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6
2am, 1pm 그리고 9pm의 낮은 봉우리는 식사에 의한 것이고 6am 그리고 3pm의 높은 봉우리는 수박에 의한 것이다. 11pm은 커피믹스.
http://qindex.info/i.php?x=33571
 2025.06.26 밥 대신 호도
고추장에는 물엿과 찹쌀이 들어가기 때문에 혈당을 상당히 올린다.
http://qindex.info/i.php?x=33566
 2025.06.21
2시경의 급상승은 커페라떼 200ml 때문이다.
http://qindex.info/i.php?x=33474
 2025.06.23
두부가 30% 들어간 라면을 반만 먹었는데도 계란, 두부 그리고 배추를 뚫고 혈당이 급상승했다.
http://qindex.info/i.php?x=33557
 2025.06.13 ~ 06.26
...
http://qindex.info/i.php?x=33284#33404
 glucose in blood
...
http://qindex.info/i.php?x=28#33284
 2025.05.29 ~ 06.12
...
http://qindex.info/i.php?x=33284#33282
 2026.05.26 점심
배가 꺼지기 전에 믹스 커피를 마신 결과.
http://qindex.info/i.php?x=33272
 2026.05.26 아침
뒷 봉우리는 방울 토마토 4개
http://qindex.info/i.php?x=33271
 2025.05.25
새벽의 급상승은 캔 커피(200ml) 때문이다.
http://qindex.info/i.php?x=33252
 2025.05.24 점심 ✘ (새참 망고 반 개)
➔ 열무우는 배추를 대체하지 못한다.
http://qindex.info/i.php?x=33256
  탄수화물 포함 밥상
❶ 반의 반 공기 밥 (또는 이에 준하는 면, 떡, 감자 등등) ❷ 배추국 (또는 이에 준하는 시레기국 등등) ❸ 두부 반 모 또는 계란 2개 (굽거나 삶거나 부치거나...) ④ 아침이나 점심 식사 3시간 후부터 다음 식사 2시간 전 사이에 믹스 커피 1잔 또는 귤 1개 (또는 이에 준하는 과일)
http://qindex.info/i.php?x=33235
 2025.05.22 어묵 2개 + 북어국 + 두부 반 모
17:30 자판기 커피
http://qindex.info/i.php?x=33233
 2025.05.22 반의 반 공기 밥 + 두부 반 모 ✘
➔ 두부 반 모만으로는 반의 반 공기 밥을 감당하지 못한다.
http://qindex.info/i.php?x=33232
 2025.05.22
❶ 반의 반 공기 밥 + 두부 반 모 ❷ 어묵 2개 + 북어국 + 두부 반 모 ③ 자판기 커피 ❹ 어묵 4개 + 배추국 + 계란 1개
http://qindex.info/i.php?x=33231
 2025.05.21 반의 반 공기 밥 + 배추국 ✘
(10:30 자판기 커피) ➔ 배추국만으로는 반의 반 공기 밥을 감당하지 못한다.
http://qindex.info/i.php?x=33227
 2025.05.21
❶ 반의 반 공기 밥 + 배추국 ② 10:30 자판기 커피 ❸ 반의 반 공기 밥 + 배추국 + 계란 2개 ❹ 반의 반 공기 밥 + 배추국 + 두부 반 모
http://qindex.info/i.php?x=33226
 2025.05.20 밥 반 공기 + 배추 한 공기 국 ✘
➔ 혈당 곡선이 뾰족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배추가 감속재 역할을 한다. 그러나 밥 반 공기를 안전 범위 안으로 묶어두지는 못한다.
