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la > sources > 地理志 > -0018 漢水·漢城·漢山 > 北漢山
 
 東北亞 古代史 槪念圖
東北亞 古代史 槪念圖
9516 SHARED
 
 漢水/漢城/漢山
漢水/漢城/漢山
5500 SHARED COMMENT
 
-0018 고전기(古典記)
동명왕의 셋째 아들인 온조가 전한 홍가 3년 계묘년에 졸본부여에서 위례에 이르러 도읍을 정하고 왕이라 칭하였다.
1876 SHARED COMMENT
 
-0018 三國史記(1145)
한산(漢山)에 이르러 부아악(負兒嶽)에 올라가 살 만한 곳을 바라보았다. ▐ 당시의 한산은 지금의 남한산이고 당시의 북한산은 지금의 아차산이며 부아악은 지금의 북한산이다. 이 기록은 잘못된 듯하다.
1833 SHARED COMMENT
 
-0006 三國史記(1145)
여름 5월에 왕이 신하들에게 말했다. “동쪽에는 낙랑이 있고 북쪽에는 말갈이 있다. 그들이 변경을 침공하여 편안한 날이 없다. 하물며 요즈음에는 요사스러운 징조가 자주 보이고 어머님이 세상을 떠나셨으며 나라의 형세가 불안하다. 반드시 도읍을 옮겨야겠다. 내가 어제 순행하는 중에 한수(漢水)의 남쪽을 보니 토양이 비옥하였다. 따라서 그곳으로 도읍을 옮겨 영원히 평안할 계획을 세워야겠다.”
5504 SHARED COMMENT
 
-0006 三國史記(1145)
‘동유낙랑(東有樂浪)’은 춘천의 토착 집단 즉, 군현의 부용 세력으로 있던 맥국(貊國)을 낙랑으로 호칭한 것과 관련이 있다(정약용, 여유당전서). 낙랑군은 춘천의 토착 세력을 내세워 분치하였는데 춘천 지역의 맥인들이 낙랑을 자칭한 것으로 보고 있다(김기섭, 삼국사기 백제본기에 보이는 말갈과 낙랑의 위치에 대한 재검토).
5505 SHARED COMMENT
 
-0006 三國史記(1145)
백제가 처음에 한수 이북에 도읍을 정했다가 한수 이남으로 옮겼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서울 광진은 '동쪽에는 낙랑이 있고 북쪽에는 말갈이 있어 그들이 변경을 침공하여 편안한 날이 없는' 조건에 부합한다. 말갈이 있었다고 추정되는 철원에서 연천이나 포천을 거쳐 중계천을 따라 내려오면 바로 이곳에 이른다. 춘천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자칭 낙랑이 침략할 때도 서울 송파에 비해 이곳이 쉽다.
4257 SHARED COMMENT
 
0032~0037 東有樂浪
왕 최리가 32년에 고려의 호동 왕자에게 딸을 시집보냈다가 37년에 고려의 침공을 받아 나라가 망하자 그 유민이 신라로 흘러간 낙랑은 36년, 14년 그리고 4년에 신라를 침공한 낙랑이다. 이 낙랑은 -2년에 백제를 침공하고 -8년에 말갈로 하여금 백제를 침공하게 한 낙랑이기도 하다. -6년에 백제는 이 낙랑을 東有樂浪이라 했다.
7544 SHARED
 
0371 고전기(古典記)
13대 근초고왕 때인 함안 원년에 이르러 고구려의 남평양(南平壤)을 빼앗아 도읍을 북한성(北漢城, 지금의 楊州)으로 옮겨 105년을 지냈다. ● 근초고왕이 침공한 평양은 대동강변에 있는 평양이다. 그때 고국원왕이 전사했는데 그가 북한산까지 내려와 머무르고 있지는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백제 초기에 외침을 피해 한수 이북 위례성에서 한수 이남 한산으로 도읍을 옮겼는데 굳이 다시 되돌아간다는 것도 자연스럽지 않다.
4267 SHARED COMMENT
 
0371 고전기(古典記)
389년이 지나 13세 근초고왕에 이르러 고구려 남쪽에 있는 평양(平壤)을 취하고 한성(漢城)에 도읍했다. ● 여기서 말하는 평양은 남평양 즉, 북한산을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한성도 북한성 즉, 북한산을 말한다. 잘못된 기록이다.
5507 SHARED COMMENT
 
0396 광개토왕릉비(廣開土王陵碑 414)
396년 왕이 친히 군을 이끌고 백잔국을 토벌하였다. ... 아단성(阿旦城, 阿且城이라고도 표기되어졌는데 서울의 광나루 북쪽 기슭에 있는 峨嵯山城으로 비정된다.) ... 백잔이 의에 복종치 않고 감히 나와 싸우니 왕이 크게 노하여 아리수를 건너 정병을 보내어 그 수도에 육박하였다. 곧 그 성을 포위하였다. 이에 잔주가 곤핍해져, 남녀생구 1천 명과 세포 천 필을 바치면서 왕에게 항복하고 ...
5508 SHARED COMMENT
 
