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la > 0397 百濟記 > 東韓

308년에 백제가 馬韓을 병합하면서 韓은 좁은 의미로 백제를 뜻하게 되었다. 백제의 동쪽 경계는, 백제와 대립하던 춘천의 東有樂浪이 337년에 고려에 병합된 사실로 짐작해 볼 수 있다. 왜는 397년에 백제로부터 東韓 등 대부분의 땅을 빼앗는데, 당시 백제의 도읍은 한성에 있었으므로 東韓은 한성의 동쪽에 있었을 것이다. 왜는 405년에 빼앗은 땅 중에서 가장 먼저 東韓을 돌려주는데, 이로 미루어보아 東韓은 한성에 가까이 있었던 듯하다. ↆ
 
東韓
왜는 512년에 다시 대전, 논산, 부여 그리고 청주를 돌려주었다. 따라서 東韓은 이들 지역의 북쪽에 있었다.
7271#13592 SIBLINGS CHILDREN 13592
 
0236~0369
0236~0369
7271#13577 SIBLINGS CHILDREN 13577
 
0281~0337 樂浪
백제와 갈등 관계였던 東有樂浪은 춘천에 있었던 樂浪郡의 부용국이었던 듯하다.
7271#13585 SIBLINGS CHILDREN 13585
 
0295 ❰❰ -0006 솔까역사 百濟
遣使馬韓 告遷都 마한에 사신을 보내 도읍을 옮긴다는 것을 알렸다. 遂畫定疆埸 北至浿河 南限熊川 西窮大海 東極走壤 마침내 국토의 영역을 확정하였으니 북으로는 패하에 이르고, 남으로는 웅천이 경계이며, 서로는 큰 바다에 닿고, 동으로는 주양에 이르렀다. ▐ 走壤은 오늘날의 춘천이다.
7271#13586 SIBLINGS CHILDREN 13586
 
0308 ❰❰ 0008 솔까역사 百濟
왕이 군사를 내어 겉으로는 사냥한다고 하면서 몰래 馬韓을 습격하여 드디어 그 國邑을 병합하였다. 오직 圓山과 錦峴 두 성만은 굳게 수비하고 항복하지 않았다.
7271#13591 SIBLINGS CHILDREN 13591
 
...
솔직히 까놓고 말하는 역사
 
0309.04 ❰❰⁵ 0009 솔까역사 百濟
二城降 移其民於漢山之北 馬韓遂滅 두 성이 항복하였다. 그곳의 백성들을 한산 북쪽으로 이주시켰다. 마한이 마침내 멸망하였다.
7271#16880 SIBLINGS CHILDREN 16880
 
0309.04 ◾圓山
7271#33943 SIBLINGS CHILDREN 33943
 
0337 ❰❰ 0037 솔까역사 新羅
髙句麗王無恤 襲樂浪²滅之 其國人五千來投 分居六部 고구려왕 무휼이 낙랑을 습격하여 멸망시켰다. 그 나라 사람 5천명이 투항해 오니 6부에 나누어 살게 하였다. ▐ 여기에 나오는 樂浪은 춘천에 있었던 東有樂浪으로 추정된다.
7271#13587 SIBLINGS CHILDREN 13587
 
0369~0475
0369~0475
7271#17798 SIBLINGS CHILDREN 17798
 
0397.03 日本書紀(720)
百濟人來朝(百濟記云 阿花王立無禮於貴國 故奪我枕彌多禮 及峴南·支侵·谷那·東韓之地 是以 遣王子直支于天朝 以脩先王之好也) 백제인이 내조하였다. 백제기에는, “아화왕이 왕위에 있으면서 귀국에 예의를 갖추지 않았으므로 우리의 침미다례 및 현남·지침·곡나·동한의 땅을 빼앗았다. 이에 왕자 직지를 천조에 보내어 선왕의 우호를 닦게 하였다”고 되어 있다.
7271#13573 SIBLINGS CHILDREN 13573
 
0405 日本書紀(720)
百濟阿花王薨 天皇召直支王謂之曰 汝返於國以嗣位 仍且賜東韓之地而遣之(東韓者 甘羅城·高難城·爾林城是也) 백제의 아화왕이 죽었다. 천황은 직지왕을 불러, “그대는 본국으로 돌아가서 왕위를 잇도록 하라.”고 말하였다. 그리고 동한의 땅을 주어 보냈다. 동한은 감라성·고난성·이림성이다. ▐ 峴南·支侵·谷那·東韓 중에서 가장 먼저 東韓을 백제에게 되돌려준 것으로 보아 東韓은 峴南·支侵·谷那보다 한성에서 가까웠던 듯하다.
7271#13574 SIBLINGS CHILDREN 13574
 
