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환과 선비는 유목민이고 부여, 고려 그리고 읍루는 농경민이었다. 부여와 고려인의 주된 관심은 토양이 곡식의 생산에 얼마나 적합한지였다. 부여와 고려에서 유목을 했다는 이야기는 아무데도 없고 부여와 고려인의 유골을 분석해 보아도 채식을 위주로 했다는 사실만 밝혀질 뿐이다. 그런데 고려와 읍루는 농업 생산력이 낮아서 노략질을 많이 하였다.
•
Haplogroups
C형과 O형은 모두 동남아에서 생겨났다. C형이 먼저 생겨나 북쪽으로 시베리아와 북미까지 퍼져나갔고 O형은 나중에 생겨나 C형을 밀어내며 동남아, 북중국, 한반도 그리고 일본열도까지 차지하였다.
C형은 원래 수렵과 채집을 했는데 나중에 유목을 도입하여 서쪽으로 초원을 따라 퍼져나갔고 O형은 농경민이어서 농경 한계선까지만 올라갔다.
烏桓, 鮮卑 그리고 靺鞨은 C형 선주민이고 貊, 濊, 沃沮 그리고 夫餘는 O형 이주민이다.
11389#5935
SIBLINGS
CHILDREN
5935
•
遼黑 지형
삼국지(289) 기록에 의하면 대흥안령 산맥 주변에 살던 烏桓과 鮮卑만 유목민이었고 貊, 濊, 沃沮, 夫餘 그리고 挹婁는 농경민이었던 것으로 나온다.
夫餘는 농경에 적합한 요하 평원에 있었고 貊, 濊, 沃沮 그리고 挹婁는 장백 산지에 있어 유목을 할 수 없는 지형이었다.
11389#5279
SIBLINGS
CHILDREN
5279
•
0289 三國志 貊高麗 ➔農耕
多大山深谷無原澤 높은 산과 깊은 골이 많고 구릉과 못이 없다. → 유목을 할 수 없는 지형이다.
┆ 無良田 雖力佃作 不足以實口腹
其俗節食 좋은 밭이 없으므로 열심히 농사를 지어도 식량이 부족하여 음식을 아낀다. → 농산물을 주식으로 했다.
┆ 祀靈星社稷 영성과 사직에 제사지낸다. → 영성은 농업을 관장하는 신으로 모셔진 별이고 사직은 토지와 곡식의 신이다.
11389#11397
SIBLINGS
CHILDREN
11397
•
0289 三國志 挹婁 ➔農耕
其土地多山險 그 땅은 산이 많고 험준하다. → 유목을 할 수 없는 지형이다.
┆ 有五糓牛馬麻布 5곡과 소·말·삼베가 산출된다. → 농업 활동을 한다.
┆ 處山林之間 常穴居 항상 산림 속에서 살며 혈거 생활을 한다. → 정착민이었다.
┆ 其俗好養豬 食其肉 衣其皮 그들은 돼지기르기를 좋아하여 그 고기는 먹고 가죽은 옷을 만들어 입는다. → 유목민은 돼지를 기르지 않는다.
11389#14845
SIBLINGS
CHILDREN
14845
•
0289 三國志 沃沮 ➔農耕
동옥저의 토질은 비옥하며 산을 등지고 바다를 향해 있어 오곡이 잘 자라며 농사짓기에 적합하다.
북옥저의 풍속은 남·북이 서로 같으며 읍루와 접해 있다. 읍루는 배를 타고 다니며 노략질하기를 좋아하므로 북옥저는 그들을 두려워하여 여름철에는 언제나 깊은 산골짜기의 바위굴에서 살면서 수비하고 겨울철에 얼음이 얼어 뱃길이 통하지 않아야 산에서 내려와 촌락에서 산다.
11389#19725
SIBLINGS
CHILDREN
19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