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la > -0195~0313 朝鮮·樂浪史 > 0313⁺ 中国의 朝鮮·樂浪

기원전 108년에 대동강 유역에 설치된 낙랑군은 서진 때까지 존속하다 313년에 고려에 병합되었다. 그러자 모용 선비가 그 유민을 받아 자신의 영토 내에 낙랑군을 설치하였다. 모용 선비의 연나라를 흡수한 북위 때에는 낙랑군이 요서의 영주에 있었는데 다시 하북의 남영주로 옮겨졌다. 대방은 낙랑과 이동 경로가 같고 조선은 북위 때 산해관 서쪽에 있었다.
 
0276 晉 平州
❶樂浪郡(❸朝鮮 屯有 渾彌 遂城 鏤方 駟望) ❷帶方郡(帶方 列口 南新 長岑 提奚 含資 海冥)
11611#4580 SIBLINGS CHILDREN 4580
 
0313 鮮卑·燕
樂浪帶方二郡 其民千餘家歸廆 廆爲之置❶樂浪郡
11611#9866 SIBLINGS CHILDREN 9866
 
0338 鮮卑·燕
❸朝鮮令昌黎孫泳帥眾拒趙┆❶樂浪太守鞠彭以境內皆叛 選鄉里壯士二百餘人共還棘城
11611#9870 SIBLINGS CHILDREN 9870
 
0432 魏
文通營丘遼東成周❶樂浪❷帶方玄菟六郡皆降 世祖徙其三萬餘戶於幽州
11611#11596 SIBLINGS CHILDREN 11596
 
0432 魏
二漢晉屬樂浪 後罷 延和元年徙❸朝鮮民於肥如復置屬焉
11611#9896 SIBLINGS CHILDREN 9896
 
0436 魏 平州
北平郡(❸朝鮮 新昌)
11611#10954 SIBLINGS CHILDREN 10954
 
0444 魏 營州
❶樂良郡(永洛 ❷帶方)
11611#11608 SIBLINGS CHILDREN 11608
 
0520~0525 營州 ❶樂浪郡
前漢武帝置 二漢晉曰樂浪 後改 罷 正光末復 治連城
11611#11618 SIBLINGS CHILDREN 11618
 
0520~0525 營州 樂浪郡 ❷帶方 正光末復屬
11611#11626 SIBLINGS CHILDREN 11626
 
0533 南營州 孝昌中營州陷 永熙二年置寄治英雄城
營丘郡(富平 永安 帶方) 樂良郡(永樂)
11611#32533 SIBLINGS CHILDREN 32533
 
0537 南營州 ❶樂浪郡 天平四年置
11611#32697 SIBLINGS CHILDREN 32697
 
0538~0539 南營州 營丘郡 ❷帶方 元象中置
11611#32698 SIBLINGS CHILDREN 32698
 
 樂浪, 帶方 그리고 朝鮮의 이동
樂浪, 帶方 그리고 朝鮮의 이동
대동강 유역에 설치되었던 낙랑과 대방은 대릉하 유역으로 옮겨졌다가 다시 역수 유역으로 옮겨졌다. 대동강 유역의 낙랑군에 소속되었던 조선현은 사라졌다가 난하 유역의 북평군 소속 현으로 나타난다.
11611#11610 SIBLINGS CHILDREN COMMENT 11610
 
0265 ~ 0316 西晉
0265 ~ 0316 西晉
11611#10917 SIBLINGS CHILDREN 10917
 
0265 晉書(648) 幽州 (7군국 34현 59020호)
范陽國(涿, 良鄉, 方城, 長鄉, 遒, 故安, 范陽, 容城)┆燕國(薊, 安次, 昌平, 軍都, 廣陽, 潞, 安樂, 泉州, 雍奴, 狐奴)┆北平郡(徐無, 土垠, 俊靡, 無終)┆上谷郡(沮陽, 居庸)┆廣甯郡(下洛, 潘, 涿鹿)┆代郡(代, 廣昌, 平舒, 當城)┆遼西郡(陽樂, 肥如, 海陽)
11611#1856 SIBLINGS CHILDREN 1856
 
0276 솔까역사 晉書 平州
昌黎郡(昌黎, 賓徒)┆遼東國(襄平, 汶, 居就, 樂就, 安市, 西安平, 新昌, 力城)┆樂浪郡(朝鮮·周封箕子地, 屯有, 渾彌, 遂城·秦築長城之所起✘, 鏤方, 駟望)┆玄菟郡(高句麗, 望平, 高顯)┆帶方郡(帶方, 列口, 南新, 長岑, 提奚, 含資, 海冥) ▐ 遂城을 武遂와 혼동했다.
11611#32778 SIBLINGS CHILDREN 32778
 
0276 晉書(648) 平州
우임금 시절을 상고해 보면 기주 지역은 周의 유주가 되었고 漢의 우북평군과 접하였다. 後漢 말에 공손도가 스스로 평주목을 칭하였고 그의 아들 강, 강의 아들 문의가 멋대로 요동을 점거하고 동이 9종을 모두 복종시켰다. 曹魏가 동이교위를 양평에 두고 요동, 창려, 현토, 대방, 낙랑 5군을 갈라 평주로 만들었으나 나중에 다시 합하여 유주를 만들었다. 문의가 죽자 나중에 호동이교위를 양평에 두었다. 276년 10월에 평주를 설치하였다.
11611#9862 SIBLINGS CHILDREN 9862
 
0285 晉書(648)
至太康六年 為慕容廆所襲破 其王依慮自殺 子弟走保沃沮 모용외의 습격을 받아 패하여 부여왕 의려는 자살하고, 그의 자제들은 옥저로 달아나 목숨을 보전하였다. ▐ 모용외는 훗날 前燕을 세운 모용황의 아버지다.
11611#9868 SIBLINGS CHILDREN 9868
 