0449? 中原高麗碑
高麗大王이란 표현은 스스로를 고려라 불렀다는 사실을 말해주고, 新羅土內幢主란 표현은 건립 시기에 고려 군대가 신라 영토 내에 주둔하고 있던 실정을 알려주며, 신라를 東夷라고 부른 표현은 당시 고려의 천하관을 엿볼 수 있게 한다.
7271#13584 SIBLINGS CHILDREN 13584
 
0477.03 日本書紀(720)
천황이 백제가 고려에게 패배했음을 듣고 久麻那利를 汶洲王에게 주어 그 나라를 구원해 일으키게 하였다. 일본구기에서는 “구마나리를 말다왕에게 주었다”고 하였는데, 아마도 잘못일 것이다. 구마나리는 임나국의 下哆呼唎현의 별읍이다. ▐ 405년에 백제에게 東韓을 주고 477년에 久麻那利를 주었으므로 東韓은 久麻那利의 북쪽에 있었을 듯하다.
7271#33441 SIBLINGS CHILDREN 33441
 
0487 日本書紀(720)
是歲 紀生磐宿禰 跨據任那 交通高麗 將西王三韓 整脩官府 自稱神聖 用任那左魯那奇他甲背等計 殺百濟適莫爾解於爾林(爾林高麗地也) 築帶山城 距守東道 斷運粮津 令軍飢困 百濟王大怒 遣領軍古爾解內頭莫古解等 率衆趣于帶山攻 於是 生磐宿禰 進軍逆擊 膽氣益壯 所向皆破 以一當百 俄而兵盡力竭 知事不濟 自任那歸 由是 百濟國殺佐魯那奇他甲背等三百餘人
7271#33913 SIBLINGS CHILDREN 33913
 
0487 日本書紀(720)
기생반숙니가 임나를 점거하고 고려와 교통하였으며, 서쪽에서 장차 삼한의 왕노릇하려고 관부를 정비하고 스스로 신성이라고 칭하였다. 임나의 좌로나기타갑배 등이 계책을 써서 백제의 적막이해를 이림에서 죽이고(이림은 고려의 땅이다) 대산성을 쌓아 동쪽 길을 막고 지켰으며, 군량을 운반하는 나루를 끊어 군대를 굶주려 고생하도록 하였다.
7271#33914 SIBLINGS CHILDREN 33914
 
0487 日本書紀(720)
백제왕은 이에 크게 노하여 영군 고이해와 내두 막고해 등을 파견하여 군사를 거느리고 대산을 침공하도록 하였다. 그러자 생반숙녜가 군사를 내어 역습하였다. 기력이 더욱 강해져서 가는 곳마다 모두 깨뜨렸으며 하나가 백을 상대하는 기세였다. 그러다 갑자기 병사가 다하고 힘이 다하였다. 일이 원만히 끝나지 않을 것을 알고, 임나로부터 돌아왔다. 그러자 백제국은 좌로나기타갑배 등 3백여 인을 죽였다.
7271#13576 SIBLINGS CHILDREN 13576
 
0487 ◾帶山
0487 ◾帶山
왜는 397년에 백제로부터 枕彌多禮及峴南·支侵·谷那·東韓之地를 빼앗았다가 405년에 백제에게 東韓(甘羅城·高難城·爾林城)을 돌려 주었다. 487년 시점에 爾林이 고려의 땅이라면 475년에 백제가 久麻那利로 쫓겨갈 때 고려가 東韓을 차지한 결과일 것이다. 487년 시점에 백제의 東道는 웅진의 동쪽에 있는 미호강을 따라 東韓의 爾林에 이르는 길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렇다면 帶山은 미호강의 하류가 어울린다.
7271#33941 SIBLINGS CHILDREN 33941
 
0512 日本書紀(720)
백제가 사신을 보내어 조를 바쳤다. 따로 표를 올려 임나국의 上哆唎·下哆唎·娑陀·牟婁의 4현을 청했다. 표에 따라 임나의 4현을 주었다. ▐ 405년에 백제에게 東韓을 주고 512년에 4현을 주었으므로 東韓은 4현의 북쪽에 있었다. 上哆唎·下哆唎·娑陀·牟婁는 각각 대전·논산·부여·청주로 비정된다.
7271#13579 SIBLINGS CHILDREN 13579
 
0512.09 三國史記(1145) 百濟
고구려가 加弗城을 습격하여 빼앗고, 다시 군사를 옮겨 圓山城을 격파하니 죽이거나 약탈하여 간 것이 매우 많았다. 왕이 용감한 기병 3천 명을 거느리고 葦川 북쪽에 나가 싸우니 고구려 병사들이 왕의 군사가 적은 것을 보고 가벼이 여겨 진을 치지 않았으므로 왕이 기발한 작전을 써서 기습을 하여 크게 무찔렀다.
7271#1290 SIBLINGS CHILDREN COMMENT 1290
 
