未乙·託長·薍長 → 國原 → 忠州┆娘臂·娘子谷 → 西原 → 清州
•
0245± 三國志(289)
爰襄國·牟水國·桑外國·小石索國·大石索國·優休牟涿國·臣濆沽國·伯濟國·速盧不斯國·日華國·古誕者國·古離國·怒藍國·月支國·●咨離牟盧國·素謂乾國·古爰國·莫盧國·卑離國·占離卑國·臣釁國·支侵國·狗盧國·卑彌國·監奚卑離國·古蒲國·致利鞠國·冉路國·兒林國·駟盧國·內卑離國·感奚國·萬盧國·辟卑離國·臼斯烏旦國·一離國·不彌國·支半國·狗素國·捷盧國·●牟盧卑離國·臣蘇塗國·莫盧國·占臘國·臨素半國·臣雲新國·如來卑離國·楚山塗卑離國·一難國·狗奚國·不雲國·不斯濆邪國·爰池國·乾馬國·楚離國
295#25035
SIBLINGS
CHILDREN
25035
•
0414 廣開土王陵碑
攻取
牟婁城
古牟婁城
모루성, 고모루성 등을 공격하여 얻었다.
殘主困逼獻出男女生口一千人細布千匹
백잔주가 1천 명의 남녀와 1천 필의 세포를 바쳤다.
得五十八城村七百將殘主弟幷大臣十人旋師還都
58성 700촌을 얻고 백잔주의 동생과 대신 10인을 데리고 도읍으로 돌아왔다.
新來韓穢
牟婁城二家爲看烟
古牟婁城國烟二看烟八
새로 온 한과 예.
모루성 1집은 간연이다.
고모루성은 국연이 1집이고 간연이 8집이다.
295#8461
SIBLINGS
CHILDREN
COMMENT
8461
•
0449※ 古牟婁
❶ 중원고려비의 내용은 東夷寐錦이 高麗大王에게 世世토록 兄如弟의 관계를 원하자 고려가 衣服과 敎를 내린다는 이야기다. 東夷寐錦上下至于伐城으로 보아 신라왕이 고려의 성까지 찾아간 듯하고 新羅土內幢主나 新羅土內衆人는 고려가 신라 영토 안까지 영향력을 미친 정황을 암시한다.
이러한 문맥에서 볼 때 古牟婁城守事下部大兄에 나오는 古牟婁城은 신라와의 접경 지역에 있던 성으로 보인다. 당시 중원고려비 인근에는 고려 國原城이 있었으므로 이 성이 가장 유력하다.
295#24894
SIBLINGS
CHILDREN
24894
•
0512 日本書紀(720)
백제가 사신을 보내어 조를 바쳤다. 따로 표를 올려 임나국의 上哆唎·下多唎·娑陀·牟婁의 4현을 청했다. 哆唎國守 수적신압산이 “이 4현은 백제와 인접해 있고 일본과는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백제와는) 아침 저녁으로 통하기 쉽고 (어느 나라의) 닭과 개인지를 구별할 수 없을 정도이니 지금 백제에게 주어 합쳐서 같은 나라로 만들면 굳게 지키는 계책이 이보다 나은 것이 없을 것입니다."
295#300
SIBLINGS
CHILDREN
COMMENT
300
•
0512※ 牟婁
❷ 久麻那利는 공주인데 下哆唎의 별읍이므로 그곳에서 멀지 않았을 것이다. 下哆唎는 上哆唎, 娑陀 그리고 牟婁와 묶여 任那四縣으로 언급되므로 牟婁 또한 공주에서 멀지 않았을 것이다.
上哆唎, 下哆唎 그리고 娑陀는 대전, 논산 그리고 부여로 추정된다.
중원고려비의 古牟婁은 충주로 추정되는데 牟婁와 古牟婁는 서로 가까웠을 것이므로 牟婁를 공주와 충주 사이의 청주로 설정해 본다.
그러면 古牟婁와 牟婁가 훗날 國原과 西原으로 바뀐다는 이야기가 되어 어울린다.
295#296
SIBLINGS
CHILDREN
COMMENT
296
•
0551※ 未乙·牟婁
❸ 國原城은 未乙省이라고도 했는데 未乙은 발음이 마을과 비슷하다.
한편, 광개토왕릉비(414)와 일본서기(720)에 나오는 牟婁는 고대 일본에서 むる로 발음하였는데, 이는 村(마을)의 발음 むら와 비슷하다.
그렇다면 國原城의 未乙은 마을의 음차이고 마을은 牟婁로도 음차되었을 수 있다.
앞서 牟婁를 청주로 추정하였는데, 이 牟婁와 구별하기 위해 충주는 古牟婁라 했다는 이야기가 만들어질 수 있다.
295#8490
SIBLINGS
CHILDREN
COMMENT
8490
•
俗離山
▐ 처음 백제는 娘子谷城을 차지하고 신라왕을 만나자고 했다가 이듬해에 신라의 蛙山城을 공격하고 그 이듬해에 狗壤城을 공격한 뒤 2년 뒤에 다시 蛙山城을 공격하였다.
그 뒤 백제는 다시 신라의 母山城을 공격하고 이듬해에 拘壤을 공격했다가 2년 뒤 圎山郷에서 쳐들어가 缶谷城까지 가서 신라군을 蛙山으로 유인하여 대파한다.
그 이후에는 狗壤 또는 拘壤이 나타나지 않고 槐谷만 나타난다.
앞뒤 정황을 보았을 때 狗壤 또는 拘壤은 槐壤으로도 불린 槐谷인 듯하다.
295#29797
SIBLINGS
CHILDREN
29797
›
古毛리산성 ✗
1914년에 내소면 初加八리 일부와 가산면 鼎橋리 일부를 합쳐 古毛리를 만들고 소흘면에 넣었다.
한국지명총람(1986)에는 '고모리를 묘앞·고뫼앞·고모동으로도 쓴다'고 되어 있어 어원을 짐작해 볼 수 있다.
古毛리 老姑산에 산성이 있으며 그 아래서 매년 '老姑산성 정월 대보름 축제'가 열린다.
老姑산성은 古毛리에 있기 때문에 古毛리산성이라고도 한다.
광개토왕릉비와 중원고려비에 나오는 古牟婁성과 발음이 비슷하기 때문에 착각이 생겼다.
295#29500
SIBLINGS
CHILDREN
OPE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