0286 晉書(648)
明年 夫餘後王依羅遣詣龕 求率見人還復舊國 仍請援 龕上列 遣督郵賈沈以兵送之 廆又要之於路 沈與戰 大敗之 廆眾退 羅得復國 爾後每為廆掠其種人 賣於中國 帝愍之 又發詔以官物贖還 下司冀二州 禁市夫餘之口
11611#3327 SIBLINGS CHILDREN 3327
 
0286 晉書(648)
부여후왕 의라는 하감에게 사자를 파견하여, 현재 남은 무리를 이끌고 돌아가서 다시 옛 나라를 회복하기를 원하며 원조를 요청하였다. 감은 전열을 정비하고 독우 매침을 파견하여, 군사를 거느리고 호송하게 하였다. 모용외 또한 그들을 길에서 기다리고 있었으나, 침이 외와 싸워 크게 깨뜨리니, 외의 군대는 물러가고 라는 나라를 회복하였다. 그 후에도 외는 매번 사람들을 잡아다가 중국에 팔아 먹었다. 황제는 그것을 가엾게 여기어 부여 사람의 매매를 금지시켰다.
11611#9869 SIBLINGS CHILDREN 9869
 
0294⁻ 晉書(648)
北虜侵掠北平以彬為使持節監幽州諸軍事領護烏丸校尉右將軍 復秦長城塞自溫城洎于碣石復秦長城塞自溫城洎于碣石綿亙山谷且三千里分軍屯守烽堠相望 북쪽 오랑캐가 북평을 침략하자 당빈(235~294)을 사지절 유주제군사 령호오환교위 우장군으로 임명하였다. 진장성과 요새를 복구했는데 온성에서 시작해서 갈석까지 3천리에 이어졌다. 군사를 나눠 주둔시키고 봉수로 서로 연락하게 하였다. ▐ 갈석산 동쪽은 실질적으로 모용 선비의 영역이 되었고 낙랑과 대방은 고립되었다.
11611#9873 SIBLINGS CHILDREN 9873
 
0294⁻ ◾碣石┆遂城┆新昌
遂城, 新昌 그리고 碣石山 모두 두 곳 이상의 지명에 사용되었는데 낙랑군 수성현에 있었다는 갈석산은 허구다.
11611#9967 SIBLINGS CHILDREN 9967
 
0294⁻ ◾碣石┆遂城┆新昌
0294⁻ ◾碣石┆遂城┆新昌
진서(648)에는 당빈이 溫에서 발해에 접한 碣石山까지 장성을 복구했다고 하나 통전(801)에는 武遂에서 진장성이 시작된다고 되어 있다.
11611#9871 SIBLINGS CHILDREN 9871
 
0296.08 三國史記(1145) 高句麗
모용외가 침략해왔다. 고국원에 이르러 서천왕의 무덤을 보고 사람을 시켜 파게 하였다. 파는 사람 중에 갑자기 죽는 자가 있고 또 무덤 안에서 음악소리가 들리므로 귀신이 있는가 두려워하여 곧 물러갔다.
11611#9875 SIBLINGS CHILDREN 9875
 
0300.03 三國史記(1145) 新羅
樂浪帶方两國歸服 낙랑과 대방 두 나라가 와서 항복하였다. ▐ 낙랑은 313년에, 대방은 314년에 각각 고려에 병합되었다. 이때는 단지 망하기 직전에 있던 낙랑과 대방의 난민들이 신라로 들어온 것이 아닐까?
11611#5570 SIBLINGS CHILDREN 5570
 
0302.09 三國史記(1145) 高句麗
왕은 군사 3만 명을 거느리고 현도군을 침략하여 8천 명을 붙잡아 平壤으로 옮겼다. ▐ 고려는 247년에 平壤城으로 도읍을 옮겼었다.
11611#9974 SIBLINGS CHILDREN 9974
 
0304~0329 前趙
0304~0329 前趙
11611#10940 SIBLINGS CHILDREN 10940
 
0307~0312  단부, 우문부 그리고 모용부
0307~0312 단부, 우문부 그리고 모용부
11611#9877 SIBLINGS CHILDREN 9877
 
0307~0312 梁書(636)
晉永嘉亂鮮卑慕容廆據昌黎大棘城元帝授平州刺史句驪王乙弗利頻寇遼東廆不能制 진나라 영가의 난리 때에 선비족의 모용외가 창려의 대극성을 점거하니 원제는 평주자사를 제수하였다. 구려왕 을불리가 자주 요동을 침범하였으나 외는 막을 수 없었다. ▐ 원제는 동진의 황제로 재위는 317년부터 323년까지다.
11611#9882 SIBLINGS CHILDREN 9882
 
0311 永嘉之亂
흉노가 서진의 도읍인 낙양을 점령하고 회제를 귀양보냈다. 이로써 서진 왕조는 실질적으로 멸망했다.
11611#5576 SIBLINGS CHILDREN 5576
 
0311 三國史記(1145) 高句麗
장수를 보내 요동 서안평을 공격하여 차지하였다.
11611#9881 SIBLINGS CHILDREN 9881
 
0311 晉書(648)
時二京傾覆幽冀淪陷廆刑政修明虛懷引納流亡士庶多襁褓負歸之廆乃立郡以統流人 冀州人為冀陽郡 豫州人為成周郡 青州人為營丘郡 併州人為唐國郡 두 서울이 무너지고 유주와 기주가 함락되었는데 모용외가 형벌을 밝게 하고 마음을 비워 사람들을 끌어안으니 떠돌던 많은 선비와 서민들이 아이를 업거나 짐을 지고 그에게 귀부했다. 그러자 모용외는 군을 세워 유민들을 다스리게 하니 기주인은 기양군, 예주인은 성주군, 청주인은 영구군 그리고 병주인은 당국군에 속하게 했다.
11611#9831 SIBLINGS CHILDREN 9831
 