0475.09 三國史記(1145)
고구려 왕 거련(장수왕)이 군사 3만 명을 거느리고 와서 수도 한성(漢城)을 포위했다. 왕이 싸울 수가 없어 성문을 닫고 있었다. 상황이 어렵게 되자 왕은 어찌할 바를 모르고 기병 수십 명을 거느리고 성문을 나가 서쪽으로 도주하려 하였으나 ... 고구려 장수 걸루 등이 개로왕을 보고 말에서 내려 절을 하고 왕의 낯을 향하여 세 번 침을 뱉고서 죄목을 따진 다음 아차성(阿且城) 밑으로 묶어 보내 죽이게 하였다.
5509 SHARED COMMENT
 
0551 日本書紀(720)
是歲 百濟聖明王 親率衆及二國兵二國謂新羅·任那也 往伐高麗 獲漢城之地 又進軍討平壤³ 凡六郡之地 遂復故地 백제 성명왕이 몸소 군사 및 신라와 임나 두 나라의 병사를 거느리고 고려를 정벌하여 한성의 땅을 차지하였다. 또 진군하여 평양³을 토벌하였는데, 무릇 옛 땅 6군을 회복하였다. ▐ 여기에 나오는 平壤을 대동강 유역의 平壤²으로 보기에는 정황상 무리가 있기 때문에 오늘날 서울 광진구에 있었던 平壤³으로 보는 게 자연스럽다.
5510 SHARED COMMENT
 
0551 三國史記(1145)
진흥왕이 거칠부 및 대각찬 구진, 각찬 비태, 잡찬 탐지, 잡찬 비서, 파진찬 노부, 파진찬 서력부, 대아찬 비차부, 아찬 미진부 등 여덟 장군에게 백제와 더불어 고구려를 침공하도록 명령을 내렸다. 백제 사람들이 먼저 平壤³을 공격하여 깨뜨렸다. 거칠부 등은 승리를 틈타서 죽령 바깥, 고현 이내의 10군을 빼앗았다.
1880 SHARED COMMENT
 
0552 日本書紀(720)
백제가 한성(漢城)과 평양(平壤)을 버렸다. 이로 말미암아 신라가 한성에 들어가 살았으니 현재 신라의 우두방과 니미방이다.
5511 SHARED COMMENT
 
0555.10 三國史記(1145)
진흥왕이 북한산(北漢山)에 순행하여 강역을 넓혀 정하였다.
1909 SHARED COMMENT
 
0557 三國史記(1145)
신주(新州)를 폐지하고 북한산주(北漢山州)를 설치하였다.
1910 SHARED COMMENT
 
0568 북한산新羅진흥왕순수비
대부분의 학자들은 비문 중에 ‘南川軍主’란 표현을 단서로 하여 568년 10월 이후로 본다. 한편 일부 학자는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진흥왕이 한강유역을 영토로 차지한 후인 555년에 북한산을 순행하였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555년에 비를 건립하였다고 보기도 한다. 비문의 일부를 '路過漢城'으로 판독하는 학자도 있다.
38056 SHARED COMMENT
 
0568.10 三國史記(1145)
북한산주(北漢山州)를 폐지하고 남천주(南川州)를 설치하였다.
1893 SHARED COMMENT
 
0603.08 三國史記(1145)
영양왕이 장군 고승을 보내 신라 북한산성(北漢山城)을 공격하였다. 신라 진평왕이 병력을 이끌고 한수(漢水)를 건너오니, 성안에서는 북을 치고 떠들썩하게 서로 호응하였다. 고승이 저들은 수가 많고 우리는 적어 이기지 못할 것을 두려워하여 퇴각하였다.
1890 SHARED COMMENT
 
0604 三國史記(1145)
남천주(南川州)를 폐지하고 북한산주(北漢山州)를 다시 설치하였다.
1889 SHARED COMMENT
 
0661.05.09 三國史記(1145)
고구려의 장군 뇌음신이 말갈의 장군 생해와 함께 군사를 합하여 술천성을 공격해 왔다. 이기지 못하자 북한산성(北漢山城)으로 옮겨가서 공격하는데, 포차를 벌여놓고 돌을 날리자, 그것에 맞는 성가퀴나 건물은 그대로 부서졌다. 그러나 식량이 다 떨어지고 힘이 지쳐서 지극한 정성으로 하늘에 빌었더니 갑자기 큰 별이 적의 진영에 떨어지고 또 천둥과 비가 내리며 벼락이 쳤으므로 적이 두려워서 포위를 풀고 물러갔다.
1924 SHARED
 
