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萬盧(만로)
❖邁盧(매로)
♻邁羅(매라)
┆
❶娑陀(사타)
❷沙吒(사타)
❸沙宅(사택)
❹砂宅(사택)
❺泗沘(사비)
❻所夫里(소부리)
❼居拔(거발)
❽嵎夷(우이)
•
0289 三國志
爰襄國
牟水國
桑外國
小石索國
大石索國
優休牟涿國
臣濆沽國
伯濟國
速盧不斯國
日華國
古誕者國
古離國
怒藍國
月支國
咨離牟盧國
素謂乾國
古爰國
莫盧國
卑離國
占離卑國
臣釁國
支侵國
狗盧國
卑彌國
監奚卑離國
古蒲國
致利鞠國
冉路國
兒林國
駟盧國
內卑離國
感奚國
✿萬盧國
辟卑離國
臼斯烏旦國
一離國
不彌國
支半國
狗素國
捷盧國
牟盧卑離國
臣蘇塗國
莫盧國
占臘國
臨素半國
臣雲新國
如來卑離國
楚山塗卑離國
一難國
狗奚國
不雲國
不斯濆邪國
爰池國
乾馬國
楚離國
738#6685
SIBLINGS
CHILDREN
6685
•
0490 南齊書(537)
녕삭장군 面中王 저근은 정치를 두루 잘 보좌하였고 무공 또한 뛰어났으니 이제 가행관장군 도장군 都漢王이라 하였고, 건위장군 八中侯 여고는 젊을 때부터 임금을 도와 충성과 공로가 진작 드러났으므로 이제 가행녕삭장군 阿錯王이라 하였고, 건위장군 여력은 천성이 충성되고 정성스러워 문무가 함께 두드러졌으므로 이제 가행용양장군 ❖邁盧王이라 하였으며, 광무장군 여고는 정치에 공로가 있고 국정을 빛내고 드날렸으므로 이제 가행건위장군 弗斯侯라 하였습니다.
738#10276
SIBLINGS
CHILDREN
10276
•
0540.09 日本書紀(720)
천황이 여러 신하에게, “어느 정도의 군사가 있으면 신라를 칠 수 있겠는가”하고 물었다. 물부대련미여 등이, “적은 군사로는 쉽게 칠 수 없습니다. 지난 번 백제가 사신을 보내 표를 올려 임나의 上哆唎·下哆唎·❶娑陀·牟婁의 네 현을 청하였는데, 대반대련금촌이 표에서 청하는 대로 구하는 곳을 내려 주었습니다. 이로 말미암아 신라의 원망이 여러 해 동안 쌓여 갔으니 가볍게 칠 수 없습니다”라고 아뢰었다.
738#4054
SIBLINGS
CHILDREN
COMMENT
4054
•
0654 ◾沙宅=砂宅=沙吒=娑陀=泗沘
웅진으로 천도한 이후 백제에는 沙씨가 등장하는데, 이 沙씨는 砂宅, 沙宅 또는 沙吒로도 나타난다. 砂宅智積碑는 泗沘에서 출토되었는데, 이는 沙씨가 백제 왕조에 편입된 泗沘 지방의 토착 세력이기 때문일 것이다.
나아가 泗沘는 일본서기(720)에서 임나4현의 하나로 나오는 娑陀의 다른 표기일 가능성도 생긴다.
泗沘는 久麻那利에서 가깝고 久麻那利는 임나 4현의 하나인 下哆唎의 별읍이라고 되어 있기 때문이다.
738#25074
SIBLINGS
CHILDREN
25074
•
0660.03 三國史記(1145)
3월에 당나라 고종이 좌무위대장군 소정방을 神丘道行軍大摠管으로 삼고 김인문을 부대총관으로 삼아, 좌효위장군 유백영 등 수군과 육군 130,000명을 거느리고 백제를 치게 하였다. 칙명으로 왕을 嵎夷道行軍總管으로 삼아서 장수와 군사를 거느리고 응원하게 하였다.
▐ 神丘는 외몽골에 있었던 燕然山을 가리키는 말이었고 嵎夷는 산둥반도의 萊夷 또는 동쪽의 九夷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738#25713
SIBLINGS
CHILDREN
25713
•
0664 熊津都督府
都督府 一十三縣┆❽嵎夷縣┆神丘縣┆尹城縣(夲悅已)┆麟德縣(夲古良夫里)┆散昆縣(夲新村)┆安遠縣(夲仇尸波知)┆賔汶縣(夲比勿)┆歸化縣(夲麻斯良)┆♻邁羅縣┆甘蓋縣(夲古莫夫里)┆奈西縣(夲奈西兮)┆得安縣(夲德近支)┆龍山縣(夲古麻山)
▐ 嵎夷縣과 邁羅縣이 별개로 되어 있다.
도읍이었던 泗沘를 빼지는 않았을 터이니 이 중에서 하나가 泗沘일 것이다.
738#8583
SIBLINGS
CHILDREN
8583
•
0678 禰軍 墓誌銘
公諱軍字溫熊津❽嵎夷人也
공의 이름은 군이고 자는 온이며 웅진의 우이 사람이다.
▐ 예군은 백제의 고관을 지냈으므로 당시 백제의 도읍이었던 泗沘에 살았을 것이다. 당나라가 설치한 도독부의 13현 가운데 嵎夷縣이 있는데, 泗沘 사람을 嵎夷人이라 한 걸 보면 嵎夷縣은 泗沘에 설치된 縣일 듯하다.
738#25175
SIBLINGS
CHILDREN
25175
...
솔직히 까놓고 말하는 역사
•
목간 - 궁남지
금강 서쪽의 넓은 평야는 높은 농업 생산력으로 인해 정치적 성장이 일찍부터 이루어졌을 듯하다. 그것이 삼국지(289)에 나오는 萬盧國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통치 세력은 체제 유지에 유리한 금강 동쪽으로 옮겨갔고 그곳은 일본서기(720)에 나오는 娑陀일 수 있다.
그들은 그곳의 지명을 따 자신들을 沙씨라 불렀고 동성왕 표문(495)에 나오는 邁羅王 沙法名은 그들 중 한 명일 수 있다.
738#25399
SIBLINGS
CHILDREN
2539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