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la > sources > 新羅民族論 > 0676 新羅 > (2) 다종족 상태 > 유민

고대 동북아 유민의 가장 큰 흐름은 중국, 특히 연나라에서 조선으로 유민이 흘러가고 또 조선에서 진한으로 유민이 흘러오는 경향이다. 조선이 낙랑이 된 이후에도, 그리고 진한이 신라가 된 이후에도, 이러한 경향은 계속 이어졌다. 한편, 백제와 고려가 패망하면서 많은 유민들이 당나라와 왜로 건너갔다.
 
선사 시대의 유민
한국인의 Haplogroup은 북중국 및 서일본과 비슷하다. 이것은 한중일 공통 조상이 동남아에서 해안을 따라 올라와 북중국에 정착하고 일부는 발해안을 지나 한국으로 갔으며 다시 일부는 해협을 건너 일본 서부로 갔다는 이야기로 설명될 수 있다.
11255 SHARED
 
-0091 燕 → 朝鮮 → 辰韓
東北亞 古代史 槪念圖-0209± 위략 (265±)-0209± 三國志(289)-0209± 三國志(289)-0195± 史記(-91)-0195+ 史記(-91)-0177 後漢書(445)-0109- 史記(-91)-0109- 위략(265±)-0057 三國史記(1145)-0045 새로 발견된 樂浪木簡0020~0023 위략(265?)0313+ 낙랑고려락랑구역
 
0043 Roman Britain
0043 Roman Britain
24889 SHARED
 
0400~0500 Anglo-Saxon Settlements
0400~0500 Anglo-Saxon Settlements
24888 SHARED
 
0636 百濟 → 新羅
수서에는 옥저로 쫓겨간 고려의 패잔병이 돌아가지 않고 남아 신라를 세웠다는 이야기에 덧붙여 신라의 왕이 본래 백제 사람이었는데 바다로 도망쳐 신라로 들어가 그 나라의 왕이 되었다는 이야기도 싣고 있다. 삼국지에는 백제의 전신인 마한이 신라의 전신인 진한의 왕을 세웠다는 이야기와 조선의 준왕이 위만에 쫓겨 바다로 도망가 마한을 차지하고 韓王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실려 있다. 수서의 두 번째 이야기는 삼국지의 두 이야기가 섞여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1763#5810 SHARED COMMENT
 
0636 辰韓 → 新羅
0636 양서0659 북사1145 三國史記
 
0636 高麗 → 新羅
수서에는 위나라의 관구검에게 쫓겨 옥저로 갔던 고려군 중 일부가 돌아가지 않고 남아 신라를 세웠다는 이야기가 실려 있다. 이 이야기는 북사에도 동일하게 실려 있다. 그러나 진나라의 유민이 진한에 와서 살았고 그 진한에서 신라가 나왔다는 이야기를 먼저 소개한 뒤, '이런 이야기도 있다'며 수서의 이 이야기를 덧붙이고 있어 신뢰성을 부여하지 않고 있다.
1763#5808 SHARED COMMENT
 
0636 樂浪 → 新羅
수서에는 신라가 한나라 때의 낙랑 땅에 있다고 되어 있다. 이런 설명은 북사와 두 당서에서도 이어졌다. 그런데 치소가 대동강 유역에 있는 낙랑이 신라가 일어난 지역까지 아울렀다는 이야기는 매우 어색하다. 신라의 전신인 진한이 형식상 낙랑에 소속되었다거나 낙랑의 유민이 신라나 신라의 전신인 진한으로 흘러온 사실이 와전된 것일까? 아니면 맥고려의 동남쪽에 있던 예를 낙랑고려의 동남쪽에 있는 신라로 착각한 것일까? 예는 한때 한나라 낙랑군 동부도위였었다.
1763#5805 SHARED COMMENT
 