http://qindex.info/i.php?x=33222
 2025.05.20 갖가지 실험
❶ 밥 두 술 + 북어국 ➔ 북어국은 혈당의 급격한 상승을 전혀 억제하지 못한다. ❷ 자판기 커피 ❸ 밥 두 술 + 배추국 + 계란 2개 ➔ 북어국과 비교해 볼 때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❹ 밥 두 술 + 배추국 + 두부 반 모 ➔ 북어국과 비교해 볼 때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❺ 카페라떼 커피 200ml ➔ 혈당이 너무 높게 올라 먹을 수 없다. ❻ 밥 반 공기 + 배추 한 공기 국
http://qindex.info/i.php?x=33221
 2025.05.19 갖가지 실험
❶ 자판기 커피 ❷ 밥 한 술 북어국 ❸ 어묵 1개 ❹ 밥 한 주걱 북어국 ❺❻ 귤 한개 + 두유 한 봉 (1 시간 시차) ❼ 어묵 2개
http://qindex.info/i.php?x=33218
  탄수화물 제외 밥상
➔ 배부르게 살을 빼는 데 좋을 듯하다.
http://qindex.info/i.php?x=33208
 2025.05.13 ~ 05.20
...
http://qindex.info/i.php?x=33284#33207
 지방 쓰는 방법
顯祖考學生府君神位 ┆ 顯祖妣孺人順天金氏神位
http://qindex.info/i.php?x=20166
 WXYZ
QBNlr9Xd0nQ
http://qindex.info/i.php?x=22391
 UV
UYQjPRjStWE
http://qindex.info/i.php?x=22390
 T
2GVrNj5Mpv0
http://qindex.info/i.php?x=22389
 S
1d8D93_4L8E
http://qindex.info/i.php?x=22388
 QR
c6bDLt_gR3s
http://qindex.info/i.php?x=22387
 P
3qQIDAdhKAE
http://qindex.info/i.php?x=22386
 O
K4yq-Mpvi9c
http://qindex.info/i.php?x=22385
 N
tHzDW_ln4w4
http://qindex.info/i.php?x=22384
 M
L2XHEuE5kCE
http://qindex.info/i.php?x=22383
 L
fH2GJW_XJy8
http://qindex.info/i.php?x=22382
 JK
eJ3OCq-Hezg
http://qindex.info/i.php?x=22381
 I
E0IiLnJG_eM
http://qindex.info/i.php?x=22380
 H
XOUnNO2cG_I
http://qindex.info/i.php?x=22379
 G
I_bNr2-c90E
http://qindex.info/i.php?x=22378
 F
eENBbhjvgeQ
http://qindex.info/i.php?x=22377
 E
5jjxaOZcXyo
http://qindex.info/i.php?x=22376
 D
vXkfoUxgyEU
http://qindex.info/i.php?x=22375
 C
HOLvM1SmKOA
http://qindex.info/i.php?x=22374
  ≤ _____ ≤ i
start┆address┆end┆image ▐ 유튜브에서 동영상 주소를 복사해서 address에 붙여넣고 좌우의 ≤를 누르면 그 동영상 값이 입력된다. 아래 stop 버튼을 누르면 0.4초 전의 시각이 address에 찍히는데 이때 좌우의 ≤를 누르면 start와 end 값이 입력된다. i를 누르면 사진이 덮여지고 또 누르면 사진이 걷힌다. 사진은 듣기 연습을 위한 것이다.
http://qindex.info/i.php?x=22316
 02 이 툴을 사용하는 방법을 익힌다.
로그인 상태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http://qindex.info/i.php?x=22311#22315
 2009.05.03 선암마을
강원동 영월군 서면 옹정리. 한반도의 지형을 닮았다는 사실이 마을주민에 의해 우연히 발견되어 유명해 졌다.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굽이쳐 흘러가는 강은 서강(西江)이다.
http://qindex.info/i.php?x=2357
 2009.05.03 선돌
강원도 영월군 방절리. 선돌은 신선암(神仙岩)이라고도 하는데 옛날에 신선이 노닐었다는 전설이 전해내려 온다. 높이는 70m쯤 된다고 한다. 아래로 흐르는 강은 서강(西江)으로 선돌아래에는 소(沼)가 있고 자라바위가 있다. 옛날 선돌아랫마을에 장수가 태어났는데 적과의 싸움에서 패하자 이곳에서 뛰어내려 자라바위가 되었다고 한다.
http://qindex.info/i.php?x=6063
 2009.05.16 금하굴
경북 문경 가은에 있다. 견훤의 아버지인 지렁이가 살던 굴이라고 한다.