0548.04 日本書紀(720)
백제는 중부 간솔 약엽례 등을 보내 “덕솔 선문 등이 칙을 받들어 신의 나라에 이르러 ‘구원병은 때에 맞춰 파견할 것이다.’라는 말을 전하였습니다. 삼가 은조를 받으니 기쁘기 그지없습니다. 그러나 馬津城 전투에서 사로잡은 포로가 ‘安羅國과 日本府가 불러들여 정벌하기를 권했다.’라고 말하였습니다. 엎드려 바라옵건대, 可畏天皇께서(西蕃皆稱日本天皇 爲可畏天皇 서번들은 일본 천황을 모두 황공하신 천황이라 칭한다) 먼저 조사하여 주십시오.”라고 상주하였다.
7271#33915 SIBLINGS CHILDREN 33915
 
0548.04 ◾馬津
馬突(馬珍) ➔ 馬津 → 馬霊
7271#33446 SIBLINGS CHILDREN 33446
 
0550.01 三國史記(1145) 百濟
왕이 장군 달기를 보내 군사 10,000명을 거느리고 고구려의 道薩城을 공격하여 빼앗았다.
7271#29771 SIBLINGS CHILDREN 29771
 
0550.03 三國史記(1145) 百濟
고구려 군사가 金峴城을 포위하였다.
7271#1288 SIBLINGS CHILDREN 1288
 
0550.03 三國史記(1145) 新羅
백제가 고구려 道薩城을 쳐서 빼앗고 고구려가 백제 金峴城을 함락하였다. 왕이 두 나라 군사가 피로한 틈을 타 이사부에게 군사를 일으켜 공격하게 하여, 두 성을 취하여 증축하고 갑사를 머물게 하여 지켰다. 이때 고구려에서 파견한 군사들이 와서 금현성을 공격하였으나 이기지 못하고 돌아갔다. 이사부가 그들을 추격하여 크게 이겼다.
7271#1298 SIBLINGS CHILDREN 1298
 
0550.03 ◾道薩
薛·舌·薩·瑟·西는 상호 호환되므로 道薩은 道西(都盆)→都西→道安일 수 있다. 지금의 증평군 道安面이다.
7271#33942 SIBLINGS CHILDREN 33942
 
0550.03 ◾金峴
7271#33444 SIBLINGS CHILDREN 33444
 
0550.04.01 日本書紀(720)
백제에 있는 일본의 사자가 바야흐로 돌아가고자 하였다. (백제본기에는 4월 1일 경진에 日本 阿比多가 돌아갔다고 한다.) 백제왕 성명이 사자에게 “임나의 일은 칙을 받들어 굳게 지키겠다. 延那斯와 麻都의 일은 문책할 것인지 아닌지는 오로지 칙에 따를 것이다.”라고 말하고 고구려 노 6구를 바치고 별도로 사자에게 노 1구를 주었다. (모두 爾林을 공격하여 사로잡은 노예다.)
7271#13575 SIBLINGS CHILDREN 13575
 
0550.04.01 ◾爾林
삼국사기에 1월에 道薩城을 공격하여 빼앗았다고 되어 있으므로 爾林이 道薩城일 가능성이 생긴다.
7271#33948 SIBLINGS CHILDREN 33948
 
0553 솔까역사 新羅
取百濟東北鄙置(新興→)新州以阿湌武力爲軍主 백제의 동북쪽 변두리를 차지하고 신주를 설치하여 아찬 무력을 군주로 삼았다.
7271#13581 SIBLINGS CHILDREN 13581
 
0568 三國史記(1145)
北漢山州를 폐지하고 南川州를 설치하였다. ▐ 東韓에 어울린다.
7271#13589 SIBLINGS CHILDREN 13589
 
0649 三國史記(1145) 新羅
백제의 장군 은상이 무리를 거느리고 와서 石吐城 등 일곱 성을 공격하여 함락시켰다. 왕이 대장군 유신과 장군 진춘·죽지·천존 등에게 명하여 나아가 막게 하였다. 이곳저곳 옮겨 다니며 싸운 것이 열흘이 지났으나 해결되지 않았으므로 道薩城 아래에서 주둔하게 되었다.
7271#29795 SIBLINGS CHILDREN 29795
 