0313 資治通鑑(1084)
遼東張統據樂浪帶方二郡與高句麗王乙弗利相攻連年不解 樂浪王遵說統帥其民千餘家歸廆 廆爲之置樂浪郡 以統爲太守遵參軍事 요동의 장통이 낙랑 대방 2군에 있으면서 고구려왕 을불과 서로 공격하여 여러 해 동안 풀리지 않았다. 낙랑의 왕준이 장통에게 권고하여 그 백성 1,000여 가를 이끌고 외에게 귀부케 하였다. 외가 이들을 위하여 낙랑군을 두고 장통을 낙랑태수로, 왕준을 낙랑군 참군사로 삼았다. ▐ 이 낙랑군은 탁발위의 영주 낙랑군으로 연결된다.
11611#4729 SIBLINGS CHILDREN 4729
 
0313.10 三國史記(1145) 高句麗
낙랑군을 침공하여 남녀 2천여 명을 포로로 잡았다.
11611#5585 SIBLINGS CHILDREN 5585
 
0313~0338 遼西國
단부 선비가 서진의 燕, 漁陽, 范陽, 上谷, 廣寧, 代, 遼西, 北平 8군을 차지하고 건립하였다.
11611#5581 SIBLINGS CHILDREN 5581
 
0313~0338┆北平
右北平郡,中國古郡名。戰國時燕國置。秦代郡治在無終縣(今天津薊縣)。西漢移治平剛縣(今內蒙古寧城縣甸子鎮黑城村黑城古城),隸屬於幽州刺史部。王莽時改稱北順。東漢時移治土垠縣(今河北省唐山市豐潤區東南)。西晉改右北平郡為北平郡。
11611#7464 SIBLINGS CHILDREN 7464
 
0313~0338┆遼西
秦漢治所在陽樂(今遼寧省義縣西)。轄今河北省遷西、樂亭,遼寧省松嶺山以東,長城以南,大凌河下游以西地區。 後轄境漸小,十六國前燕移治令支(今河北省遷安西),北燕移治肥如(今河北省盧龍縣北)。
11611#11058 SIBLINGS CHILDREN 11058
 
0314.09 三國史記(1145) 高句麗
남쪽으로 대방군을 침략하였다.
11611#7357 SIBLINGS CHILDREN 7357
 
0315 三國史記(1145) 高句麗
현도성을 공격하여 쳐부수고, 죽이고 사로잡은 자가 매우 많았다.
11611#9886 SIBLINGS CHILDREN 9886
 
0315 현도와 高句麗
0315 현도와 高句麗
현도군은 심양과 薩爾滸城 사이에 있었고 고구려현은 赫圖阿拉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1611#9887 SIBLINGS CHILDREN 9887
 
0316⁻ 百濟의 요서점유?
송서에는 고려가 요동을 차지하자 백제는 요서를 차지하고 진평군 진평현을 설치했다고 되어 있는데, 서진 말에 고려는 요동을 차지하지 못했고 백제가 요서를 차지하는 일은 불가능했다. 당시 창려, 요동 등 서진의 평주는 모용부 선비가 차지했고 요서, 북평 등 유주는 단부 선비가 차지했었다. 고려의 자리에 모용을 넣고 백제의 자리에 단을 넣어야 자연스럽다. 그리고 진평이란 지명은 존재하지 않으며 북평군이 있었을 뿐이다.
11611#1989 SIBLINGS CHILDREN OPEN
 
0317~0420 東晉→劉宋→蕭齊→蕭梁→陳
0317~0420 東晉→劉宋→蕭齊→蕭梁→陳
司馬睿에 의해 강남에 세워진 晉의 망명 왕조이다. 이후 북중국에서는 북방계의 다섯 민족이 세운 16개의 나라가 흥망을 거듭했고 남중국에서는 東晉이 劉宋, 蕭齊, 蕭梁, 陳으로 차례로 교체되었는데 이 시기를 남북조 시대라고 한다.
11611#8342 SIBLINGS CHILDREN 8342
 
0318~0321 晉書(648)
高句麗寇遼東廆遣眾擊敗之 고구려가 요동을 침략하자 모용외가 무리를 보내어 이를 물리쳤다.
11611#9840 SIBLINGS CHILDREN 9840
 
0333
0333
모용 선비는 모용황과 모용인으로 갈라졌었다.
11611#9977 SIBLINGS CHILDREN 9977
 
0333 晉書(648)
皝遣其弟建武幼 司馬佟壽等討之 황이 그 동생 건무장군 유와 사마 동수 등을 보내어 토벌하였다. 仁盡眾距戰 幼等大敗 皆沒於仁 인이 군대를 다하여 막아 싸우니, 유 등이 대패하므로 다 인에게 함몰되었다. ▐ 이때 동수는 仁에게 붙었다.
11611#9978 SIBLINGS CHILDREN 9978
 
0333 資治通鑑(1084)
皝賜昭死 遣軍祭酒封弈慰撫遼東 以高詡為廣武將軍 將兵五千與庶弟建武將軍幼 稚 廣威將軍軍 寧遠將軍汗 司馬遼東佟壽共討仁 與仁戰於汶城北 皝兵大敗 幼 稚 軍皆為仁所獲 壽嘗為仁司馬 遂降於仁
11611#11617 SIBLINGS CHILDREN 11617
 