0668 高麗 → 唐
중국학자들의 최근 연구 성과에 의하면 멸망 시 고구려인 숫자는 대략 70여만 명 정도였는데 이 가운데 30여만 명이 중원 각지로 유입되었다고 한다. 신라에 귀의한 사람은 10만 정도였고, 말갈(발해)에 의탁한 사람은 10만 이상, 돌궐로 옮겨간 고구려인은 1만여 명이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렇게 하면 대략 50여만 명 정도가 네 방면으로 이주한 셈이 되는데, 나머지 20여만 명은 요동 각지로 흩어져 유민이 되고, 전쟁 와중에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11262 SHARED
 
0681 匈奴 → 新羅
신라왕은 521년에 양나라에 보낸 사신 편에 姓募名秦 또는 姓募名泰라 했다. 울진신라비(524)에는 牟即智寐錦王이라 되어 있고 울주진천리각석(539)에는 另卽知太王이라 되어 있다. 신라왕이 김씨 성을 쓰기 시작한 것은 565년에 북제에 보낸 사신 편에 金真興이라 칭하면서부터다. 이후 681년의 문무왕릉비에서는 흉노 왕자 김일제의 후손을 자처하였고 864년 대당고김씨부인묘명에서는 김일제의 후손이 요동으로 이주해온 내력을 자세히 설명해 놓았다.
5766 SHARED
 
0815 韓半島 → 倭
新撰姓氏録은 고대 일본의 왕경 및 주변 지역에 거주한 1천182씨의 본관, 사적, 조상의 유래 등을 실은 계보서다. 헤이안시대(794~1185)를 연 桓武 천황의 명으로 편찬을 시작해 815년에 완성됐다. 한반도계는 백제계가 202씨로 가장 많고, 고구려계 52씨, 신라계 48씨, 가야계 10씨, 고조선계 1씨다. 이렇게 볼 때 고대 일본 씨족 전체에서 한반도계는 26%에 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연민수 박사는 설명했다.
11254 SHARED
 
Name Dictionary
Names are also vocabulary.
 
0945 弁韓 → 新羅
구당서와 신당서에는 신라가 변한의 후예라고 되어 있다.
1763#5807 SHARED COMMENT
 
1066~1086 Norman Conquest of Britain
1066~1086 Norman Conquest of Britain
24890 SHARED
 
History of England
24887 SHARED
 
中國 → 韓國
중국계 한국인 성씨는 매우 많다.
11054 SHARED
 
新羅의 기원에 대한 다양한 주장
新羅의 기원에 대한 다양한 주장
3725 SHARED COMMENT
 
동북아 유민의 큰 흐름
고대 동북아 유민의 가장 큰 흐름은 중국, 특히 연나라에서 조선 또는 낙랑으로 유민이 흘러가고 또 조선 또는 낙랑에서 진한 또는 신라로 유민이 흘러가는 경향이다. 그 중에서 특히 진나라가 붕괴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유민이 주목된다. 이들은 연, 제 그리고 조나라 사람들이지만, 위만의 사례를 통해 짐작해 볼 수 있듯이, 한반도와 인접한 연나라 사람이 가장 많았을 것이다. 그들의 일부는 조선에 남아 위만조선을 세웠고 일부는 한국으로 이주하여 진한에 정착하였다 ...
5814 SHARED COMMENT
 
초원에서 오지 않았다
낙동강 유역에서 성장한 가라와 신라는 고고학적 양상이 백제나 고려과는 이질적이고 초원과 닮은 점이 있다. 금동관, 적석목곽분 그리고 순장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래서 이들 두 나라를 초원에서 흘러온 세력이 세운 것으로 상상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기록에는 중국에서 대동강 유역을 거쳐 낙동강 유역으로 유민이 흘러왔다는 이야기는 있어도 초원에서 흘러왔다는 이야기는 없다. 따라서 고고학적 양상은 문화의 전파에 의한 것으로 설명하는 것이 합당하다.
1763#10638 SHAR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