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la > sources > 考古學 > 관/모/신

○ 고려-백제-마한은 비단길을 지나며 모양이 세련되어진 금동관을 도입하였고 가라-신라는 투박한 모양의 금동관을 가지고 있었다. 가라-신라의 금동관은 다른 지역에서 사례를 찾아볼 수 없는 모양이라 자생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4000± Nahal Mishmar hoard
26357 SHARED
 
-2500 ~ -2250 Alaca Höyük
-2500 ~ -2250 Alaca Höyük
단순한 형태부터 복잡한 무늬가 들어간 것까지 다양한 금테가 출토되었다. 금테는 금관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구성 요소다.
10681 SHARED
 
-2500 ~ -2250 Alaca Höyük
10605 SHARED
 
-1650± Mycenaean golden diadem
-1650± Mycenaean golden diadem
금띠에 세움 장식을 했다.
10596 SHARED
 
-1650± Mycenae
10608 SHARED
 
0050± Sarmatian crown
0050± Sarmatian crown
금테에 새 장식이 있고 사슴과 나무는 세움 장식으로 붙어 있다. 새와 사슴 그리고 나무는 초원의 무속 신앙과 연관이 있어 보이는데, 신라 금관의 모양과 장식도 이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10588 SHARED
 
0050± Steppe route
0050± Steppe route
10597 SHARED
 
0050± Steppe route
나무, 사슴 그리고 새가 세움 장식 또는 달개 장식으로 적용된 금관은 초원길의 서쪽에서 만들어져 초원길 또는 비단길을 통해 동쪽으로 전파되었고 한국까지 전해졌다.
10611 SHARED
 
0050± Tillya tepe gold crown
Found in the tomb of a high-ranking nomadic woman. The base is formed by a diadem decorated with flowers, once inlaid with turquoise centres. Golden birds appear in the upper branches of four of the five trees, which represent the Tree of Life.
10680 SHARED
 
0337~0534 선비 왕조
0337~0534 선비 왕조
가라와 신라에 금동관, 적석목곽분, 순장 등이 성행하던 시기에 초원길 끝에는 선비족이 세운 나라가 이어지고 있었다. 모용 선비는 前燕(0337~0370), 後燕(0384~0407) 그리고 北燕(0407~0436)으로 이어가며 요서 지역을 차지하였고 탁발 선비는 北魏(0386~0534)를 세워 모용 선비에 이어 요서 지역을 점유하였다.
10742 SHARED
 
0340± 김해 대성동 91호분
○ 사슴뿔은 초원의 무속 신앙과 관련이 있고 나뭇가지형 금동관의 뿌리로 추정되고 있다. ○ 금동관이나 청동솥은 문물의 전파로도 설명이 가능하지만 사슴뿔 장식은 주민의 이동으로 설명해야 자연스럽다. 여러 사람의 신앙이 이동해야 하기 때문이다. ○ 사슴뿔 장식은 청동 방울처럼 이전부터 있었을지 모른다.
10712 SHARED
 
0350~0400 화성
40737 SHARED COMMENT
 
0350~0400 화성
금동관모와 금동신발, 금제 귀고리, 환두대도
40738 SHARED COMMENT
 
0350~0400 화성
금동신발
41686 SHARED COMMENT
 
0386 ~ 0589 선비족 보요관식
0386 ~ 0589 선비족 보요관식
包头市达茂旗西河子窖藏出土 무속 신앙적 금속관을 구성하는 나무, 사슴 그리고 새 중에서 두 요소가 들어있다. 나뭇가지와 사슴뿔은 하나로 합쳐져 있고 나뭇잎 장식은 금동관 둥근 달개의 기원을 짐작하게 한다.
10640 SHARED
 
0400~0450 고흥 안동고분
금동관모, 금동신발, 청동거울, 환두도, 살포, 왜계 갑옷이 출토되었다.
40736 SHARED COMMENT
 
0400~0450 고흥 안동고분
금동관모.
41681 SHARED COMMENT
 
0400~0450 고흥 안동고분
금동신발.
41685 SHARED COMMENT
 
0400~0450 고흥 안동고분 위성지도
41682 SHARED COMMENT
 
0400~0450 공주 수촌리
5세기초 굴식돌방무덤. 금동관과 금동신발, 금제이식, 고리자루큰칼, 중국제 흑유도기, 흑유 닭머리주전자 등이 출토되었다.
40733 SHARED COMMENT
 