0334.08 三國史記(1145) 高句麗
平壤城을 증축하였다.
11611#9971 SIBLINGS CHILDREN 9971
 
0336 資治通鑑(1084)
모용유(慕容幼), 모용치(慕容稚), 동수(佟壽), 곽충(郭充), 적해(翟楷), 방감(龐鑒)은 모두 동쪽으로 달아났다. 유(幼)는 도중에 돌아왔고 황(皝)의 군사가 추급하여 적해, 방감은 베어죽이고, 동수, 곽충은 고려로 달아났다.
11611#9902 SIBLINGS CHILDREN 9902
 
0337~0370 前燕
0337~0370 前燕
요서 일대에 살던 慕容선비는 307년 모용외가 선비대선우를 자칭하며 자립하였다. 그의 아들 慕容皝은 337년에 연왕을 칭하고 단부, 後趙, 고려, 우문선비 등과 경쟁하며 성장하였다. 341년에는 용성에 도읍하였으나 353년에는 鄴으로 옮겼다. 370년 前秦의 침공으로 멸망하였다. ※龍城-營州-柳城-朝陽
11611#7358 SIBLINGS CHILDREN 7358
 
0338 資治通鑑(1084)
朝鮮令昌黎孫泳帥眾拒趙 大姓王清等密謀應趙 泳收斬之 同謀數百人惶怖請罪 泳皆釋之 與同拒守 樂浪太守鞠彭以境內皆叛 選鄉里壯士二百餘人共還棘城
11611#13996 SIBLINGS CHILDREN 13996
 
0338 遼寧省錦州市義縣
조선령 창려 손영은 무리를 거느리고 후조를 막았다. 대성 왕청 등이 비밀리에 모의하여 후조에 호응하니 왕청 등의 목을 베었다. 함께 모의한 수백명이 당황하고 두려워하여 죄를 청하니 손영은 이들을 모두 풀어주고 함께 막고 지켰다. 낙랑 태수 국팽이 자신의 경내 무리들이 모두 배반하자 향리에서 장사 200여명을 뽑아 함께 극성으로 돌아왔다. ▐ 義縣의 西北에 棘城이 있었다.
11611#15253 SIBLINGS CHILDREN 15253
 
0342 三國史記(1145) 高句麗
丸都城으로 옮겨 살았다.
11611#9973 SIBLINGS CHILDREN 9973
 
0342 모용황의 高句麗 침공
모용외의 아들 晃이 군대를 거느리고 공격하였다. 釗(고국원왕)는 더불어 싸우다 크게 패하여 단신으로 말을 타고 달아났다. 晃은 승리한 기세로 계속 추격하여 丸都에 이르러 궁실을 불지르고 남자 5만여구를 노략질하여 돌아왔다.
11611#9972 SIBLINGS CHILDREN OPEN
 
0343.02 三國史記(1145) 高句麗
고국원왕이 그의 동생을 연나라에 보내 신하를 칭하며 조회하고 진기한 물건 천여 점을 바쳤다. 연왕 모용황이 이에 그 아버지의 시신을 돌려보내고 그 어머니는 아직 남겨두어 인질로 삼았다.
11611#9904 SIBLINGS CHILDREN 9904
 
0343.07 三國史記(1145) 高句麗
移居平壤東黄城 城在今西京東木覔山中 평양 동쪽의 황성으로 옮겨 살았다. 성은 지금의 서경 동쪽 목멱산 중에 있다.
11611#9976 SIBLINGS CHILDREN 9976
 
0345 晉書(648)
句麗百濟及宇文段部之人皆兵勢所徙非如中國慕義而至鹹有思歸之心今戶垂十萬狹湊都城恐方將為國家深害 구려, 백제, 우문 그리고 단부의 사람들은 모두 병력을 이동시켰는데, 의를 사모하여 중국에 온 것이 아니니, 모두 고향을 그리워하고 돌아가려는 마음이 있습니다. 지금 호가 10만이나 도성에 몰려 좁을 지경이니 장차 국가에 깊은 해가 될까 두렵습니다.
11611#27406 SIBLINGS CHILDREN COMMENT 27406
 
0345 「솔까역사」 晉書
句麗(百濟→)扶餘及宇文段部之人皆兵勢所徙非如中國慕義而至鹹有思歸之心今戶垂十萬狹湊都城恐方將為國家深害 구려, 부여, 우문 그리고 단부의 사람들은 모두 병력을 이동시켰는데, 의를 사모하여 중국에 온 것이 아니니, 모두 고향을 그리워하고 돌아가려는 마음이 있습니다.
11611#9906 SIBLINGS CHILDREN 9906
 
0345 ◾
구려, 우문 그리고 단은 모두 모용 선비와 경쟁하던 주변 세력들이다. 여기에 백제는 어울리지 않는다. 그리고 모용 선비와 경쟁하던 주변 세력들 중에 부여가 빠졌다. 백제는 472년에 북위에 표문을 올려 부여의 후예임을 밝힌 이후 중국에서는 부여와 혼동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기록의 백제도 부여의 오기로 보인다. 모용선비는 285년에 부여를 멸망시켰는데, 부여 재건 시도는 이후 계속 이어졌다.
11611#7434 SIBLINGS CHILDREN 7434
 
0346 資治通鑑(1084)
初夫餘居於鹿山為百濟所侵部落衰散西徙近燕而不設備燕王皝遣世子俊帥慕容軍慕容恪慕輿根三將軍萬七千騎襲夫餘 처음에 부여가 녹산에 있었는데 백제의 침입을 받아 쇠약해져 서쪽으로 연나라에 가까운 지역으로 이동했는데 방어가 갖추어지지 않았다. 연왕 황이 세자 준, 모용각 그리고 모여근 세 장군으로 하여금 17000기를 이끌고 부여를 공격하게 했다.
11611#27409 SIBLINGS CHILDREN COMMENT 27409
 
