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에 돌로 무덤칸을 만들고 흙을 씌운 외칸으로 된 돌칸흙무덤이다. 동쪽 벽에는 3열로 구성된 개마무사 대열이 형상되어 있다. 무덤의 구조 형식과 벽화의 내용, 그곳에서 나온 유물 등으로 보아 이 무덤이 3세기 전반기에 축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
솔직히 까놓고 말하는 역사
•
0200.0250 낙랑 고분벽화
○ 3세기 전반기는 한나라가 망하고 중국이 삼국으로 갈라지던 시기로 낙랑은 한나라 말기부터 공손씨의 통치를 받았다. 3세기 중엽에 위나라가 공손씨를 토벌할 때 이곳에 대한 통치도 회복하였다.
○ 행렬도는 한나라의 고분벽화에 자주 등장하는 것이나 개마무사는 한나라의 고분벽화에 등장하지 않는다. 이 벽화는 낙랑고려 시기의 동수묘나 진묘에 나오는 행렬도의 원형이라고 볼 수 있다.
○ 삼국사기의 244년 기록에 나오는 고려의 철갑기병(鐡騎)과 동시대의 벽화다.
1471#1643
SIBLINGS
CHILDREN
COMMENT
1643
•
0200~0250 낙랑 고분벽화
○ 3세기 전반기는 한나라가 망하고 중국이 삼국으로 갈라지던 시기로 낙랑은 한나라 말기부터 공손씨의 통치를 받았다. 3세기 중엽에 위나라가 공손씨를 토벌할 때 이곳에 대한 통치도 회복하였다.
○ 행렬도는 한나라의 고분벽화에 자주 등장하는 것이나 개마무사는 한나라의 고분벽화에 등장하지 않는다. 이 벽화는 낙랑고려 시기의 동수묘나 진묘에 나오는 행렬도의 원형이라고 볼 수 있다.
○ 삼국사기의 244년 기록에 나오는 고려의 철갑기병(鐡騎)과 동시대의 벽화다.
1471#7210
SIBLINGS
CHILDREN
COMMENT
7210
•
0200~0250 보성리 벽화무덤
지하에 돌로 무덤칸을 만들고 흙을 씌운 외칸으로 된 돌칸흙무덤.
북쪽 벽에는 무덤의 주인공과 그의 아내의 것으로 보이는 수레가, 그 아래위로는 창을 든 군사들이 줄지어 서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동쪽 벽에는 3열로 구성된 개마무사 대열이 형상되어 있으며 서쪽 벽에는 북쪽을 향하여 달리는 말과 건물 같은 것이 그려져 있다.
무덤의 구조 형식과 벽화의 내용, 그곳에서 나온 유물 등으로 보아 이 무덤이 3세기 전반기에 축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1471#1489
SIBLINGS
CHILDREN
COMMENT
148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