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la > sources > 옛날 이야기 > 신무천황의 동쪽 정벌 > 역사적 의미
 
吉野ヶ里遺跡(よしのがりいせき)
吉野ヶ里遺跡(よしのがりいせき)
미생 시대의 마을은 도랑과 울타리로 둘러싸여 있었다. 이를 環濠集落이라 한다. 부락 단위의 전쟁에 대비한 것이다. 한국에서는 청동기 시대에 영남 지역에서 많이 만들어졌다.
8376 SHARED COMMENT
 
吉野ヶ里遺跡(よしのがりいせき)
吉野ヶ里遺跡(よしのがりいせき)
미생시대 초기에서 중기에 걸쳐 복강 지역에는 죽은 사람을 큰 독널에 넣어 묻는 풍습을 가진 민족이 있었다. 복강 지역에서 독널 무덤이 사라질 즈음에 한국의 영산 지역에서 큰독널 무덤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8377 SHARED COMMENT
 
奈良盆地 ならぼんち
해발 100m이하의 단층분지로 동서 15km 남북 30km의 크기다. 大和盆地 또는 大和平野라고도 불리운다.
2955 SHARED COMMENT
 
福岡県 ふくおかけん
2959 SHARED COMMENT
 
竪穴式石室
고분시대 전기에서 중기까지 나타나는 무덤방 양식이다. 가라에서도 좁고긴 수혈식 석실이 발달했다. 장방형의 수광 네벽을 할석 또는 석괴로 만들고 천정은 판석등을 가로 질러 놓았다.
2952 SHARED COMMENT
 
紫雲出山遺跡(しうでやまいせき)
紫雲出山遺跡(しうでやまいせき)
미생 시대 중기부터 들과 바다를 조망할 수 있는 높은 곳에 마을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이를 高地性集落이라 한다. 바다를 건너오는 적들과의 전쟁에 대비한 것이다.
8378 SHARED COMMENT
 
近畿地方 きんきちほう
一般的には大阪府・京都府・兵庫県・奈良県・三重県・滋賀県・和歌山県の2府5県(7府県)を指す。
2968 SHARED COMMENT
 
高地性集落
미생시대의 마을은 논에서 가까운 평지에 형성되는 것이 보통인데 중기부터는 산이나 구릉에 형성된 마을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마을은 근기 지방에서 시작되어 고분시대에는 서일본까지 퍼져나갔으나 북부 구주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대부분 평지와 바다를 멀리 조망할 수 있는 높은 위치에서 서쪽으로부터의 침입을 대비하였다.
2965 SHARED COMMENT
 
高地性集落
미생시대의 마을은 논에서 가까운 평지에 형성되는 것이 보통인데 중기부터는 산이나 구릉에 형성된 마을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마을은 근기 지방에서 시작되어 고분시대에는 서일본까지 퍼져나갔으나 복강 지역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대부분 평지와 바다를 멀리 조망할 수 있는 높은 위치에서 서쪽으로부터의 침입을 대비하였다.
2966 SHARED COMMENT
 
가야고분
4세기경에 이르면 경주에서는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이 성행하고, 영남지역 일대에서는 구덩식돌덧널무덤[竪穴式石槨墓]이 널리 쓰이게 된다. 어떤 사람은 이 돌덧널무덤만을 가야고분이라고도 한다.
2967 SHARED COMMENT
 
대화(大和 やまと)
대화(大和 やまと)
8373 SHARED COMMENT
 
전방후원분
8372 SHARED COMMENT
 
¦

8370 SHARED COMMENT
 
Name Dictionary
Names are also vocabula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