0346 「솔까역사」 資治通鑑(1084)
初夫餘居於鹿山為(百濟→)高麗所侵部落衰散西徙近燕而不設備燕王皝遣世子俊帥慕容軍慕容恪慕輿根三將軍萬七千騎襲夫餘 처음에 부여가 녹산에 있었는데 고려의 침입을 받아 쇠약해져 서쪽으로 연나라에 가까운 지역으로 이동했는데 방어가 갖추어지지 않았다. ▐ 부여를 서쪽으로 밀어내는 일은 인접한 고려가 가능하고 백제는 불가능하다.
11611#9905 SIBLINGS CHILDREN 9905
 
0346 東史綱目(1778)
자치통감 진목제 영화 2년에는, “처음에 부여가 녹산에 있다가 백제(구려의 오류인 듯하다)의 침략을 받아 부락이 소산해지므로 서쪽으로 옮겨 燕에 근접하였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여러 말은 모두 중국에서 그릇 전문된 것인데, 억단하여 의견을 세워 놓은 것이다.
11611#1877 SIBLINGS CHILDREN COMMENT 1877
 
0350~0394  前秦
0350~0394 前秦
11611#7359 SIBLINGS CHILDREN 7359
 
0355.12 三國史記(1145) 高句麗
王遣使詣燕 納質修貢 以請其母 燕王雋許之 遣殿中將軍刀龕 送王母周氏歸國 以王爲征東大將軍營州刺史 封樂浪公 王如故 왕은 사신을 연나라에 보내 인질과 조공을 바치면서 어머니를 돌려보내 줄 것을 요청하였다. 연나라 왕 준이 이것을 허락하고 전중장군 조감을 보내 왕의 어머니 주씨를 본국으로 돌려보내고, 왕을 정동대장군 영주자사로 삼고, 낙랑공으로 봉하고, 왕호는 예전과 같게 하였다.
11611#34944 SIBLINGS CHILDREN COMMENT 34944
 
0384~0407 後燕
0384~0407 後燕
선비족 慕容垂가 건국한 나라다.
11611#7368 SIBLINGS CHILDREN 7368
 
0386~0534 北魏(拓跋魏)
0386~0534 北魏(拓跋魏)
선비족 탁발부가 건국한 나라다.
11611#7369 SIBLINGS CHILDREN 7369
 
0398~0436 幽州
398年,後燕遷都到龍城,原來治所在龍城的幽州改為司隸校尉,以遼西郡、燕郡、范陽郡、北平郡為幽州,治所在肥如縣(今河北省盧龍縣西北)。399年,增設建德郡、石城郡、冀陽郡,燕郡、范陽郡、北平郡被北魏占領。402年,改治令支縣(今河北省遷安市西)。403年,建德郡、石城郡、冀陽郡另設冀州。北燕建立後,令支縣被北魏占領,幽州僑置肥如縣,和冀州同城而治。436年,魏太武帝滅北燕,廢除幽州。
11611#11609 SIBLINGS CHILDREN 11609
 
0407~0436 北燕
0407~0436 北燕
후연에서 풍발이 반란을 일으켜 황제 모용희를 죽이고 이전 황제의 양자였던 고운을 왕위에 앉혔다. 그러나 2년 뒤 고운이 살해되자 풍발이 난을 수습하고 자신이 왕위에 올랐다. 풍발이 죽자 풍발의 동생 풍홍이 풍발의 아들을 죽이고 왕위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북위의 침공을 받아 북연은 망하고 풍홍은 고려로 망명했다가 살해되었다.
11611#9832 SIBLINGS CHILDREN 9832
 
0413 三國史記(1145) 高句麗
遣長史髙翼 入晉奉表 獻赭白馬 安帝封王髙句麗王樂安郡公 장사 고익을 진나라에 보내 표를 올리고, 붉은 무늬있는 흰 말을 바쳤다. 안제가 왕(장수왕)을 고구려왕 낙랑군공으로 봉하였다.
11611#9833 SIBLINGS CHILDREN 9833
 
0432.08 魏書(554)
文通使數萬人出城挑戰,昌黎公元丘與河間公元齊擊破之,死者萬餘人。文通尚書高紹率萬餘家保羌胡固。己卯,車駕討紹,辛巳,斬之。詔平東將軍賀多羅攻文通帶方太守慕容玄於猴固,撫軍大將軍、永昌王健攻建德,驃騎大將軍、樂平王丕攻冀陽,皆拔之,虜獲生口,班賜將士各有差。 ▐ 연나라가 대방군을 설치하고 대방 태수를 두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대방군의 위치는 요령 의현 북부(辽宁义县北)로 추정된다.
11611#3740 SIBLINGS CHILDREN 3740
 
0432.09 魏書(554)
徙營丘成周遼東樂浪帶方玄菟六郡民三萬家于幽州 開倉以賑之 영구, 성주, 요동, 낙랑, 대방, 현도 6군의 주민 3만 가구를 유주로 옮기고 창고를 열어 식량을 나눠주었다. ▐ 북위는 북평군을 설치하고 조선과 신창 두 현을 두어 조선민을 조선현에 안집하였다. 이 조선민은 북위가 432년에 끌어온 3만 가구 중에 포함되어 있었을 것이다. 북평군은 모두 430호 1836구였으므로 북연의 낙랑군에 조선인이라는 정체성을 가지고 있던 집단이 수백 가구 있었던 듯하다.
11611#3723 SIBLINGS CHILDREN 3723
 
0432.09 魏書(554)
延和元年 世祖親討之 交通嬰城固守 文通營丘遼東成周樂浪帶方玄菟六郡皆降 世祖徙其三萬餘戶於幽州
11611#15256 SIBLINGS CHILDREN 15256
 
