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眞番
전국시대에 燕의 동쪽에 朝鮮이 있었고 朝鮮의 남쪽에 眞番이 있었다. -108년에 漢이 滿朝鮮을 멸망시키면서 眞番에도 군을 설치하였는데, 15현이 있었다. 그 중 含資, 帶方, 海冥, 列口, 長岑, 昭明 그리고 提奚 7현은 -82년에 眞番郡이 폐지될 때 樂浪郡에 합쳐졌다가 196~220년에 帶方郡으로 분리되었다. 자비령에서 임진강 사이다. 나머지 8현은 245년에 이르러 辰韓 8국이 되어 있었는데, 임진강과 차령 사이다.
http://qindex.info/i.php?x=5855
• 韓國¹·三韓¹ = 馬韓+辰韓+弁韓
秦漢교체기에 燕 등지의 유민이 계속 朝鮮으로 흘러왔다. 일부는 眞番으로 갔고 그 일부는 다시 辰國으로 갔다.
朝鮮에 온 유민은 滿왕조를 세웠으나 漢이 멸망시키고 樂浪·臨屯·玄菟·眞番의 군을 설치하였다.
이후 '원래 朝鮮의 왕은 기자의 후예 韓씨였는데 滿에게 쫓겨나자 바다로 도망가 韓王을 칭했다'는 이야기가 퍼졌고 前·後漢의 교체기에는 옛 眞番 지역에서 韓이 나타난다.
韓의 중심은 차령과 노령 사이였고 眞番의 남부와 辰國 등을 아우르며 三韓을 형성하였다.
http://qindex.info/i.php?x=22007
• 蓋單山領
東西分水界 중에서 고대사에 자주 등장하는 부분은 개마대산에서 철령까지다. 그 중 蓋馬大山에서 황초령까지는 압록강 유역의 동변인데 고구려와 옥저의 경계였다. 황초령에서 철령까지는 대동강과 임진강 유역의 동변을 이은 것인데 조선과 예의 경계였으며 單單大領이라 불리었다.
http://qindex.info/i.php?x=2352
• 0245+ 三國志(289) 동이 설명 시점
공손연까지 3대가 계속 요동을 차지하자 천자는 그 지역을 포기하고 해외를 맡겼다. 그 결과 동이와의 관계가 끊어져 중국과 통하지 않게 되었다. 경초 연간에 크게 군대를 일으켜 연을 죽이고 또 몰래 바다를 건너가 낙랑군과 대방군을 되찾았다. 그러자 해외가 안정되어 동이들이 굴복하였다.
그 뒤 고구려가 배반하므로 다시 약간의 군대를 파견하여 토벌하면서 매우 먼 지방까지 쫓으니 오환과 골도를 넘고 옥저를 거쳐 숙신의 왕정을 짓밟고 동으로 큰 바다에 이르렀다.
http://qindex.info/i.php?x=8474
• 三國志(289)
扶餘의 북쪽에는 弱水가 있고 서쪽에는 鮮卑가 있으며 동쪽에는 挹婁가 있고 남쪽에는 高句麗가 있다. 高句麗의 북쪽에는 扶餘가 있고 동쪽에는 沃沮가 있으며 남쪽에는 朝鮮과 濊가 있다. 朝鮮의 동쪽이 다 濊다. 沃沮의 북쪽에는 扶餘와 挹婁가 있고 서쪽에는 高句麗가 있으며 남쪽에는 濊가 있다. 濊의 북쪽에는 高句麗와 沃沮가 있고 남쪽에는 辰韓이 있다.
http://qindex.info/i.php?x=23502
• 三國志(289) 요약 1
扶餘의 북쪽에는 弱水가 있고 서쪽에는 鮮卑가 있으며 동쪽에는 挹婁가 있고 남쪽에는 高句麗가 있다. 高句麗의 북쪽에는 扶餘가 있고 동쪽에는 沃沮가 있으며 남쪽에는 朝鮮과 濊가 있다. 朝鮮의 동쪽이 다 濊다. 沃沮의 북쪽에는 扶餘와 挹婁가 있고 서쪽에는 高句麗가 있으며 남쪽에는 濊가 있다. 濊의 북쪽에는 高句麗와 沃沮가 있고 남쪽에는 辰韓이 있다.
http://qindex.info/i.php?x=7341
• -0108 茂陵書
임둔군의 치소 동이현이 영흥만에 있었고 진번군의 치소 삽현이 한강 하류에 있었다면 무릉서의 이야기처럼 장안에서의 거리가 1500리 차이날 수 있다. 단, 동이에 이르는 경로가 낙랑을 거쳐 단단대령 남쪽을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집안을 거쳐 황초령을 넘어가는 경로일 경우다.
임둔군을 설치할 때는 단단대령 남쪽을 돌아갔지만 한나라와 교통할 때는 황초령을 넘어 집안을 거쳐갔다고 추정할 수 있다.
http://qindex.info/i.php?x=19055
• -0108 臨屯郡
임둔군은 과거 창해군이 설치되었던 지역으로 볼 수 있다. 현도군은 이 임둔군보다 한 해 늦게 설치되었는데, 이는 조선을 멸망시킨 한나라의 영향력이 단단대령 남쪽을 돌아 올라갔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집안을 거쳐 황초령을 넘어갔다면 집안에 군을 먼저 설치하였을 것이다.