http://qindex.info/i.php?x=9087
 15. 辭神 ❽ ↆↆ
숭늉의 수저를 거두고 밥그릇을 닫는다. 일동 두 번 절한다. 지방을 불사른다.
http://qindex.info/i.php?x=28408
 13. 獻茶 ❼
국을 물리고 숭늉을 올린다. 밥을 숭늉에 세 번 말아 놓고 수저를 숭늉 그릇에 놓는다. 잠시 무릎을 꿇고 기다린다.
http://qindex.info/i.php?x=28407
 11. 闔門 ❻
일동 무릎을 꿇고 잠시 기다린다.
http://qindex.info/i.php?x=28406
 10. 侑食 ❺ ↆ
집사가 밥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꽂은 뒤 젓가락을 내려 놓는다. 제주가 두 번 절한다.
http://qindex.info/i.php?x=28405
 06. 讀祝 ❹ ↆↆ
모두 잠시 꿇어 않았다가 다같이 두 번 절한다.
http://qindex.info/i.php?x=28403
 05. 初獻 ❸ ↆ
집사가 잔을 제주에게 주고 술을 부어준다. 제주는 잔을 향불 위에 세 번 돌리고 집사에게 준다. 집사가 술을 올리고, 젓가락을 음식 위에 놓는다. 제주가 두 번 절한다.
http://qindex.info/i.php?x=28402
 04. 參神 ❷ ↆↆ
일동이 모두 두 번 절한다.
http://qindex.info/i.php?x=28401
 03. 降神 ❶ ↆ
제주가 향을 피운다. 집사가 잔에 술을 부어주면 제주가 退酒 그릇에 3번 나누어 붓고 두 번 절한다.
http://qindex.info/i.php?x=28400
 16. 撤床
모든 제수를 물리는 것을 철상이라 하며 제수는 뒤쪽에서부터 물린다.
http://qindex.info/i.php?x=28399
 15. 辭神
참사자 일동은 재배한 다음 신주는 본래의 사당으로 모시고 지방과 축문은 불사른다. 즉 신위와 작별을 뜻하는 것이다.┆辭 말씀 사
http://qindex.info/i.php?x=28398
 14. 撤匙復飯
철시복반이란 숭늉 그릇에 놓인 수저를 거둔 다음 메 그릇에 뚜껑을 닫는 것을 말한다.┆메 제사 때 神位 앞에 놓는 밥
http://qindex.info/i.php?x=28397
 13. 獻茶
숭늉을 갱과 바꾸어 올린 다음 수저로 메를 조금씩 세 번 떠서 말아놓고 著를 고르고 난 후에 참사자 일동은 잠시 揖한 자세로 있다가 제주의 기침 소리에 따라서 고개를 든다. ┆著 나타날 저┆揖 읍┆獻 바칠 헌
http://qindex.info/i.php?x=28396
 12. 開門
개문이란 문을 여는 것을 말하는데 제주는 문을 열기전에 우선 기침을 세 번하고 난 후에 문을 열고 들어간다.
http://qindex.info/i.php?x=28395
 11. 闔門
합문이란 참사자 일동이 강림하신 신위께서 진설한 제주 음식을 흠향 하시도록 한다는 뜻으로 방에서 나온 후 문을 닫는 것을 말하는데 대청에서 제사를 지내는 경우에는 뜰 아래로 내려와 조용히 기다린다.┆闔 문짝 합
http://qindex.info/i.php?x=28394
 10. 添酌
초헌자가 신위 앞에 꿇어앉아 우집사가 새로운 술잔에 술을 조금 따라주면 받아서 좌집사에게 준다. 좌집사는 이것을 받아, 종헌자가 종헌때 모사에 기울였기 때문에 차지 않은 잔에 세 번으로 나누어 첨작하고 재배한다. 첨작을 侑食이라고도 한다.┆添 더할 첨┆酌 술 부을 작┆侑 권할 유
http://qindex.info/i.php?x=28393
 09. 啓飯揷匙
메 그릇 뚜껑을 열어 놓고 수저를 꽂는 것으로서 이때 수저 바닥이 동쪽(신위를 향해 선 제주의 오른편)으로 가게하여 꽂는다. ┆啓 열 계┆飯 밥 반┆揷 꽂을 삽┆匙 숟가락 시
http://qindex.info/i.php?x=28392
 08. 終獻
아헌자 다음가는 근치자가 끝잔으로 올리는 것을 종헌이라고 하는데, 종헌자는 잔을 받아서 초헌 때와 같이 모사에 세번 기울였다가 올린다.
