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la > sources > 솔까역사 > 중국 기원 문화 > 0641~0660 百濟 바둑판
 
0266~0316 馬朗
황남대총에서 馬朗이라 씌어진 그릇이 출토되었다. 馬朗은 棋聖이라 불리던 서진의 바둑 고수였다. 바둑돌로 보이는 작은 돌도 243점 출토되었기 때문에 바둑알을 담던 그릇으로 추정된다. 바둑돌로 보이는 작은 돌은 천마총(350개)과 금관총(약 200개), 용강동 6호분, 쪽샘지구 제44호분 등에서 계속 발굴되고 있고 분황사지에서는 전돌로 만든 15×15줄 바둑판이 발견되기도 했으므로 신라에서도 백제 개로왕 이전부터 바둑을 두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26529#26535 SIBLINGS CHILDREN 26535
 
0475↶ 三國史記(1145)
時百濟王近蓋婁 好愽弈 道琳詣王門告曰 臣少而學碁 頗入妙 願有聞於左右 王召入對碁 果國手也 遂尊之爲上客 甚親昵之 恨相見之晩 백제왕 근개루는 도박을 좋아하였다. 도림이 대궐 문에 이르러 아뢰기를, “신이 어려서부터 바둑을 배워 자못 신묘한 경지에 들었으니 바라건대 대왕의 곁에서 알려 드리고자 합니다.”라고 하였다. 왕이 불러들여 바둑을 두어보니 과연 國手였다. 마침내 그를 높여 上客으로 삼고 매우 친하게 지내면서 서로 늦게 만난 것을 아쉬워하였다.
26529#26534 SIBLINGS CHILDREN 26534
 
0599 日本書紀(720)
百濟貢駱駝一匹·驢一匹·羊二頭·白雉一隻 백제가 낙타 한 필, 나귀 한 필, 양 두 마리, 흰 꿩 한 마리를 바쳤다.
26529#26580 SIBLINGS CHILDREN 26580
 
0618~0907 弈棋仕女图
0618~0907 弈棋仕女图
新疆阿斯塔那唐墓出土 다리가 正倉院 木畵紫檀棋局과 비슷하다.
26529#26552 SIBLINGS CHILDREN 26552
 
0618~0907※ 阿斯塔那古墓群
為晉至唐時代的墓葬群。
26529#26555 SIBLINGS CHILDREN 26555
 
0636 周書 百濟
唯無駞驢騾羊鵝鴨等 낙타·당나귀·노새·양·거위·오리 따위는 없다. ▐ 599년에 일본에 선물한 駱駝는 외국에서 들어온 것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6529#26581 SIBLINGS CHILDREN 26581
 
0636 百濟
投壺樗蒲弄珠握槊等雜戲 尤尚奕棋 투호·도박·구슬·쌍륙 등의 여러 가지 오락이 있었는데, 특히 바둑을 좋아한다.
26529#26550 SIBLINGS CHILDREN OPEN
 
0641~0660 北倉158 国家珍宝帳 第1~2紙 ┆ 北倉158 国家珍宝帳 第4紙
0641~0660 北倉158 国家珍宝帳 第1~2紙 ┆ 北倉158 国家珍宝帳 第4紙
赤漆槻木廚子一口 右百濟國王義慈進於內大臣 銀平脫合子四合 各納基子 ▐ 의자왕이 내대신에게 선물한 옻칠장에는 네 통의 銀平脫合子에 바둑알이 들어 있었다.
26529#26572 SIBLINGS CHILDREN 26572
 
0641~0660※ ① 北倉2 赤漆文欟木御厨子 扉開姿
0641~0660※ ① 北倉2 赤漆文欟木御厨子 扉開姿
▐ 의자왕이 보낸 赤漆槻木廚子는 이와 비슷했을 듯하다.
26529#26531 SIBLINGS CHILDREN 26531
 
0641~0660※ ② 北倉25 銀平脱合子 第1号 ┆ 北倉25 碁子
0641~0660※ ② 北倉25 銀平脱合子 第1号 ┆ 北倉25 碁子
▐ 의자왕이 내대신에게 선물한 옻칠장에 납입되어 있었다는 네 통의 銀平脱合子와 거기에 들어있던 바둑알로 보인다.
26529#26537 SIBLINGS CHILDREN 26537
 
0641~0660※ ③   北倉36 木画紫檀碁局 ┆ 北倉36 金銀亀甲碁局龕
0641~0660※ ③ 北倉36 木画紫檀碁局 ┆ 北倉36 金銀亀甲碁局龕
▐ 木画紫檀碁局과 이것을 담은 金銀亀甲碁局龕은 의자왕이 내대신에게 선물한 옻칠장에 들어있지는 않았지만 그 옻칠장에 납입되어 있던 네 통의 銀平脱合子 및 거기에 들어있던 네 가지 색의 碁子와 한 묶음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26529#26539 SIBLINGS CHILDREN 26539
 