0432.09⁺ 魏書(554) 註 朝鮮
二漢晉屬樂浪後罷 延和元年徙朝鮮民於肥如復置屬焉 조선현은 전후한과 서진 때에 낙랑에 속했는데 나중에 폐지했다. 432년에 조선인들을 비여로 옮기고 조선현을 설치하여 이들을 소속시켰다. ▐ 여기서의 비여는 넓은 의미로 보아야 한다.
11611#9979 SIBLINGS CHILDREN 9979
 
0432.09¦河北省盧龍縣
肥如縣為漢、曹魏和晉時縣名,隸屬遼西郡,其址在今河北省遷安市東部的萬軍山,為盧水(今沙河)和玄水(今青龍河)的交匯處。
11611#3597 SIBLINGS CHILDREN 3597
 
0432.12 魏書(554)
馮文通長樂公崇及其母弟朗 朗弟邈 以遼西內屬 文通遣將封羽圍遼西 풍홍의 아들 장락공 숭, 숭의 외삼촌 랑 그리고 랑의 동생 막이 요서를 들어 항복해 왔다. 풍홍이 장수 봉우를 보내 요서를 포위하였다.
11611#9980 SIBLINGS CHILDREN 9980
 
0433.01 魏書(554)
撫軍大將軍 永昌王健督諸軍救遼西 무군대장군 영창왕 건이 군사를 이끌고 요서를 구해주었다.
11611#9981 SIBLINGS CHILDREN 9981
 
0433.02 魏書(554)
詔兼鴻臚卿李繼 持節假馮崇車騎大將軍 遼西王 承制聽置尚書已下 賜崇功臣爵秩各有差 홍려경 이계에게 조서를 내려 지절 가 풍숭을 차기대장군 요서왕에 봉하고 상서 이하 관청을 설치하게 하였으며 숭을 공신으로 대우하고 다른 사람들에게도 상을 내렸는데 차등을 두었다.
11611#9982 SIBLINGS CHILDREN 9982
 
0436 ◾
호수로 보아 북위의 평주는 임시 행정 구역이다. 서진의 유주에 속했던 요서군과 북평군은 북위의 평주가 되었다. 이 평주 요서군에 소속된 현은 서진때와 같으나 북평군의 소속 현은 모두 바뀌었다. 북평군 조선현은 432년에 북연의 6군 3만 가구를 사민할 때 사민 중 조선민을 안집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다. 이 유래를 모르고 이곳을 조선의 초기 위치라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다.
11611#11620 SIBLINGS CHILDREN COMMENT 11620
 
0436 ◾新昌
前漢屬涿 後漢晉屬遼東 後屬 有盧龍山 전한 때는 탁에 속했고 후한과 서진 때는 요동에 속했으며 그 후 북평에 속했다. 노룡산이 있다. ▐ 新昌은 여러 개가 있는데 요동군에 속했던 신창은 요동군의 이동을 따라 요동에서 영주를 거쳐 남영주까지 이동하였다. 북평군의 이 신창은 연의 탁군에 북신성과 함께 있었다는 신창과 연결될 수 있다.
11611#6466 SIBLINGS CHILDREN 6466
 
0436 ◾昌新
前漢屬涿後漢晉屬遼東後屬 溫校:「按此縣亦後魏僑置,當從朝鮮注為例。且營州遼東郡新昌縣『二漢晉屬』。此復書『後漢、晉屬遼東』,而以前漢涿郡之新昌合而為一,牴牾甚矣。《漢志》〈卷二八下〉新昌,明是兩縣。一屬涿郡,後漢省,今固安縣南三十里;一屬遼東,在今海城縣東。」
11611#6517 SIBLINGS CHILDREN 6517
 
0436 北燕 패망
0436 北燕 패망
후연에서 풍발이 반란을 일으켜 황제 모용희를 죽이고 이전 황제의 양자였던 고운을 왕위에 앉혔다. 그러나 2년 뒤 고운이 살해되자 풍발이 난을 수습하고 자신이 왕위에 올랐다. 풍발이 죽자 풍발의 동생 풍홍이 풍발의 아들을 죽이고 왕위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북위의 침공을 받아 북연은 망하고 풍홍은 고려로 망명했다가 살해되었다.
11611#11607 SIBLINGS CHILDREN 11607
 
0436 拓跋魏
0436 拓跋魏
11611#2786 SIBLINGS CHILDREN 2786
 
0436 魏書(554) 平州
平州領郡二縣五遼西郡領縣三肥如陽樂海陽北平郡領縣二朝鮮新昌 평주(2군,5현) - 요서군(537호 1905구,비여,양악,해양), 북평군(430호 1836구,조선,신창).
11611#3556 SIBLINGS CHILDREN 3556
 
0436± ◾요서군과 북평군 내력
위서의 평주에는 요서군(비여,양악,해양)과 북평군(조선,신창)이 있었다. 高齊가 조선을 신창에 합치고, 요서군을 폐지하면서 해양을 비여에 합친 후 북평군에 넣어, 북평군에는 신창과 비여 두 현이 있게 되었다. 隋는 586년에 비여를 신창에 합쳐, 북평군에는 신창 하나만 남게 되었다. 隋는 598년에 신창을 노룡으로 개명하였다. 隋는 605년 이후 다시 북평군을 설치하였다. 마침내 북평군에는 노룡현 하나만 있게 되었다.
11611#15104 SIBLINGS CHILDREN 15104
 
0444 魏書(554) 營州
真君五年改置 444년에 주가 되었다. 營州領郡六縣十四昌黎郡領縣三龍城廣興定荒建德郡領縣三石城廣都陽武遼東郡領縣二襄平新昌樂良郡領縣二永洛帶方冀陽郡領縣二平剛柳城營丘郡領縣二富平永安 영주(6군,14현) - 창려군(201호,용성,광흥,정황), 건덕군(200호,석성,광도,양무), 요동군(131호,양평,신창), 낙랑군(219호,영락,대방), 기양군(89호,평강,유성), 영구군(182호,부평,영안).
11611#11612 SIBLINGS CHILDREN 11612
 
