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la > 0512 四縣 > 上哆唎┆下哆唎

久麻那利는 공주인데 차령 남쪽 금강 가에 있으므로 이곳을 별읍으로 둔 下哆唎 또한 공주 남쪽 금강 수계에 있었을 듯하다. 금강은 상류에서 북쪽로 흐르다 계룡산을 돌아 하류에서는 서남쪽으로 흘러간다. 그래서 上哆唎와 下哆唎를 각각 금강의 상류와 하류로 설정해 본다. 이는 上己文, 上奇物 그리고 下奇物에도 적용되는 방식이다. 훗날 왜는 哆唎에서 나아가 신라를 치고 백제로 돌아갔는데, 금강 상류가 백제와 신라가 접전을 벌이던 곳이라 이 설정과 잘 어울린다.
 
Name Dictionary
Names are also vocabulary.
 
0245± 三國志(289)
爰襄國·牟水國·桑外國·小石索國·大石索國·優休牟涿國·臣濆沽國·伯濟國·速盧不斯國·日華國·古誕者國·古離國·怒藍國·月支國·咨離牟盧國·素謂乾國·古爰國·莫盧國·卑離國·占離卑國·臣釁國·支侵國·狗盧國·卑彌國·監奚卑離國·古蒲國·●致利鞠國·冉路國·兒林國·駟盧國·內卑離國·感奚國·萬盧國·辟卑離國·臼斯烏旦國·一離國·不彌國·支半國·狗素國·捷盧國·牟盧卑離國·臣蘇塗國·莫盧國·占臘國·臨素半國·臣雲新國·如來卑離國·楚山塗卑離國·一難國·狗奚國·不雲國·不斯濆邪國·爰池國·乾馬國·楚離國
29536#17325 SIBLINGS CHILDREN 17325
 
0250 圎山郷
▐ 백제가 마한을 멸망시킬 때 圓山과 錦峴은 이듬해까지 항복하지 않은 적이 있다. 그 圓山은 圎山郷과 관련이 있어 보이고 圎山郷은 신라의 서쪽 경계라고 했으므로 圓山은 대전이 어울린다. 이곳은 562년에 왜가 백제에서 신라를 공격할 때 출발한 哆唎에도 대응된다. 또 백제가 母山城을 공격한 이듬해에 拘壤 그리고 그 이듬해억 圎山郷을 공격한 것으로 보아 母山城과 拘壤도 대전에서 멀지 않을 듯하다.
29536#30138 SIBLINGS CHILDREN 30138
 
0477 日本書紀(720)
천황이 백제가 고려에게 패배했음을 듣고 久麻那利를 문주왕에게 주어 그 나라를 구원해 일으키게 하였다. 당시 사람들이 모두 “백제국은 비록 거의 망해 창하에 모여 근심하고 있으나, 실로 천황에게 의지하여 다시 그 나라를 만들게 되었다”고 하였다. 문주왕은 개로왕의 동생이다. 일본구기에서는 “久麻那利를 말다왕에게 주었다”고 하였는데, 아마도 잘못일 것이다. 구마나리는 任那國 下哆呼唎縣의 別邑이다.
29536#26741 SIBLINGS CHILDREN 26741
 
0477 국사편찬위원회
백제가 고구려의 침입에 쫓겨 옮겨간 熊津을 말하며 현재의 충청남도 公州이다. 구마나리의 古訓은 こむなり로, こむ는 한국어 곰(bear)이고 なり는 고대 한국어 나리(나루·노리)로 川·津의 뜻이다.
29536#29697 SIBLINGS CHILDREN 29697
 
0512 三國史記(1145) 百濟
고구려가 加弗城을 습격하여 빼앗고 군사를 옮겨 圓山城을 깨뜨렸는데, 죽이거나 약탈한 것이 매우 많았다. 왕이 용감한 기병 3,000명을 거느리고 葦川의 북쪽에서 싸웠는데 고구려 사람들이 왕의 군사가 적은 것을 보고 쉽게 생각하여 진을 치지 않았다. 왕이 나아가 갑자기 공격하여 크게 깨뜨렸다.
29536#30223 SIBLINGS CHILDREN 30223
 
0512.12 日本書紀(720)
백제가 사신을 보내어 조를 바쳤다. 따로 표를 올려 임나국의 上哆唎·下哆唎·娑陀·牟婁의 4현을 청했다. 哆唎國守 수적신압산이 “이 4현은 백제와 인접해 있고 일본과는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아침 저녁으로 통하기 쉽고 닭과 개인지를 구별할 수 없을 정도이니 지금 백제에게 주어 합쳐서 같은 나라로 만들면 굳게 지키는 계책이 이보다 나은 것이 없을 것입니다." 표에 따라 임나의 4현을 주었다.
29536#282 SIBLINGS CHILDREN COMMENT 282
 
