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 삼국지 倭
남자는 모두 모자를 쓰지 않고 상투를 틀고, 목면으로 머리를 묶는다. 그 옷은 모두 가로의 폭이 넓은 천을 묶어서 서로 이었으며, 실로 꿰매는 경우는 거의 없다. 여인은 머리카락을 풀어헤치거나 말아서 뒤로 묶었으며, 옷을 만드는 것이 홑이불과 같은데, 그 중앙을 뚫고 그곳으로 머리를 넣어 입는다. 벼와 모시를 재배하고 양잠을 하여 실을 만들며, 세모시, 좋은 비단 그리고 솜을 산출한다.
11484
•
왜, 고구려 그리고 한복(韓服)
왼쪽으로부터, 삼국지(289)의 기록을 바탕으로 재현한 왜인의 옷, 고분 시대의 はにわ와 그것을 바탕으로 상상한 그림, 고구려 벽화에 그려진 그림 그리고 이조 후기의 풍속화다.
● 왜의 바지 저고리 문화가 한국에서 건너간 거라면 그 당시 한국의 바지 저고리 형태도 はにわ를 통해서 상상해 볼 수 있다. 그 상상에 의하면 고구려의 옷과는 큰 차이가 나고 이조의 한복과는 맥이 닿는다.
11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