0825.01 三國史記(1145)
春正月 憲昌子梵文與髙逹山賊夀神等百餘人 同謀叛 欲立都於平壤³ 攻北漢山州 都督聦明率兵 捕殺之 平壤³今楊州也 太祖製□義寺齋文 有高麗舊壤平壤³名山之句 헌창의 아들 범문이 고달산 산적 수신 등 1백여 명과 반역을 모의하고 평양³에 수도를 세우고자 북한산주를 공격하니, 도독 총명이 병사들을 이끌고 그를 잡아 죽였다. 평양³은 지금의 양주이다. 왕건이 지은 장의사 제문에, “고려의 옛 땅이요 평양³의 명산이다.”라는 구절이 있다.
1896 SHARED COMMENT
 
1145 三國史記
부아악(負兒岳) 북한산주(北漢山州) ▐ 삼한시대의 北漢山은 지금의 아차산이다.
1900 SHARED COMMENT
 
1145 三國史記
漢陽郡 夲髙句麗北漢山郡 一云平壤³ 眞興王爲州 置軍主 景徳王改名 今楊州舊墟 한양군은 본래 고구려 북한산(평양³이라고도 한다)이었는데 진흥왕이 주로 삼고 군주를 두었다. 경덕왕이 이름을 고쳤으며 지금은 양주 옛 터이다.
4278 SHARED COMMENT
 
1451 高麗史
남경유수관 양주는 본래 고구려의 北漢山郡(南平壤城이라고도 한다)으로 백제의 근초고왕이 차지하였다. 근초고왕 25년에 南漢山에서 도읍을 옮겼다. 개로왕 20년에 이르러 고구려 자비왕이 쳐들어와서 漢城을 포위하자 개로왕이 나와 도망하다가 고구려 군사에게 살해되었다. 그 해 아들 문주왕이 熊津으로 도읍을 옮겼다. 뒤에 신라 진흥왕 15년에 北漢山城으로 와서 국경을 정하였다. 진흥왕 17년에 北漢山州를 창설하고 軍主를 두었다. 경덕왕 14년에 漢陽郡으로 고쳤다
1855 SHARED COMMENT
 
1451 高麗史
장한성(長漢城)은 신라의 국경인 한산(漢山)의 북쪽, 한강(漢江) 가에 있었다. 신라가 중진(重鎭)을 설치하였다가, 뒤에 고구려에게 점거되자 신라 사람들이 군사를 일으켜 그 성을 다시 찾고, 이 노래를 지어 그 공로를 기념하였다.
1894 SHARED COMMENT
 
1451 高麗史
문종 21년(1067)에 승격시켜 남경유수관(南京留守官)이 되었는데, 근처 고을의 백성을 이주시켜 채웠다. 숙종 원년(1096)에 위위승동정 김위제가 도선밀기(道詵密記)에 의거하여 남경(南京)으로 천도할 것을 요청하면서 양주에 목멱양(木覓壤)이 있어 도성을 세울 만하다고 말하였다.
1921 SHARED COMMENT
 
1451 高麗史
三角山(신라에서는 負兒嶽이라 불렀다), 漢江(곧 沙平渡이다), 楊津(신라 때의 北瀆인 漢山河로서, 中祀에 올라 있었다)이 있다.
1922 SHARED COMMENT
 
2016 아차산성 발굴
1990년대 두 차례 시굴조사에서 확인된 ‘한(漢)’ ‘북한(北漢)’ ‘국(國)’ ‘관(官)’ 등의 명문 자료와 함께 이번에 ‘산성(山城)’ ‘북한산성(北漢山城)’이라고 쓰여진 기와가 처음으로 출토됐다. 신라가 아차산성을 점유한 후 북한산성으로 부르며 운영돼 왔다는 걸 다시 확인할 수 있는 명문자료다.
1919 SHARED COMMENT
 
Name Dictionary
Names are also vocabulary.
 
北漢山
아차산에서 신라 유적과 함께 北漢山城이라는 명문의 기와가 발견됨으로써 아차산이 신라의 북한산이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원래 백제의 영역이었는데, 고려가 차지해서 北漢山郡을 설치하고 平壤이라 부르기도 했다. 신라가 차지해서는 新州에 소속시켰다가 557년에 신주를 폐하고 이곳에 北漢山州를 설치했다. 568년에 북한산주를 폐하고 南川州를 설치했다가 604년에 다시 남천주를 폐하고 북한산주를 설치했다. 경덕왕때는 漢陽郡으로 바꾸었다. 왕고때 이곳은 楊州였다.
5501 SHARED COMMENT
 
아차산성 장대지
아차산성 장대지
6200 SHARED COMMENT
 
중랑천
중랑천은 임진강 유역에서 한강으로 내려오는 통로의 역할을 했다. 그 끝에 아차산이 있고 거기서 양나루를 건너면 풍납토성이다.
9517 SHARED COMMENT
 
풍납토성
1238 SHARED
 
한양이란 이름의 비밀
신라의 북독은 양나루인 漢山河(한산하)였고, 동독은 영일군의 곡강천 또는 형산강 하류로 추정되는 吐只河(토지하), 남독은 양산군 낙동강가의 가야나루에 있었던 黃山河(황산하), 서독은 공주의 금강에 있었던 熊津河(웅진하)였다.
4293 SHARED COM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