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la > -0018 百濟 遷都 > 0918⁺ 楊州本高句麗❷北漢山郡(一云南平壤城)
 
1451
楊州本高句麗北漢山郡(一云南平壤城)
1238#5503 SIBLINGS CHILDREN 5503
 
1451 高麗史
남경유수관 양주는 본래 고구려의 北漢山郡(南平壤城이라고도 한다)으로 백제의 근초고왕이 차지하였다. 근초고왕 25년에 南漢山에서 도읍을 옮겼다. 개로왕 20년에 이르러 고구려 자비왕이 쳐들어와서 漢城을 포위하자 개로왕이 나와 도망하다가 고구려 군사에게 살해되었다. 그 해 아들 문주왕이 熊津으로 도읍을 옮겼다. 뒤에 신라 진흥왕 15년에 北漢山城으로 와서 국경을 정하였다. 진흥왕 17년에 北漢山州를 창설하고 軍主를 두었다. 경덕왕 14년에 漢陽郡으로 고쳤다
1238#1855 SIBLINGS CHILDREN COMMENT 1855
 
1451 高麗史
長漢城은 신라의 국경인 漢山의 북쪽, 漢江 가에 있었다. 신라가 重鎭을 설치하였다가, 뒤에 고구려에게 점거되자 신라 사람들이 군사를 일으켜 그 성을 다시 찾고, 이 노래를 지어 그 공로를 기념하였다. ▐ 北漢山城인 듯하다.
1238#1894 SIBLINGS CHILDREN COMMENT 1894
 
1451 高麗史
1067년에 승격시켜 南京留守官이 되었는데, 근처 고을의 백성을 이주시켜 채웠다. 숙종 원년(1096)에 위위승동정 김위제가 도선밀기에 의거하여 南京으로 천도할 것을 요청하면서 양주에 木覓壤이 있어 도성을 세울 만하다고 말하였다.
1238#1921 SIBLINGS CHILDREN COMMENT 1921
 
1451 高麗史
三角山(新羅稱負兒嶽) 漢江(卽沙平渡) 楊津(新羅時 北瀆漢山河 躋中祀) 삼각산(신라에서는 부아악이라 불렀다) 한강(곧 사평도다) 양진(신라 때의 북독인 한산하로서 중사에 올라 있었다.)
1238#1922 SIBLINGS CHILDREN COMMENT 1922
 
1834 ◾古楊州 < 楊州 < 漢陽郡 < 北漢山郡 < 慰禮城
1834 ◾古楊州 < 楊州 < 漢陽郡 < 北漢山郡 < 慰禮城
중량천을 따라 내려와서 한강을 건너 탄천을 따라 올라가려면, 풍납토성과 廣津 맞은 편에 있는 나루에서 건너가는 게 좋고, 楊津이 바로 그 나루였을 것이다. 그렇다면 楊州는 峨嵯山 아래가 된다. 왕씨고려때의 楊州는 신라때 漢陽郡이었고 낙랑고려때는 北漢山郡이었다. 이곳은 백제의 慰禮城으로도 어울린다.
1238#32208 SIBLINGS CHILDREN 32208
 
...
솔직히 까놓고 말하는 역사
 
1834 靑邱圖 - 古楊州 廣州
1238#5500 SIBLINGS CHILDREN 5500
 
1856~1861 東輿圖 - 古楊州 廣州
古楊州가 峩差山 동쪽 너머로 표기되어 있다. 이는 기록에 나타나는 정황과 어긋난다.
1238#21961 SIBLINGS CHILDREN 21961
 
1884 地圖 - 古楊州
古楊州가 峨嵯山 아래에 있다. 이것이 기록에 나타나는 정황과 부합한다. 漢陽郡本高句麗北漢山郡(一云平壤)과 平壤今楊州也에 의해 北漢山郡(平壤)→漢陽郡→楊州의 위치가 이곳으로 비정된다.
1238#32207 SIBLINGS CHILDREN 32207
 
1884 地圖 - 廣州
1238#32216 SIBLINGS CHILDREN 32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