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la
>
0369 ~ 0562 ❹ 倭의 介入
>
고고학적 양상
>
왜계 고분과 갑옷
왜계 고분의 특징으로는 굴무덤, 주구, 원통 토기, 전방후원분, 즙석, 팔자형 입구, 붉은 칠 등이 있고 왜계 갑옷의 특징은
•
0369~0562 倭의 介入
2794#2806
SIBLINGS
CHILDREN
2806
•
고고학적 양상
2794#22521
SIBLINGS
CHILDREN
22521
›
왜계 고분
前方後円墳┆横穴墓┆葺石
2794#34216
SIBLINGS
CHILDREN
OPEN
›
왜계 갑옷
신라
┆
신라
›
0400± 고성 송학동
붉은 칠
2794#34235
SIBLINGS
CHILDREN
OPEN
•
0450~0550 전방후원분
한국에서는 영산강 유역에서만 전방후원분이 발견되는데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전반에 걸쳐 축조되었다.
2794#34218
SIBLINGS
CHILDREN
34218
›
0500± 공주 단지리
굴무덤
2794#34244
SIBLINGS
CHILDREN
OPEN
›
05세기 고흥 길두리
즙석┆투구
2794#34237
SIBLINGS
CHILDREN
OPEN
›
05세기 고흥 야막리
즙석┆왜계 투구와 갑옷
2794#34213
SIBLINGS
CHILDREN
OPEN
›
05세기 함평 금산리
인면 식륜
2794#34240
SIBLINGS
CHILDREN
OPEN
›
06세기 거제 농소리
식륜┆즙석┆八자 입구
2794#34243
SIBLINGS
CHILDREN
OPEN
›
06세기 화순 천덕리
즙석┆八자 입구┆붉은 칠
2794#34212
SIBLINGS
CHILDREN
OPEN
•
2011 한반도 출토 倭係 甲冑의 분포와 의미
한국에서 출토되는 왜계 갑주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영남과 남해안에서 많이 출토된다. 이러한 왜계 갑주는 실용적인 용도였을 수도 있고 의식용이었을 수도 있다. 왜계 갑주는 전방후원분과 왜계 돌방무덤 그리고 한국식 무덤 모두에서 출토된다. 따라서 왜계 갑주와 함께 묻힌 사람은 왜인이었을 수도 있고 한국인이었을 수도 있다.
2794#1237
SIBLINGS
CHILDREN
COMMENT
1237
•
2025.09.24
2794#34266
SIBLINGS
CHILDREN
34266
•
경남 남해안 일대 倭系石室 被葬者의 성격과 역할
김준식
2794#2789
SIBLINGS
CHILDREN
COMMENT
2789
•
광주 월계동 원통형 토기
2794#34263
SIBLINGS
CHILDREN
34263
•
나주 복암리 정촌고분
즙석
2794#1465
SIBLINGS
CHILDREN
1465
•
나주 복암리 정촌고분 즙석
2794#2935
SIBLINGS
CHILDREN
2935
...
솔직히 까놓고 말하는 역사
•
사천 선진리
바다에 연한 구릉에 단독으로 조영된 입지와 문주석, 문미석 등의 현문구조를 갖춘 점, 장대석을 벽석 상위에 사용한 점 등 일본 굴식돌방무덤과 유사하다. 6세기에 축조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2794#1463
SIBLINGS
CHILDREN
COMMENT
1463
•
사천 향촌동
...
2794#2628
SIBLINGS
CHILDREN
COMMENT
2628
•
의령 경산리
돌방에 돌널을 배치하는 방식은 일본의 구주 지역에서 많이 나타나는 무덤 양식이다.
2794#1466
SIBLINGS
CHILDREN
COMMENT
1466
•
의령 운곡리
의령 경산리와 유사
2794#1649
SIBLINGS
CHILDREN
COMMENT
16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