 SIBLINGS CHILDREN COMMENT 1449
 
의령 운곡리
의령 경산리와 유사
7247#1450 SIBLINGS CHILDREN COMMENT 1450
 
진해에서 집모양 토기 출토
맞배지붕에 정면 2칸, 측면 2칸, 9개의 기둥을 가진 누각 형태의 토기는 정면에 문이 묘사돼 있다. 4세기경으로 추정.
7247#40649 SIBLINGS CHILDREN COMMENT 40649
 
창원의 고고학적 양상
주남저수지 남쪽의 다호리 고분군은 기원전후에 형성된 것이다. 다호리 고분군과 진해에서는 집모양 토기가 출토되었다.
7247#30984 SIBLINGS CHILDREN COMMENT 30984
 
함안 가야읍 남문외 고분
6세기 중엽 굴식돌방무덤. 2명 순장.
7247#41248 SIBLINGS CHILDREN COMMENT 41248
 
함안 초대형 건물지
전체 길이가 3.996cm, 너비 1591cm에 달하는 초대형 굴립주(掘立柱)는 땅을 파 기둥을 세운 자리로 평면형태가 타원형인 점을 미루어 보아 일상 생활적인 생활을 했던 공간보다는 의례행위나 회의장 등 당시 최상위 지배층의 특수용 건물로 여겨진다.
7247#41187 SIBLINGS CHILDREN COMMENT 4118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