0757  東韓
0757 東韓
7271#33966 SIBLINGS CHILDREN 33966
 
0757 今勿
今勿 ➔ 今武 → 徳豊
7271#33977 SIBLINGS CHILDREN 33977
 
0757 今勿·陰達
今勿·陰達 ➔ 禦侮
7271#33978 SIBLINGS CHILDREN 33978
 
0757 今勿内·今勿奴
今勿内·今勿奴·萬弩 ➔ 黒壤·黄壤 → 鎭州
7271#33979 SIBLINGS CHILDREN 33979
 
0757 仍忽
仍忽 ➔ 隂城
7271#33981 SIBLINGS CHILDREN 33981
 
0757 仍斤內
仍斤內 ➔ 槐壤 → 槐州
7271#33974 SIBLINGS CHILDREN 33974
 
0757 娘子·娘臂
娘子谷·娘臂城 → □□ ➔ 西原 → 清州
7271#33975 SIBLINGS CHILDREN 33975
 
0757 未乙·託長·薍長
國原城·未乙省·託長城·薍長城 ➔ 中原京 → 忠州
7271#33973 SIBLINGS CHILDREN 33973
 
0757 道西
道西 ➔ 都西 → 道安
7271#33980 SIBLINGS CHILDREN 33980
 
1145 三國史記 今勿(6)
今勿 → 今武 → 徳豊 ┆ 今勿·陰達 → 禦侮 ┆今勿内·今勿奴·萬弩 → 黒壤·黄壤 → 鎭州
7271#33956 SIBLINGS CHILDREN 33956
 
1145 三國史記 加弗(3)
7271#29808 SIBLINGS CHILDREN 29808
 
1145 三國史記 缶谷(4)
7271#1296 SIBLINGS CHILDREN 1296
 
1145 三國史記 道薩(8)
7271#16907 SIBLINGS CHILDREN 16907
 
1145 三國史記 金峴(6)
7271#33944 SIBLINGS CHILDREN 33944
 
1145 三國史記 錦峴(3)
7271#33945 SIBLINGS CHILDREN 33945
 
1856~1861 東輿圖 東津江
7271#33946 SIBLINGS CHILDREN 33946
 
1856~1861 東輿圖 東津江
1856~1861 東輿圖 東津江
'築帶山城 距守東道 斷運粮津'에 어울리는 지리다. 城山이라 표기된 것은 지금의 燕岐 唐山城인 듯한데, 일본서기의 帶山城으로 어울린다.
7271#33963 SIBLINGS CHILDREN 33963
 
1856~1861 東輿圖 道西 → 都西 ➔ 道安
1856~1861 東輿圖 道西 → 都西 ➔ 道安
7271#33965 SIBLINGS CHILDREN 33965
 
2017 唐山城
7271#33952 SIBLINGS CHILDREN 33952
 
① 東韓
① 東韓
양평에서 충주에 이르는 남한강 주변과 산지에 의해 금강 유역에서 분리된 진천 분지가 하나의 문화권을 형성하여 東韓으로 인식된 듯하다.
7271#16230 SIBLINGS CHILDREN 16230
 
② 述川
述川·省知買 → 泝川 → 川寧┆骨乃斤 → 黃驍 → 黃驪┆楊椇·去斯斬 → 濵陽 → 楊根
7271#13590 SIBLINGS CHILDREN 13590
 
③ 南川
南川(南買) → 黃武 → 利川
7271#13588 SIBLINGS CHILDREN 13588
 
④ 國原
國原城(未乙省 託長城 薍長城) → 中原京 → 忠州
7271#13582 SIBLINGS CHILDREN 13582
 
⑤ 仍忽
仍忽 → 隂城 ▐ 음성의 물은 인근의 충주로 흘러들어가므로 남한강 문화권이다.
7271#16228 SIBLINGS CHILDREN 16228
 
⑥ 今勿内
今勿内(今勿奴 萬弩) → 黒壤(黄壤) → 鎭州 ▐ 진천 분지의 물은 청주로 흘러가지만 험한 산지에 의해 두 지역은 분리되어 별개의 문화권을 형성했을 듯하다. 그 결과 진천은 이천과 함께 東韓으로 인식되고 청주는 대전 및 공주와 함께 峴南으로 인식되었을 수 있다.
7271#16227 SIBLINGS CHILDREN 16227
 
娘子谷┆蛙山┆狗壤
신라는 초기에 금호강을 따라 내려가 낙동강에 이른 뒤, 낙동강을 따라 북쪽으로 올라가다 서쪽으로 소백산맥을 넘어 청주까지 팽창하던 백제와 만났다.
7271#13580 SIBLINGS CHILDREN 13580
 
帶山城 - 사적돌
7271#33445 SIBLINGS CHILDREN 33445
 
恩率高難延子
7271#33976 SIBLINGS CHILDREN 33976
 
사적돌
7271#33909 SIBLINGS CHILDREN 33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