0444 遼寧省朝陽市
▐ 요동군과 낙랑군은 520~525년에 설치되었다. 설치가 늦고 호수가 적은 이유는 432년에 영구, 성주, 요동, 낙랑, 대방, 현도 6군의 3만 가구를 유주로 이주시켰기 때문이다. 대체로 서진의 평주가 북위의 영주가 되었는데, 평주의 창려군, 요동국 그리고 낙랑군은 각각 영주의 창려군, 요동군 그리고 낙랑군이 되었고 평주의 대방군은 현이 되어 영주의 낙랑군에 소속되었다. 북위는 이 영주를 528~530년에 잃었다가 534~537년 초에 회복했다.
11611#15254 SIBLINGS CHILDREN 15254
 
0494 三國史記(1145) 高句麗
齊帝䇿王爲使持節散騎常侍都督營平二州征東大將軍樂浪公 제나라 황제가 왕을 사지절 산기상시 도독영평이주 정동대장군 낙랑공으로 책봉하였다.
11611#9903 SIBLINGS CHILDREN 9903
 
0508 三國史記(1145) 高句麗
梁髙祖下詔曰 髙句麗王樂浪郡公某 乃誠款著 貢驛相尋 冝豊秩命 式弘朝典 可撫軍 一作東大將軍開府儀同三司 양나라 고조가 조서를 내려 말하였다. "고구려왕 낙랑군공 모는 정성이 두드러지고 조공하는 길이 서로 이어졌으므로, 마땅히 관작을 후하게 주고 조정의 의전을 넓혀 무군대장군 개부의동삼사로 삼는다."
11611#9928 SIBLINGS CHILDREN 9928
 
0520~0525 營州 遼東郡
正光中復 520~525년에 복원되었다.
11611#14003 SIBLINGS CHILDREN 14003
 
0520~0525 營州 遼東郡 新昌
正光中復 520~525년에 복원되었다.
11611#11621 SIBLINGS CHILDREN COMMENT 11621
 
0520~0525 營州 樂浪郡
前漢武帝置 二漢 晉曰樂浪 後改 罷 正光末復 治連城 520~525년 말에 복원되었다. ▐ 219호 밖에 되지 않는데, 이는 432년에 유주로 대거 사민되었기 때문이다.
11611#14005 SIBLINGS CHILDREN 14005
 
0520~0525 營州 樂浪郡 帶方
正光末復屬 520~525년 말에 복원되었다.
11611#14006 SIBLINGS CHILDREN 14006
 
0520~0525 營州 樂浪郡 永洛
正光末置 有鳥山 520~525년 말에 설치되었다. ▐ 원래 낙랑군에는 조선현이 있었으나 432년에 낙랑군이 폐지되고 난하 유역에 조선현이 설치되어 평주 북평군에 소속되었기 때문에 낙랑군이 복원될 때 조선현 대신 생소한 이름의 영락현이 들어간 듯하다.
11611#14004 SIBLINGS CHILDREN 14004
 
0522 王基
君諱基 字洪業 樂浪遂城人也 其先出自有殷 周武王剋商 封箕子於朝鮮 子孫因而氏焉 六世祖波 燕儀同三司 武邑公 군의 휘는 기이고 자는 홍업이며 낙랑 수성인이다. 그 선조는 은으로부터 나왔으니 주무왕이 상을 정복하고 기자를 조선에 봉하였는데, 자손이 이로 인하여 성씨를 삼았다. 6세조 파는 연나라의 의동삼사 무읍공이며 ...
11611#15140 SIBLINGS CHILDREN 15140
 
0524~0529 취덕흥
524年,就德興和營州城民劉安定抓住營州刺史李仲遵,據州城反魏。城民王惡兒斬殺劉安定降魏,就德興東逃,自稱燕王。北魏朝廷派黃門侍郎盧同持節去營州慰勞,就德興降而復反。朝廷命盧同為幽州刺史兼尚書行台。盧同多次被就德興打敗,而回軍。526年,就德興攻陷平州,殺死刺史王買奴。529年十一月初二己卯日,就德興向北魏請降,營州平定。 ▐ 이 사건으로 남영주를 설치하게 된다.
11611#11366 SIBLINGS CHILDREN 11366
 
0528~0530 營州
永安末陷 528~530년 말에 무너졌다.
11611#14002 SIBLINGS CHILDREN 14002
 
0533 魏書(554) 南營州
南營州領郡五縣十一昌黎郡領縣龍城廣興定荒遼東郡領縣二太平新昌建德郡領縣石城廣都營丘郡領縣三富平永安帶方樂良郡領縣一永樂 남영주(5군,11현) - 창려군(509호,용성,광흥,정황), 요동군(565호,태평,新昌), 건덕군(178호,석성,광도), 영구군(512호,부평,영안,대방), 낙랑군(49호,영락). ▐ 요동군의 太平은 수서에 襄平으로 되어 있다. 낙랑군의 永洛은 永樂으로 한자가 바뀌어 있다. 이후의 기록은 永樂을 썼다.
11611#11616 SIBLINGS CHILDREN 11616
 
0533 南營州
孝昌中營州陷永熙二年置寄治英雄城 525~528년에 영주가 무너지자 533년에 설치하였다. 영웅성에 얹혀 있다.
11611#11622 SIBLINGS CHILDREN COMMENT 11622
 
