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8년에 백제가 馬韓을 병합하면서 韓은 좁은 의미로 백제를 뜻하게 되었다.
백제의 동쪽 경계는, 백제와 대립하던 춘천의 東有樂浪이 337년에 고려에 병합된 사실로 짐작해 볼 수 있다.
왜는 397년에 백제로부터 東韓 등 대부분의 땅을 빼앗는데, 당시 백제의 도읍은 한성에 있었으므로 東韓은 한성의 동쪽에 있었을 것이다.
왜는 405년에 빼앗은 땅 중에서 가장 먼저 東韓을 돌려주는데, 이로 미루어보아 東韓은 한성에 가까이 있었던 듯하다. ↆ
•
0397.03 日本書紀(720)
百濟人來朝(百濟記云 阿花王立無禮於貴國 故奪我枕彌多禮 及峴南·支侵·谷那·東韓之地 是以 遣王子直支于天朝 以脩先王之好也)
백제인이 내조하였다. 백제기에는, “아화왕이 왕위에 있으면서 귀국에 예의를 갖추지 않았으므로 우리의 침미다례 및 현남·지침·곡나·동한의 땅을 빼앗았다. 이에 왕자 직지를 천조에 보내어 선왕의 우호를 닦게 하였다”고 되어 있다.
7271#13573
SIBLINGS
CHILDREN
13573
...
솔직히 까놓고 말하는 역사
•
0405 日本書紀(720)
百濟阿花王薨 天皇召直支王謂之曰 汝返於國以嗣位 仍且賜東韓之地而遣之(東韓者 甘羅城·高難城·爾林城是也)
백제의 아화왕이 죽었다. 천황은 직지왕을 불러, “그대는 본국으로 돌아가서 왕위를 잇도록 하라.”고 말하였다. 그리고 동한의 땅을 주어 보냈다. 동한은 감라성·고난성·이림성이다.
▐ 峴南·支侵·谷那·東韓 중에서 가장 먼저 東韓을 백제에게 되돌려준 것으로 보아 東韓은 峴南·支侵·谷那보다 한성에서 가까웠던 듯하다.
7271#13574
SIBLINGS
CHILDREN
13574
•
0477.03 日本書紀(720)
천황이 백제가 고려에게 패배했음을 듣고 久麻那利를 汶洲王에게 주어 그 나라를 구원해 일으키게 하였다. 일본구기에서는 “구마나리를 말다왕에게 주었다”고 하였는데, 아마도 잘못일 것이다. 구마나리는 임나국의 下哆呼唎현의 별읍이다.
▐ 405년에 백제에게 東韓을 주고 477년에 久麻那利를 주었으므로 東韓은 久麻那利의 북쪽에 있었을 듯하다.
7271#33441
SIBLINGS
CHILDREN
33441
•
0487 日本書紀(720)
是歲 紀生磐宿禰 跨據任那 交通高麗 將西王三韓 整脩官府 自稱神聖 用任那左魯那奇他甲背等計 殺百濟適莫爾解於爾林(爾林高麗地也) 築帶山城 距守東道 斷運粮津 令軍飢困 百濟王大怒 遣領軍古爾解內頭莫古解等 率衆趣于帶山攻 於是 生磐宿禰 進軍逆擊 膽氣益壯 所向皆破 以一當百 俄而兵盡力竭 知事不濟 自任那歸 由是 百濟國殺佐魯那奇他甲背等三百餘人
7271#33913
SIBLINGS
CHILDREN
33913
•
0487 日本書紀(720)
기생반숙니가 임나를 점거하고 고려와 교통하였으며, 서쪽에서 장차 삼한의 왕노릇하려고 관부를 정비하고 스스로 신성이라고 칭하였다. 임나의 좌로나기타갑배 등이 계책을 써서 백제의 적막이해를 이림에서 죽이고(이림은 고려의 땅이다) 대산성을 쌓아 동쪽 길을 막고 지켰으며, 군량을 운반하는 나루를 끊어 군대를 굶주려 고생하도록 하였다.
7271#33914
SIBLINGS
CHILDREN
33914
•
0487 日本書紀(720)
백제왕은 이에 크게 노하여 영군 고이해와 내두 막고해 등을 파견하여 군사를 거느리고 대산을 침공하도록 하였다. 그러자 생반숙녜가 군사를 내어 역습하였다. 기력이 더욱 강해져서 가는 곳마다 모두 깨뜨렸으며 하나가 백을 상대하는 기세였다. 그러다 갑자기 병사가 다하고 힘이 다하였다. 일이 원만히 끝나지 않을 것을 알고, 임나로부터 돌아왔다. 그러자 백제국은 좌로나기타갑배 등 3백여 인을 죽였다.
7271#13576
SIBLINGS
CHILDREN
13576
•
0487 ◾帶山
왜는 397년에 백제로부터 枕彌多禮及峴南·支侵·谷那·東韓之地를 빼앗았다가 405년에 백제에게 東韓(甘羅城·高難城·爾林城)을 돌려 주었다.
487년 시점에 爾林이 고려의 땅이라면 475년에 백제가 久麻那利로 쫓겨갈 때 고려가 東韓을 차지한 결과일 것이다.
487년 시점에 백제의 東道는 웅진의 동쪽에 있는 미호강을 따라 東韓의 爾林에 이르는 길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렇다면 帶山은 미호강의 하류가 어울린다.
7271#33941
SIBLINGS
CHILDREN
33941
•
0548.04 日本書紀(720)
백제는 중부 간솔 약엽례 등을 보내 “덕솔 선문 등이 칙을 받들어 신의 나라에 이르러 ‘구원병은 때에 맞춰 파견할 것이다.’라는 말을 전하였습니다. 삼가 은조를 받으니 기쁘기 그지없습니다. 그러나 馬津城 전투에서 사로잡은 포로가 ‘安羅國과 日本府가 불러들여 정벌하기를 권했다.’라고 말하였습니다. 엎드려 바라옵건대, 可畏天皇께서(西蕃皆稱日本天皇 爲可畏天皇 서번들은 일본 천황을 모두 황공하신 천황이라 칭한다) 먼저 조사하여 주십시오.”라고 상주하였다.
7271#33915
SIBLINGS
CHILDREN
33915
•
0550.04.01 日本書紀(720)
백제에 있는 일본의 사자가 바야흐로 돌아가고자 하였다. (백제본기에는 4월 1일 경진에 日本 阿比多가 돌아갔다고 한다.) 백제왕 성명이 사자에게 “임나의 일은 칙을 받들어 굳게 지키겠다. 延那斯와 麻都의 일은 문책할 것인지 아닌지는 오로지 칙에 따를 것이다.”라고 말하고 고구려 노 6구를 바치고 별도로 사자에게 노 1구를 주었다. (모두 爾林을 공격하여 사로잡은 노예다.)
7271#13575
SIBLINGS
CHILDREN
13575
•
⑥ 今勿内
今勿内(今勿奴 萬弩) → 黒壤(黄壤) → 鎭州
▐ 진천 분지의 물은 청주로 흘러가지만 험한 산지에 의해 두 지역은 분리되어 별개의 문화권을 형성했을 듯하다. 그 결과 진천은 이천과 함께 東韓으로 인식되고 청주는 대전 및 공주와 함께 峴南으로 인식되었을 수 있다.
7271#16227
SIBLINGS
CHILDREN
16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