http://qindex.info/i.php?x=28391
 07. 亞獻
둘째번 잔을 올리는 것을 아헌이라 하며 주부[주부는 재배가 아닌 四拜]가 올리는 것이 관례이나 제주 다음의 근친자가 초헌과 같은 순서에 따라 올릴 수도 있다.
http://qindex.info/i.php?x=28390
 06. 讀祝
축문 읽는 것을 독축이라 하며 초헌 후에 일동이 꿇어앉으면 제주옆에 앉은 축관이 천천히 크게 축문을 읽는다. 다 읽고나면 일동은 기립하여 재배한다. 독축은 초헌에 한한다.
http://qindex.info/i.php?x=28389
 05. 初獻
제주는 강신 때와 같이 꿇어앉아 분향한 후 좌집사로 부터 받은 잔에 우집사가 술을 가득히 부어주면 오른손으로 잔을 들어 모사에 조금씩 세번에 기울여 부은 뒤에 양손으로 받들어 집사에게 준다. 집사는 이를 받들어 먼저 考位 앞에 올린다. 다음으로 비위앞에 올리는 잔은 모사에 기울이지 아니하고 그대로 받아서 올리고 저를 고른 후에 재배한다.
http://qindex.info/i.php?x=28388
 04. 參神
참신은 강신을 마친 후에 제주 이하 일동이 일제히 신위를 향하여 재배한다. 神主를 모시고 올리는 제사인 경우에는 참신을 먼저 하고 紙榜인 경우에는 강신을 먼저 한다.┆榜 붙일 방┆參 참여할 참
http://qindex.info/i.php?x=28387
 03. 焚香 降神
신위께서 降臨하시어 음식을 드시도록 청하는 뜻으로 祭主를 위시하여 모든 참사자가 신위 앞에 선 다음 제주는 꿇어앉아 분향하고 잔이 차지않게 따른 술잔을 右執事(대개 제주의 子姪이 함)로부터 받아서 茅沙에 세 번으로 나누어 부은 후에 빈 잔은 우집사에게 건네주고 일어나서 재배한다.┆姪 조카 질┆茅 띠 모┆沙 모래 사
http://qindex.info/i.php?x=28386
 02. 就神位
지방이나 사진을 교의에 모신다.
http://qindex.info/i.php?x=28385
 17. 飮福
음복이란 조상께서 주시는 복된 음식이라는 뜻으로 받아들이고 제사가 끝나는 대로 참사자와 가족이 모여서 함께 먹을 뿐만 아니라 이웃에 나누어주기도 하고 또 이웃 어른들을 모셔다가 대접하기도 한다.
http://qindex.info/i.php?x=28384
 01. 設位
參祀者가 손을 씻은 다음 진설 순서에 의해 祭需를 陳設하고 참사자가 배열해 선다.
http://qindex.info/i.php?x=28383
 <
메모를 위한 text 입력창이 뜬다.
http://qindex.info/i.php?x=22321
  50 60 70 80 90 100
volume in percentage
http://qindex.info/i.php?x=22320
  + ↑ ×
bookmark┆5 seconds ago┆close ▐ +는 일반인들에게 보여지는 창을 띄우는 것이고 ↑는 5초 전부터 재생하는 것이며 ×는 창을 닫는 것이다.
http://qindex.info/i.php?x=22319
  · − + ε δ − + ·
start x┆start - 0.1 seconds┆start + 0.1 seconds┆ε↔x┆δ↔ε┆end - 0.1 seconds┆end + 0.1 seconds┆end x ▐ 좌우의 ·은 각각 start와 end 설정을 취소하는 것이고 -와 +는 start와 end를 각각 0.1초씩 앞당기거나 뒤로 물리는 버튼이다. δ는 단어의 뜻일 경우에 설정하고 ε은 단어의 예문일 경우에 설정한다.