0533 河北徐水县西遂城
南營州 英雄城
11611#14012 SIBLINGS CHILDREN 14012
 
0533 南營州 遼東郡
永熙中置 532~534년에 설치하였다.
11611#14007 SIBLINGS CHILDREN 14007
 
0533 南營州 遼東郡 新昌
永熙中置 532~534년에 설치하였다.
11611#14008 SIBLINGS CHILDREN 14008
 
0534 北魏➔東魏+西魏
0534 北魏➔東魏+西魏
北魏의 효무제는 高歡을 제거하려다 실패하자 낙양에서 장안으로 도피하여 宇文泰의 보호를 받았다. 그러자 고환은 鄴에서 효정제를 옹립하였다. 한편 우문태는 효무제를 독살하고 문제를 옹립하였다.
11611#6469 SIBLINGS CHILDREN 6469
 
...
솔직히 까놓고 말하는 역사
 
0534~0537 營州
天平初復 534~537년 초에 복원되었다.
11611#14001 SIBLINGS CHILDREN 14001
 
0537 南營州 營丘郡
天平四年置 537년에 설치하였다.
11611#13997 SIBLINGS CHILDREN 13997
 
0537 南營州 樂浪郡
天平四年置 537년에 설치하였다.
11611#14010 SIBLINGS CHILDREN 14010
 
0538~0539 南營州 營丘郡 帶方
元象中置 538~539년에 설치하였다.
11611#14009 SIBLINGS CHILDREN 14009
 
0539 樂浪郡朝鮮縣人韓顯度
元象二年四月十七日乐良郡朝鲜县人韩显度铭记 ▐ 북위가 설치한 낙랑군에는 조선현이 없었다. 낙양에서도 비슷한 시기의 樂浪遂城人 무덤이 여러 기 발견되는데, 이는 이들의 조상이 대동강 유역에 있던 낙랑 수성에서 왔다는 이야기일 뿐, 북위가 만든 낙랑군에는 수성현도 없었다. 한현도도 그의 조상이 대동강 유역의 낙랑 조선에서 왔다는 이야기일 뿐, 당시 이 지역에 낙랑군 수성현이 있었다고 볼 수 없다.
11611#15088 SIBLINGS CHILDREN 15088
 
0540 南營州 樂浪郡 永樂
興和二年置 540년에 설치했다.
11611#14011 SIBLINGS CHILDREN 14011
 
1209 記纂淵海
北燕置平州及樂浪郡後魏改樂浪為北平郡 북연이 평주 및 낙랑군을 두었다. 북위가 낙랑을 북평군으로 고쳤다. ▶서진이 우북평군을 북평군으로 이름을 바꾸었고 북위는 북평군이라는 이름을 그대로 썼으나 소속 현들은 서진의 북평군과 전혀 달랐다.
11611#15868 SIBLINGS CHILDREN 15868
 
北燕
11611#3596 SIBLINGS CHILDREN 3596
 
十六國春秋(0478~0525)
忠送之朝鮮歲餘饑窘遂變姓名客為縣卒朝鮮令崔岳見
11611#15247 SIBLINGS CHILDREN 15247
 
十六國春秋(0478~0525)
崔岳字符嵩為朝鮮令曜弱冠時遊洛陽坐事當誅亡匿朝鮮
11611#15248 SIBLINGS CHILDREN 15248
 
十六國春秋(0478~0525)
晉建武元年(317)拜冠軍將軍永昌初拜左賢王封望平侯率眾征伐累立奇功太寧末拜平北將軍進封朝鮮公
11611#15249 SIBLINGS CHILDREN 15249
 
十六國春秋(0478~0525)
咸康四年(338) 朝鮮令昌黎孫泳
11611#15250 SIBLINGS CHILDREN 15250
 
十六國行政區劃
11611#7362 SIBLINGS CHILDREN 7362
 
南營州
北魏孝昌年間營州陷,永熙二年(533年)僑置南營州,寄治英雄城(今河北徐水區西遂城)。領昌黎郡、遼東郡、建德郡、營丘郡、樂良郡五郡,11縣,1813戶,9036口。北齊僅領昌黎郡。隋文帝開皇初廢南營州。
11611#4372 SIBLINGS CHILDREN COMMENT 4372
 
平州
11611#9839 SIBLINGS CHILDREN 9839
 
平州
東漢時於東北方僅設幽州;漢獻帝時,公孫度自稱為平州州牧。三國曹魏分遼東郡、昌黎郡、玄菟郡、帶方郡、樂浪郡五郡為平州,之後又合併為幽州。 西晉咸寧二年十月,分昌黎、遼東、玄菟、帶方、樂浪等郡國五郡置平州。統縣二十六,戶一萬八千一百。永嘉之禍後到十六國時期,被慕容氏諸燕占據。313年,高句麗攻陷樂浪郡後,東夷校尉將平州遷至遼西的昌黎郡。 北魏滅北燕後,轄遼西、北平二郡。
11611#11383 SIBLINGS CHILDREN 11383
 
營州
北魏太平真君五年(444年)置,治所在龍城縣(隋朝時改名柳城縣,今遼寧省朝陽市)。隋朝開皇初年,置營州總管府,大業初年府廢。改為遼西郡。
11611#6448 SIBLINGS CHILDREN COMMENT 6448
 
임시 행정 구역
진서 주석에 각각 3700호와 4900호나 된다던 평주의 낙랑군과 대방군은 위서에서 영주 낙랑군 하나로 줄여져 219호만 남았다. 남영주로 옮겨가면서는 더 줄어 49호만 남았다. 이는 북위의 낙랑군이 이북5도청처럼 명목상의 행정구역이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진서 주석에 5천호나 된다던 유주 북평군이 위서에서 430호 밖에 되지 않는 평주 북평군이 된 것도 마찬가지다. 낙랑군에 속했던 조선이 북평군으로 소속이 바뀐 것도 이런 정황을 뒷받침한다.
11611#11382 SIBLINGS CHILDREN COMMENT 113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