0400~0450 공주 수촌리
금동신
41688 SHARED COMMENT
 
0400~0450 공주 수촌리
금동관모
41689 SHARED COMMENT
 
0400~0450 공주 수촌리 위성지도
40735 SHARED COMMENT
 
0450~0500 さんまいずか(三昧塚)
前方後円墳
40677 SHARED COMMENT
 
0450~0500 さんまいずか(三昧塚)
금동관
40678 SHARED COMMENT
 
0450~0500 さんまいずか(三昧塚) 위성지도
동경 북동쪽.
40741 SHARED COMMENT
 
0450± 나주 신촌리 9호분 금동관
나뭇가지를 부드러운 곡선으로 표현한 세움 장식이 영암 내동리 금동관편과 비슷하다.
10678 SHARED
 
0450± 부산 복천동 11호
나뭇가지 모양 장식이 일본 왕묘산 금동관모의 그것과 비슷하다.
41701 SHARED COMMENT
 
0450± 부산 복천동 11호
10586 SHARED
 
0450± 서산 부장리
4-5세기에 만들어진 무덤. 금동관모, 쇠자루솥, 금동이식, 곡옥, 각종 구슬류를 비롯한 고리자루 큰칼, 반부철모, 철겸, 쇠도끼, 각종 토기류가 출토되었다.
40732 SHARED COMMENT
 
0450± 서산 부장리
금동모
41691 SHARED COMMENT
 
0450± 서산 부장리 위성지도
41692 SHARED COMMENT
 
Military Dictionary
Aircrafts, tanks, missiles, ...
 
0450± 황남대총 남분 은관
10653 SHARED
 
0451 서봉총 금관
10666 SHARED
 
0500~0550 十善の森古墳
41696 SHARED COMMENT
 
0500~0550 도하산(稲荷山)
41707 SHARED COMMENT
 
0500~0550 도하산(稲荷山)
41709 SHARED COMMENT
 
0500± 강전선산(江田船山)
금동관모.
40740 SHARED COMMENT
 
0500± 강전선산(江田船山)
41671 SHARED COMMENT
 
0500± 고령 지산동
고령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해진다. 비교적 넓은 띠모양의 관테에 4개의 세움장식을 금실을 이용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하였다. 세움장식은 가장 꼭대기가 연꽃 봉오리모양이고 자연스럽고 사실적으로 표현된 풀잎모양을 하고 있다.
10683 SHARED
 
0500± 영암 내동리 쌍무덤 금동관편
나주 신촌리 9호분 금동관의 세움 장식과 비슷하다.
10590 SHARED
 
0500± 천안 용원리
돌덧널무덤. 금동 관모의 일부와 함께 동진(317-420)의 닭머리 도자기가 출토되었다.
40731 SHARED COMMENT
 
0500± 천안용원리 위성지도
41687 SHARED COMMENT
 
0500± 황남대총 북분 금관
10664 SHARED
 
0514? 천마총 금관
10665 SHARED
 
0523 무령왕릉 관식
금판을 뚫어서 덩굴 무늬를 장식했다. 좌우로 벌어진 줄기 중간에는 꽃 무늬를 배치하였으며, 줄기가 길게 연장되면서 마치 불꽃이 타오르는 듯한 모양새를 보여준다. 두 가닥은 아래로 향하게 하여 변화를 주고 있다. 앞면에는 전체에 걸쳐 구슬모양 꾸미개를 금실로 꼬아서 달았다.
10679 SHARED
 
0550~0600 금관총(金冠塚) 금동관
신라의 전형적인 세움 장식을 하고 있고 상주 금동관과 아주 흡사하기 때문에 신라에서 만들어졌거나 신라 금동관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보인다.
41674 SHARED COMMENT
 
