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05.20 갖가지 실험
❶ 밥 두 술 + 북어국 ➔ 북어국은 혈당의 급격한 상승을 전혀 억제하지 못한다.
❷ 자판기 커피
❸ 밥 두 술 + 배추국 + 계란 2개 ➔ 북어국과 비교해 볼 때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❹ 밥 두 술 + 배추국 + 두부 반 모 ➔ 북어국과 비교해 볼 때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❺ 카페라떼 커피 200ml ➔ 혈당이 너무 높게 올라 먹을 수 없다.
❻ 밥 반 공기 + 배추 한 공기 국
http://qindex.info/i.php?x=33221
• ≤ _____ ≤ i
start┆address┆end┆image
▐ 유튜브에서 동영상 주소를 복사해서 address에 붙여넣고 좌우의 ≤를 누르면 그 동영상 값이 입력된다.
아래 stop 버튼을 누르면 0.4초 전의 시각이 address에 찍히는데 이때 좌우의 ≤를 누르면 start와 end 값이 입력된다.
i를 누르면 사진이 덮여지고 또 누르면 사진이 걷힌다. 사진은 듣기 연습을 위한 것이다.
http://qindex.info/i.php?x=22316
• 2009.05.03 선돌
강원도 영월군 방절리.
선돌은 신선암(神仙岩)이라고도 하는데 옛날에 신선이 노닐었다는 전설이 전해내려 온다.
높이는 70m쯤 된다고 한다.
아래로 흐르는 강은 서강(西江)으로 선돌아래에는 소(沼)가 있고 자라바위가 있다.
옛날 선돌아랫마을에 장수가 태어났는데 적과의 싸움에서 패하자 이곳에서 뛰어내려 자라바위가 되었다고 한다.
http://qindex.info/i.php?x=6063
• 05. 初獻
제주는 강신 때와 같이 꿇어앉아 분향한 후 좌집사로 부터 받은 잔에 우집사가 술을 가득히 부어주면 오른손으로 잔을 들어 모사에 조금씩 세번에 기울여 부은 뒤에 양손으로 받들어 집사에게 준다. 집사는 이를 받들어 먼저 考位 앞에 올린다. 다음으로 비위앞에 올리는 잔은 모사에 기울이지 아니하고 그대로 받아서 올리고 저를 고른 후에 재배한다.
http://qindex.info/i.php?x=28388
• 03. 焚香 降神
신위께서 降臨하시어 음식을 드시도록 청하는 뜻으로 祭主를 위시하여 모든 참사자가 신위 앞에 선 다음 제주는 꿇어앉아 분향하고 잔이 차지않게 따른 술잔을 右執事(대개 제주의 子姪이 함)로부터 받아서 茅沙에 세 번으로 나누어 부은 후에 빈 잔은 우집사에게 건네주고 일어나서 재배한다.┆姪 조카 질┆茅 띠 모┆沙 모래 사
http://qindex.info/i.php?x=28386
• · − + ε δ − + ·
start x┆start - 0.1 seconds┆start + 0.1 seconds┆ε↔x┆δ↔ε┆end - 0.1 seconds┆end + 0.1 seconds┆end x
▐ 좌우의 ·은 각각 start와 end 설정을 취소하는 것이고 -와 +는 start와 end를 각각 0.1초씩 앞당기거나 뒤로 물리는 버튼이다.
δ는 단어의 뜻일 경우에 설정하고 ε은 단어의 예문일 경우에 설정한다.
http://qindex.info/i.php?x=22318
• ← ↓ →
previous┆stop┆play·return
▐ ←를 누르면 마지막 stop 바로 전의 stop시각에서 재생을 시작한다.
↓을 누르면 재생이 중단되고 0.4초 전의 시각이 address에 찍힌다. 0.4초는 반응 속도를 감안한 것이다.
→를 누르면 중단 상태일 때는 중단된 재생이 다시 계속되고 재생중일 때는 start 시각 또는 동영상의 처음에서 재생을 시작한다.
http://qindex.info/i.php?x=22317
• 1281 삼국유사 - 古記
옛날에 한 부자가 광주(光州) 북촌에 살았다. 딸이 있었는데 자태와 용모가 단정했다. 딸이 아버지께 말하기를 ‘매번 자줏빛 옷을 입은 남자가 침실에 와서 관계하고 갑니다’라고 하자, 아버지가 말하기를 ‘긴 실을 바늘에 꿰어 그 남자의 옷에 꽂아 두어라’라고 하니 그대로 따랐다. 날이 밝자 실을 따라 북쪽 담 밑에 이르니 바늘이 큰 지렁이의 허리에 꽂혀 있었다. 이로 인해 아이를 배어 사내아이를 낳았는데 15세가 되자 스스로 견훤(甄萱)이라 일컬었다.
http://qindex.info/i.php?x=6077
• 0554 三國史記(1145)
백제 성왕이 가량(加良)과 함께 와서 관산성을 공격하였다. 군주인 각간 우덕과 이찬 탐지 등이 맞서 싸웠으나 전세가 불리하였다. 신주의 군주인 김무력이 주의 군사를 이끌고 나아가 교전하였는데, 비장인 삼년산군의 고간 도도가 급히 쳐서 백제왕을 죽였다. 이에 모든 군사가 승리의 기세를 타고 크게 이겨서 좌평 네 명과 군사 2만 9천 6백 명의 목을 베었고, 한 마리의 말도 돌아간 것이 없었다.
http://qindex.info/i.php?x=2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