❶ 道武→陽武→道康┆古奚津→冬音→躭津┆道康+躭津→康津
❷ 忱彌多禮·枕彌多禮➔□牟羅·躭牟羅➔枕羅·躭羅·耽羅
양직공도(526~539)에는 枕羅가 등장하는데 일본서기(720)의 369년과 397년의 기록에 나오는 忱彌多禮 및 枕彌多禮와 연결될 수 있다.
수서(636)는 제주도를 □牟羅라 했는데, 북사(659)는 耽牟羅로 표기하였고, 삼국사기(1145)는 476년과 498년의 기록에 각각 躭羅와 耽羅로 표기하였다. 508년에 와서는 일본서기도 耽羅라 했다.
•
0369.03 日本書紀(720)
▐ 7국이면 낙동강 유역을 대부분 포함하므로 古奚津은 그 서쪽 즉, 전라도의 바닷가로 추정한다. 이곳에서 남쪽은 제주도다. '남쪽 오랑캐'라는 표현이 이질적인 문화권이었다는 인상을 주므로 더욱 바다 건너 제주도가 의심된다.
강진은 예로부터 탐라로 건너가는 나루여서 耽津이라 불리기도 했다. 이는 당나라로 건너가는 나루를 唐津이라 한 것과 같다.
따라서 忱彌多禮는 제주도로, 古奚津은 강진으로 가정한다.
이 가정은 屠라는 표현과 어울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7258#230
SIBLINGS
CHILDREN
COMMENT
230
•
康津縣
道康縣은 본래 백제의 道武郡이었는데, 신라 때에 陽武로 고쳤고, 고려 때에 도강현으로 고쳐 영암군에 예속시켰다. 탐진현은 본래 백제의 冬音縣이었는데, 신라 때에 탐진으로 고쳐 陽武郡에 예속시켰으며, 고려 때에는 영암군에 예속하였다가 뒤에 장흥부에 예속시켰다. 1417년에 병마도절제사의 營을 道康의 옛 치소에 옮겨 두 현을 합쳐 지금의 이름으로 고치고, 탐진을 치소로 하였다.
7258#25086
SIBLINGS
CHILDREN
2508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