0550~0650 나주 정촌고분
금동신발.
41684 SHARED COMMENT
 
0550~0650 나주 정촌고분
8042 SHARED COMMENT
 
0550± 상주 금동관
일본 금관총의 금동관과 비슷하다.
41678 SHARED COMMENT
 
0550± 왕묘산(王墓山) 금동관모
나뭇가지 모양 장식이 부산 복천동 금동관의 그것과 비슷하다. 부산 복천동 금동관보다 후대에 만들어졌기 때문에 가라 금동관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41698 SHARED COMMENT
 
0551~0571 ふじのき(藤ノ木) 금동관
새 장식이 있는 등 Tillya tepe 금관의 나뭇가지와 비슷하다.
41693 SHARED COMMENT
 
0551~0571 ふじのき(藤ノ木) 금동신발
41677 SHARED COMMENT
 
0600± 금령총 금관
10663 SHARED
 
0668↤ 전강서금관
전체적으로 Tillya tepe crown과 비슷하고 세움 장식은 ふじのき 금동관과 비슷하다. 화염문처럼 보이나 월지와 일본의 두 금동관과 비교해 볼 때 나뭇가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10677 SHARED
 
0720 일본서기
천조대신은 “그렇다면 마땅히 나의 아이를 내려 보내겠다.”라고 하였다. 마침내 내려 보내려고 할 때 황손이 태어났다. 이름은 천진언이라 한다. 이때 주상에 의해 “이 황손을 대신 내려 보내려 한다.”라고 하였다. 그래서 천조대신은 천진언에게 팔판경의 곡옥과 팔지경, 초치검 3종의 보물을 내렸다. (八坂瓊曲玉及八咫鏡草薙劒三種寶物)
10587 SHARED
 
1650± A Tungusic Shaman
1650± A Tungusic Shaman
As early as in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y, ethnologists and travellers observed crown-like headdresses of shamans from the Tungusic people, the Yeniseian people and the Buryats which had antlers (sometimes made of iron) attached to them.
10624 SHARED
 
1976 Ket people
시베리아 무당이 쇠로 된 관을 쓰고 있다. Sarmatian crown처럼 사슴 장식이 달려 있다. 이로써 Sarmatian crown의 장식은 무속 신앙으로부터 나왔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4340 SHARED
 
1976 Ket people
1976 Ket people
10589 SHARED
 
Granulation and the Tree of Life
In Eurasia, the image of the tree of life being flanked by two animals exists from the Near East to East Asia. The animals flanking the tree vary between goats, ibexes, deer and horses.
10623 SHARED
 
Granulation and the Tree of Life
In Siberia and Central Asia, the tree of life is a common myth shared by various cultures from prehistoric times to the present. In the branches of the tree reside the souls of the deceased in form of birds, waiting to be reborn.
10625 SHARED
 
Granulation and the Tree of Life
One characteristic of the Siberian worship is the close connection to the image of the antlers of deer which follow a similar cycle as the tree: being grown in spring and lost in autumn.
10626 SHARED
 
百濟 금동신발의 편년
제작기법과 문양을 통해 본 백제 금동신발의 편년
41690 SHARED COMMENT
 
사진 자료
Image Synthesize2020.09.30¦ᑅ±ᑀ강릉 초당동 금동관금관총충북 단양 금동관
 
세움 장식 (出자 모양)
○ 신라 금동관은 出자 모양의 나뭇가지 장식이 앞과 좌우에 있고 사슴뿔 장식이 뒤쪽 좌우에 있는 방식이 대표적이다. 사슴뿔 장식이 없는 것도 있고 出자 모양 대신 가라식 나뭇가지 장식이 있는 것도 있다. ○ 한국에서는 금관이 8개 출토되었는데 서라벌에서 6개가 나왔고 가라 지역에서 2개가 나왔다.
2607#10667 SHARED
 
세움 장식 (가라)
세움 장식 (가라)
가라의 금동관은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졌는데, 매우 투박하다.
10647 SHARED
 
세움 장식 (가라-新羅)
세움 장식 (가라-新羅)
가라와 신라의 나뭇가지 모양 세움 장식은 모두 직선형이나 기본적인 형태는 서로 다르다. 이 두 금동관은 일본에서 모두 출토되지만 초원이나 백제 또는 고려에서는 출토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본의 전방후원분처럼 이 두 금동관도 이들 지역에서 독자적으로 발전시킨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616 SHARED COMMENT
 