한나라는 예에 임둔군을 설치하고 이듬해에 마운령을 넘어 옥저에 현도군을 설치하였다. 그리고 요동군과 옥저 사이의 맥은 이 현도군에 소속시켰다.
http://qindex.info/i.php?x=17062
• 0245± @동이 @東夷
扶餘의 북쪽에는 弱水가 있고 서쪽에는 鮮卑가 있으며 동쪽에는 挹婁가 있고 남쪽에는 高句麗가 있다. 高句麗의 북쪽에는 扶餘가 있고 동쪽에는 沃沮가 있으며 남쪽에는 朝鮮과 濊가 있다. 朝鮮의 동쪽이 다 濊다. 沃沮의 북쪽에는 扶餘와 挹婁가 있고 서쪽에는 高句麗가 있으며 남쪽에는 濊가 있다. 濊의 북쪽에는 高句麗와 沃沮가 있고 남쪽에는 辰韓이 있다.
http://qindex.info/i.php?x=7304
• 0265~0289 魏略·三國志 0245 三國誤記
▐ 한나라는 -108년에 위만조선을 멸망시키고 낙랑, 眞番, 임둔 그리고 현도군을 설치했다가 -82년에 임둔과 함께 眞番을 폐지하고 15현 중 7현만 낙랑에 소속시킨 바 있다. 그 후 204~220년에 공손씨가 낙랑의 둔유현 이남 7개 현을 떼어 대방군을 설치하였다. 이 대방 7현은 낙랑에 편입된 眞番 7현으로 보인다. 眞番의 나머지 8현은 245년의 분쟁에 나오는 馬韓 8국과 연결지을 수 있다.
임진강에서 차현까지의 지역으로 추정된다.
http://qindex.info/i.php?x=31428
• 0289 三國志 요약
○ 韓在帶方之南 한은 대방의 남쪽에 있다.
○ 馬韓在西 마한은 서쪽에 있다.
○ 辰韓在馬韓之東 진한은 마한의 동쪽에 있다.
○ 濊南與辰韓 예는 남쪽으로 진한에 접해 있다.
○ 從郡至倭 循海岸水行 歷韓國₁ 대방군에서 왜까지는 해안을 따라 물길로 가서 한국₁을 거쳐간다.
▐ 염사착 이야기와 기리영 사건에 나오는 진한은 삼국지의 진한에 대한 설명과 맞지 않고 마한과 어울린다.
http://qindex.info/i.php?x=9945
• 0300- 무릉서(茂陵書)
▐ 임둔군의 치소 동이현이 영흥만에 있었고 진번군의 치소 삽현이 한강 하류에 있었다면 무릉서의 이야기처럼 장안에서의 거리가 1500리 차이날 수 있다. 단, 동이에 이르는 경로가 낙랑을 거쳐 단단대령 남쪽을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집안을 거쳐 황초령을 넘어가는 경로일 경우다.
임둔군을 설치할 때는 단단대령 남쪽을 돌아갔지만 한나라와 교통할 때는 황초령을 넘어 집안을 거쳐갔다고 추정할 수 있다.
http://qindex.info/i.php?x=16436
• 帶方郡
진번군은 이내 폐지되고 낙랑군에 합쳐졌는데, 이후 진번은 역사의 무대에서 사라졌다. 한편, 전한의 낙랑 25현은 영동 7현이 갈라져 나가 후한의 낙랑 18성이 되었고 이 중에서 7성이 갈라져 나와 서진의 대방 7현이 되었다. 이 대방 7현이 진번이 폐지될 때 낙랑으로 합쳐진 진번의 7현으로 추정된다. 대방 7현은 자비령에서 임진강 사이로 추정되므로 낙랑에 합쳐지지 않은 진번 8현도 임진강 남쪽에 그만한 크기의 지역이 되어야 한다. 차현까지가 유력하다.
http://qindex.info/i.php?x=6530
• 韓八國
삼국지(289)에는 낙랑이 본래 한국을 통치했다는 이유로 마한 8국을 분할하여 낙랑에 넣으려 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한편, 진번군 15개 현 가운데 7현은 낙랑군에 합쳐졌다 나중에 대방군으로 분리된 것으로 보이는데 나머지 8개 현의 행방은 알 수 없다. 이 진번 8현이 훗날 위나라가 낙랑에 넣으려한 마한 8국이 아닐까?
http://qindex.info/i.php?x=5860
• 동이와 불이
예는 원래 단단대령 남쪽을 돌아 대동강을 거쳐 중국과 교류하였는데 위만 조선에 의해 이 길이 막히자 황초령을 넘어 압록강을 거쳐 중국으로 가는 길을 개척하였고 이때 잠시 예에 창해군이 설치되기도 했다.
한나라가 위만 조선을 멸망시키고 옛 창해군 지역에 임둔군을 설치할 때 이 길을 고려하여 치소를 황초령 아래에 두었다.
그러나 압록강을 지나는 길이 맥에 의해 막히자 다시 단단대령 남쪽을 돌아가는 길을 택했고 동부도위의 치소도 영흥만 남쪽에 두었다.
http://qindex.info/i.php?x=13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