0512.12 @하치리 @下哆唎
0512.12 @하치리 @下哆唎
512년 당시에도 논산에 저지대가 많이 남아 있었다면 下哆唎가 있을 만한 곳은 논산 북부가 될 것이다. 이는 재령 평야가 바다였었기 때문에 대방군의 치소가 산기슭에 가까운 곳에 있었던 것과 같다. 이곳에서 車峴을 넘어가는 길과 熊津江이 만나는 久麻那利를 경영했을 것이다.
29536#30244 SIBLINGS CHILDREN 30244
 
0512.12 上哆唎┆下哆唎
▐ 금강 변에 있는 공주를 別邑으로 두었다면 下哆唎도 금강 수계에 있었을 듯하다. 금강은 상류에서 북쪽로 흐르다 계룡산을 돌아 하류에서는 서남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간다. 그래서 上哆唎와 下哆唎를 각각 금강의 상류와 하류로 설정해 본다. 이는 上己文, 上奇物 그리고 下奇物에도 적용되는 방식이다.
29536#29538 SIBLINGS CHILDREN 29538
 
0529.03 日本書紀(720)
백제왕이 下哆唎國守 수적압산신에게 이르기를 “무릇 조공하는 사자는 늘 도곡을 피하느라 매번 풍파에 고통을 겪습니다. 이 때문에 가지고 가는 물건이 젖어서 모두 상하여 보기 흉합니다. 가라의 다사진을 신들이 조공하는 나루길로 삼기를 청합니다”라 하였다.
29536#40308 SIBLINGS CHILDREN COMMENT 40308
 
0540.09 日本書紀(720)
천황이 여러 신하에게, “어느 정도의 군사가 있으면 신라를 칠 수 있겠는가”하고 물었다. 물부대련미여 등이, “적은 군사로는 쉽게 칠 수 없습니다. 지난 번 백제가 사신을 보내 표를 올려 임나의 上哆唎·下哆唎·娑陀·牟婁의 네 현을 청하였는데, 대반대련금촌이 표에서 청하는 대로 구하는 곳을 내려 주었습니다. 이로 말미암아 신라의 원망이 여러 해 동안 쌓여 갔으니 가볍게 칠 수 없습니다”라고 아뢰었다.
29536#40309 SIBLINGS CHILDREN COMMENT 40309
 
0562.07 日本書紀(720)
이 달 대장군 기남마려숙녜를 보내어 군사를 거느리고 哆唎에서 출동하고, 부장군 하변신경부는 거증산으로부터 출동하도록 하여 신라가 임나를 공격한 상황에 대하여 문책하고자 하였다. ▐ 백제와 신라가 접전을 벌이던 곳은 금강 상류이니 이곳이 上哆唎라는 가정과 잘 어울린다.
29536#40371 SIBLINGS CHILDREN COMMENT 40371
 
0660↶ 百濟 熊川州
熊川州(一云熊津)┆熱也山縣┆伐音支縣┆西原(一云臂城 一云子谷)
29536#25160 SIBLINGS CHILDREN 25160
 
0660↶ 百濟 熊川州 熊津
29536#25432 SIBLINGS CHILDREN 25432
 
0664 熊津都督府
東明州 四縣┆熊津縣(夲熊津村)┆鹵辛縣(夲阿老谷)┆久遟縣(夲仇知)┆富林縣(夲伐音村)
29536#25120 SIBLINGS CHILDREN 25120
 
0664 熊津都督府 東明州
29536#25259 SIBLINGS CHILDREN 25259
 
0757 九州五小京 熊州
熊州 夲百濟舊都 唐髙宗遣蘇定方平之 置熊津都督府 新羅文武王取其地有之┆尼山縣 夲百濟熱也山縣 景徳王攺名 今因之┆清音縣 夲百濟伐音支縣 景徳王攺名 今新豊縣
29536#25164 SIBLINGS CHILDREN 25164
 
@공주
@구마나리(久麻那利 こむなり) @웅진
29536#30199 SIBLINGS CHILDREN 30199
 
くま
29536#26873 SIBLINGS CHILDREN 26873
 
대전
29536#30258 SIBLINGS CHILDREN 30258
 
사직돌 - 高句麗 최남단?
29536#30222 SIBLINGS CHILDREN 3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