세움 장식 (곡선형)
월지, 고려, 백제 그리고 영산 마한의 금속관은 곡선형 세움 장식을 하고 있다. 신라 안압지 금동판보살에 있는 것과 같은 화염문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성덕대왕 신종 비천상에서처럼 단지 나뭇가지 또는 풀을 부드러운 곡선으로 아름답게 표현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가라와 신라의 세움 장식은 나뭇가지를 형상화했는데, 여기에 달려있는 새와 나뭇잎 달개가 이 곡선형 세움 장식에도 달려있기 때문이다.
2607#10676 SHARED
 
세움 장식 (곡선형)
세움 장식 (곡선형)
10615 SHARED COMMENT
 
세움 장식 (새깃 모양)
세움 장식 (새깃 모양)
10655 SHARED
 
세움 장식 (새깃 모양)
왼쪽부터 집안, 의성 그리고 경주에서 출토된 금동장식, 금동관 그리고 은관이다. 세움 장식의 테두리를 가늘게 꼬아서 새깃털의 느낌이 나므로 고려의 깃털 장식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나뭇가지나 사슴뿔에서 기원한 다른 세움 장식과 계통이 다르다.
2607#10672 SHARED
 
세움 장식 (왜)
세움 장식 (왜)
10648 SHARED
 
세움 장식 (왜)
왜의 금동관은 정형화되어 있지 않고 매우 다양하다. 그 중에는 신라와 가라에서 전해진 것으로 보이는 모양도 있다.
2607#10687 SHARED
 
세움 장식 종합
나뭇가지라는 동일한 기원에서 나왔고 서로 인접한 나라에서 만들어졌는데, 왜 고려-백제-마한과 가라-신라에서 만든 금동관이 확연하게 다를까? 다음 두 가지 방향으로 고찰해 본다. ❶ 고려-백제-마한은 중원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가라-신라는 초원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고려의 고분 벽화나 백제의 벽돌 무덤은 모두 중국 문화인데 신라에는 이러한 것들이 없다. 반면 신라에는 초원의 돌무지 나무덧널무덤이 있는데 이번에는 고려와 백제에 이것이 없다. ...
10637 SHARED
 
신 (거북 무늬)
0500~0550 도하산(稲荷山)0500~0550 도하산(稲荷山)0500~0550 도하산(稲荷山)0500± 강전선산(江田船山)0500± 강전선산(江田船山)0500± 강전선산(江田船山)0551~0571 ふじのき(藤ノ木)0551~0571 ふじのき(藤ノ木)0551~0571 ふじのき(藤ノ木) 금동신발
 
쓰개의 종류
冠, 帽, 笠, 巾 등으로 나뉜다.
10598 SHARED
 
양산 북정리
5세기 중후반 앞트기식돌방무덤.
40743 SHARED COMMENT
 
의성 금성산
5세기 후반 위석식 나무덧널무덤. 신라는 470년에 보은에 삼년산성을 쌓았고 고려는 449년 또는 495년에 충추에 고려비를 세웠다. 백제가 한성에 있었든 공주에 있었든 이 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힘들다.
40739 SHARED COMMENT
 
익산 입점리
5세기에 만들어진 굴식돌방무덤.
40734 SHARED COMMENT
 
창녕
5-6세기.
40742 SHARED COMMENT
 
통일교  금관
통일교 금관
Both of the Moon’s crowns have shaman motifs featuring Cosmic Trees and deer antlers. The seven branches on the Cosmic Tree indicate the wearer could travel through the seven levels of heaven.
26346 SHARED
 
통일교 금관
교주가 쓴 관은 신라의 전형적인 금관 모양을 따라했고 그 부인이 쓴 관은 고령에서 출토된 가라 금관의 모양을 따라했다. 옷이나 병풍 등을 볼 때, 단지 위대함을 표현하기 위해 쓴 듯하고 무속 신앙과는 상관이 없다. 이 두 사람이 금관을 쓴 이유는 신라와 가라에서 금관을 쓴 이유와 큰 차이가 나지 않을 것이다.
4330 SHARED
 
함평 신덕고분
금동관의 조각이 출토되었다.
41666 SHARED COM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