http://qindex.info/i.php?x=22318
  ← ↓ →
previous┆stop┆play·return ▐ ←를 누르면 마지막 stop 바로 전의 stop시각에서 재생을 시작한다. ↓을 누르면 재생이 중단되고 0.4초 전의 시각이 address에 찍힌다. 0.4초는 반응 속도를 감안한 것이다. →를 누르면 중단 상태일 때는 중단된 재생이 다시 계속되고 재생중일 때는 start 시각 또는 동영상의 처음에서 재생을 시작한다.
http://qindex.info/i.php?x=22317
 01 여기에 가입해서 계정을 만든다.
그리고 페이지와 폴더를 만들고 복사하고 지우는 방법을 익힌다.
http://qindex.info/i.php?x=22312
 0486 三國史記(1145)
신라 소지 마립간이 이찬 실죽을 장군으로 삼았다. 一善界 장정 3천 명을 징발해서 三年과 屈山 두 성을 고쳐 쌓았다. -- 일선은 지금의 선산이고 굴산은 삼년산성 남쪽 옥천 청산으로 추정된다.
http://qindex.info/i.php?x=6072
 1281 삼국유사 - 古記
옛날에 한 부자가 광주(光州) 북촌에 살았다. 딸이 있었는데 자태와 용모가 단정했다. 딸이 아버지께 말하기를 ‘매번 자줏빛 옷을 입은 남자가 침실에 와서 관계하고 갑니다’라고 하자, 아버지가 말하기를 ‘긴 실을 바늘에 꿰어 그 남자의 옷에 꽂아 두어라’라고 하니 그대로 따랐다. 날이 밝자 실을 따라 북쪽 담 밑에 이르니 바늘이 큰 지렁이의 허리에 꽂혀 있었다. 이로 인해 아이를 배어 사내아이를 낳았는데 15세가 되자 스스로 견훤(甄萱)이라 일컬었다.
http://qindex.info/i.php?x=6077
 1145 三國史記
처음 견훤이 태어나 아기 포대기에 싸여 있을 때 아버지가 들에서 일하면 어머니가 그에게 식사를 날라다 주었는데, 아이를 숲 밑에 놓아두면 호랑이가 와서 젖을 먹였다. 마을에서 들은 사람들이 기이하게 여겼다.
http://qindex.info/i.php?x=6079
 1145 三國史記
견훤(甄萱)은 상주 가은현 사람이다. 본래의 성은 이(李)씨였으나 후에 견(甄)으로 씨를 삼았다. 아버지 아자개는 농사를 지으며 자기 힘으로 살다가 후에 가문을 일으켜 장군이 되었다.
http://qindex.info/i.php?x=6078
 0660.09.28 三國史記(1145)
삼년산성에 이르러서 조서를 전달하였는데, 문도는 동쪽을 향하여 서고, 대왕은 서쪽을 향하여 섰다. 칙명을 전한 후에 문도가 당(唐) 황제의 예물을 주려고 하다가 갑자기 병이 나서 곧바로 죽었으므로 따라 온 사람이 대신하여 일을 마쳤다.
http://qindex.info/i.php?x=6074
 0470 三國史記(1145)
삼년산성을 쌓았다. 삼년이라는 것은 공사를 시작한 지 3년 만에 완공하였기 때문에 그렇게 불렀다.
http://qindex.info/i.php?x=6073
 0554 三國史記(1145)
백제 성왕이 가량(加良)과 함께 와서 관산성을 공격하였다. 군주인 각간 우덕과 이찬 탐지 등이 맞서 싸웠으나 전세가 불리하였다. 신주의 군주인 김무력이 주의 군사를 이끌고 나아가 교전하였는데, 비장인 삼년산군의 고간 도도가 급히 쳐서 백제왕을 죽였다. 이에 모든 군사가 승리의 기세를 타고 크게 이겨서 좌평 네 명과 군사 2만 9천 6백 명의 목을 베었고, 한 마리의 말도 돌아간 것이 없었다.
http://qindex.info/i.php?x=2228
 NetworkSolutions
domain registration/payment
http://qindex.info/i.php?x=216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