0641~0660※ ③  北倉36 木画紫檀碁局
0641~0660※ ③ 北倉36 木画紫檀碁局
재질은 인도, 스리랑카 원산의 자단이다. 바둑판 표면의 界線은 상아로 만들고 연화문 문양의 花點은 오늘날과는 달리 17개로 되어 있다. 한국 고유의 바둑인 순장바둑의 置石과 일치한다. 17개의 화점은 중국이나 일본에서 발견되지 않는다. 바둑판 표면과 이면의 연화문 화점과 문양은 불교식 도안이다.
26529#26536 SIBLINGS CHILDREN 26536
 
Military Dictionary
Aircrafts, tanks, missiles, ...
 
0641~0660※ ③  北倉36 木画紫檀碁局
0641~0660※ ③ 北倉36 木画紫檀碁局
바둑판의 각 측면과 기저부에는 상아로 인물, 다양한 동식물로 장식하였다. 낙타를 끄는 胡人의 모습도 보이며 기린을 타고 사슴 등을 사냥하는 광경, 앵무새, 꿩을 비롯한 조류, 꽃문양 등 다양하다. 바둑판의 양쪽 좌측에는 바둑알을 넣는 서랍이 설치되어 있고 그 안의 구조는 거북모양의 형상을 만들어 예술적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다. 한 쪽에서 서랍을 열면 다른 한쪽이 열리는 자동 개폐식으로 되어 있다.
26529#26553 SIBLINGS CHILDREN 26553
 
0641~0660※ ③ 北倉36 木画紫檀碁局
0641~0660※ ③ 北倉36 木画紫檀碁局
▐ 왜에 선물한 낙타가 백제에 살던 것이 아닌 것처럼 왜에 선물한 바둑판도 백제에서 만든 것이 아닐 수 있다. 인도나 스리랑카에서 나는 자단으로 만들고 백제에 없던 상아로 백제에 없던 낙타와 앵무새 등의 장식을 새겨넣은 것으로 보아 백제에서 만든 것이 아니라고 보는 것이 자연스럽다. 마침 당나라의 그림에 비슷한 모양의 바둑판이 나오므로 당나라에서 만든 것으로 생각된다. 백제에서 만들었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만들던 장인이 건너와서 만들었다고 보아야 한다.
26529#26551 SIBLINGS CHILDREN 26551
 
0738 舊唐書(945)
又聞其人多善奕棋 因令善棋人率府兵曹楊季鷹為璹之副 璹等至彼 大為蕃人所敬 其國棋者皆在季鷹之下 於是厚賂璹等金寶及藥物等 또 신라 사람들 중에 바둑을 잘 두는 사람이 많다는 말을 듣고 바둑에 능한 솔부병조 양계응을 숙의 부사로 삼아 보냈다. 숙 등은 그 나라에 이르러 번인으로부터 대단한 존경을 받았다. 그 나라의 바둑 수준은 계응보다 낮았다. 그리하여 숙 등에게 금보 및 약물 등의 푸짐한 선물을 주어 보냈다.
26529#26544 SIBLINGS CHILDREN OPEN
 
0756 正倉院
0756 正倉院
26529#26556 SIBLINGS CHILDREN 26556
 
0907~0960 重屏會棋圖
0907~0960 重屏會棋圖
五代十國時期周文矩的作品。 바둑판과 침상의 다리가 正倉院 木畵紫檀棋局과 비슷하다.
26529#26570 SIBLINGS CHILDREN 26570
 
0907~0960 重屏會棋圖
0907~0960 重屏會棋圖
26529#26571 SIBLINGS CHILDREN 26571
 
正倉院 木畵紫檀雙六局
正倉院 木畵紫檀雙六局
26529#26538 SIBLINGS CHILDREN 26538
 
正倉院 木畵紫檀雙六局
正倉院 木畵紫檀雙六局
26529#26554 SIBLINGS CHILDREN 26554
 
갑툭튀 출토품
갑툭튀 출토품
사치품은 제작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소비할 수 있는 계층이 제한적이다. 그래서 왕국 단위에서조차 생산에 부담이 되어 제국 단위에서나 제작이 가능할 수 있다. 또 기술과 재료가 없어 수입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경우도 있다. 출토품이 나왔으나 전후로 연결되는 고고학적 양상이 보이지 않으면 수입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
26529#26589 SIBLINGS CHILDREN 26589
 
중국에서 들어온 듯하다.
중국에서 들어온 듯하다.
26529#26591 SIBLINGS CHILDREN 2659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