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8.16 尸
尸는 현대 한국어에 나타나는 사이시옷의 원형이다.
모음으로 끝나는 말에 다른 말이 붙을 때 사이에 들어간다. 모음으로 시작되는 말이 붙을 때는 ㄹ이 들어가고 자음으로 시작되는 말이 붙을 때는 ㄴ이 들어간다.
┆富尸伊→富利┆阿尸兮→安賢
31657#31437SIBLINGSCHILDREN31437
•2024.08.18 羅
변진의 狗邪와 安邪는 백제에서 加羅와 安羅로 바뀌고 신라에서 加耶·加良과 阿耶·阿尸良으로 바뀌었다. 羅·奈·那는 백제식이고 耶·良·洛는 신라식이다. 고려와 왜 그리고 중국은 백제를 통해 이들 나라를 알게 되었으므로 백제식 표기를 썼다.
31657#31452SIBLINGSCHILDREN31452
•2024.08.21 卓淳
卓淳은 백제가 366년에 와서 왜로 가는 길을 물었던 곳이고 왜가 369년에 건너와 백제군과 합하여 신라를 친 곳이다.
544년에는 신라가 이곳을 침공해서 백제 수비병을 쫓아내는 바람에 안라와 신라가 국경을 맞대게 된다.
이러한 조건에 맞는 卓淳의 위치는 마산이다.
31657#31465SIBLINGSCHILDREN31465
•2024.08.22 㖨
464년에 고려가 신라에 쳐들어 오자 임나주둔 왜군이 이를 물리쳤다.
이듬해에는 왜와 신라가 㖨에서 전쟁을 벌이는데, 이는 고려를 물리친 왜군이 㖨을 차지하자 신라가 쫓아내려 한 듯하다.
가라와 신라 사이에 있었다는 이 㖨의 위치로는 달구벌이 어울린다.
31657#31471SIBLINGSCHILDREN31471
•2024.08.22 閼川
阿利那禮河의 阿利는 閼(알, egg)이고 那禮는 나루다. 줄여서 閼川이라고 하는데, 지금의 형산강이다.
금호강 유역에서 서라벌로 흘러온 유민들이 처음 만나는 강이고 나루를 건너면 산기슭에 蘿井이 있다.
이곳에서 시조 혁거세가 알에서 나왔다.
31657#31472SIBLINGSCHILDREN31472
•2024.08.24 이매림 교정
양직공도의 巳文, 괄지지의 基汶, 일본서기의 己汶, 삼국사기의 竒物과 巳汶 그리고 신찬성씨록의 巴汶이 모두 별개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는 徐那伐, 雞林, 雞貴, 矩矩咤㗨說羅, 薛羅, 斯盧, 斯羅, 新盧, 新良, 新羅 그리고 志羅紀가 모두 별개라는 것과 같다.
31657#31484SIBLINGSCHILDREN314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