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前 NYT 도쿄지국장 참회록
김대중은 한국군(韓國軍)에 입대한 일이 없었지만 일본제국(日本帝國) 육군(陸軍)에 지원하여 근무한 사실이 있다. 제2차 세계대전 때 그는 일본군 하사관(下士官)의 군복을 입고 있었다.
▐ 이 주장은 근거가 제시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김대중은 일본이 패망할 때 일본인 선박회사에 다니고 있었다고 알려져 있다.
12
COMMENT
•
1998-09-12 일본 천황 호칭 다시 사용
정부가 김대중 대통령의 방일을 계기로 통상적으로 일왕으로 불리던 일본 천황에 대해 천황 명칭을 사용하기로 했다. 박지원 청와대 대변인은 상대국 호칭을 그대로 불러주는 게 국제외교의 관례라며 정부도 그동안 대일 공식문서나 연설 등에서는 일관되게 천황이라는 표현을 써왔다고 말했다. 1986년 이전까지 천황이란 명칭을 사용하다 1989년 일본의 재일동포 지문날인에 대한 반발로 언론이 일왕으로 낮춰부르자 정부는 일황이라는 호칭을 사용해 왔었다.
23996
COMMENT
•
1998-09-18 천황 공식호칭에 대한 김조의 비난
김조는 노동신문 논평에서 김대중 정부가 일본 왕을 천황으로 공식호칭키로 한 것은 "비굴성과 친일사대 매국성의 집중적 발로로서 또 하나의 매국행위이며 일제의 망령을 되살리는 역적행위"라고 비난했다. 이 신문은 "조선과 아시아 나라들에 대한 일제의 침략과 식민지 통치는 천황이라는 이름과 직접 결부돼 있어서 우리 민족은 천황이라는 말만 들어도 천인공노할 일제의 죄행이 연상돼 치를 떨고 있다"고 보도했다.
41720
COMMENT
•
1998-10-07 종군위안부 배상요구 중단
김 대통령은 방일 전에 이미 큰 선물을 일본 측에 주었다. 한국 사람이 입에도 올리기 싫어하던 '천황'이란 표현을 사용하는 결단을 내렸다. 김 대통령은 이미 취임한 지 얼마되지 않아 종군위안부에 대한 배상책임을 일본 정부에 더 이상 묻지 않는다는 결정도 이끌어 냈다. (일본에 가서는 천황이란 표현을 쓰고 국내에서는 일왕이란 표현을 쓰는 이중잣대를 없앤 것.)
38950
COMMENT
•
1999-11-02 김대중의 친일친미범죄록
일찍이 8·15전에 일본인 상선회사에 입직해 업주에게 굽신거리며 잘 보인덕에 돈푼이나 얻어쓰면서 돈맛을 알게 된 김대중은 일본이 패망한후 일본인 소유였던 상선회사의 경영권을 장악하고 본격적인 돈벌이에 나섰다.
그는 온갖 사기협잡의 방법으로 짧은 기간에 「목포의 젊은 실업가」,「재력가」로 등장했다.
9777
•
2000-09 백기완
"겉으로는 평양에 가서 통일을 말하지만, 남한 사회를 완전히 미국 자본에 넘겨주었잖아. 통일이 돼도 미군을 그대로 두어야 한다고 말하잖아. 어떻게 냉전구조를 고착화시키는 미군을 그대로 두고 통일을 할 수 있겠어. 그래서 김대중씨는 입으로 통일을 말해도 실제로는 이율배반에 빠져 있다는 거야."
17513
COMMENT
•
2014-02-27 동두천사건 공소시효 만료
1999년 1월30일 동두천시 보산동의 주택에서 A(여·당시 45)씨가 숨진 채 발견됐다. 시신은 나체로 전신에 구타 흔적과 목에 전선이 둘둘 감긴 참혹한 상태였다. 침대 위에는 빨간 립스틱으로 'whore(매춘부)'라는 글씨가 적혔고 100달러쯤의 지폐도 놓였다. 경찰은 2001년 4월30일 수사본부를 해체했다. 그리고 지난달 공소시효 만료에 따라 영구미제사건으로 남았다.
39545
COMMENT
1980년 미대사관이 분석한 광주□□
It is probable that regionalism is playing significant roll in the intensity of the riot in Kwangju.
지역주의가 광주 폭동을 격화시키는 주요 원인이었을 수 있다.
•
한국형 핵잠수함 백지화
1994년 당시 김영삼 대통령이 원자력연구소 과학자들에게 “핵추진 잠수함용 원자로를 건설하라”고 지시했다는 것. 그리고 원자력연구소는 러시아 핵잠수함 도면을 입수해 잠수함 탑재용 원자로를 설계했고, 국방부는 국방과학연구소(ADD)에 핵추진 잠수함의 무기체계 설계를 지시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김대중 정부 출범 후 새로 개편된 군 수뇌부는 이 계획을 전면 백지화하고 차기 잠수함 사업을 원점에서 다시 검토했다.
23144
COMMENT
•
핵연료 재처리 추진 중단
한나라당이 공식 제기한 '평화적 핵연료 재처리' 등 핵 권리 회복은 김영삼 정부 시절 '민간 주도' 형식으로 추진되다 김대중 정부가 출범하면서 중단됐다고 김영삼 정부 때 대통령 비서실장을 지낸 박관용 전 국회의장이 밝혔다.
23049
COM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