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la > 半島의 古代 地名 > 喙(달) 達(달) 㖨(とく) 梁(도) 啄(たく) 涿(탁)

沙喙(524 봉평신라비)-沙㖨(720 일본서기)-沙梁(1145 삼국사기)-沙涿(1281 삼국유사)┆喙己呑·㖨己呑(720 일본서기)┆啄評(636 양서)-喙評(801 통전)┆㖨國·喙地(720 일본서기)-達伐·達句伐(1145 삼국사기) ▐ 달구벌과 서라벌의 지명에 나오는 喙·達·㖨·梁·啄·涿은 모두 같은 발음을 표기한 듯하다. 최치원은 신라인들이 연나라에서 온 사람들이기 때문에 북중국의 涿水에서 지명을 땄다고 했다.
 
0503 포항 냉수리 신라비
斯羅喙斯夫智王 사라의 달부 소속인 사부지왕┆沙喙至都盧葛文王 사달의 지도로 갈문왕┆喙尒夫智壹干支 달의 이부지 일간지┆沙喙壹夫智奈麻 사달의 일부지 내마┆喙眈須道使心訾公 달의 탐수도사 심자공┆喙沙夫那·斯利 달의 사부나와 사리┆沙喙蘇那支 사달의 소나지
29330#26835 SIBLINGS CHILDREN 26835
 
0524 울진 봉평 신라비
喙部 牟卽智 寐錦王 달부 모즉지 매금왕┆沙喙部 徙夫智 葛文王 사달부 사부지 갈문왕┆岑喙部 昕智 干支 잠달부 흔지 간지┆沙喙部 而粘智 太阿干支 사달부 이점지 태아간지┆沙喙部 十斯智 奈麻 사달부 십사지 내마
29330#26837 SIBLINGS CHILDREN 26837
 
0591 喙
29330#26818 SIBLINGS CHILDREN 26818
 
0591 喙 부리 훼/괴로워할 훼, 부리 달
뜻을 나타내는 口(입 먹다 말하다)部와 음을 나타내는 글자 彖(단→달)이 합하여 이루어졌다. 彖은 멧돼지의 상형이다.
29330#26819 SIBLINGS CHILDREN 26819
 
0591 彖
29330#215 SIBLINGS CHILDREN 215
 
0591 彖 판단할 단
29330#26834 SIBLINGS CHILDREN 26834
 
0636 梁書
其俗呼城曰健牟羅 其邑在內曰啄評 在外曰邑勒 亦中國之言郡縣也 國有六啄評 五十二邑勒┆왕성을 건모라라 부르며 그 읍이 안에 있는 것은 탁평이라 하고 밖에 있는 것은 읍륵이라 하니, 이것은 중국의 군현과 같은 말이다. 나라 안에는 6군데의 탁평과 52군데의 읍륵이 있다.
29330#26828 SIBLINGS CHILDREN 26828
 
0636 啄
啄는 일본서기(720)와 삼국사기(1145)에서 사용된 예가 없다.
29330#26815 SIBLINGS CHILDREN 26815
 
0636 啄┆쫄 탁┆부리 주
29330#30905 SIBLINGS CHILDREN 30905
 
0636 釋日本紀(1300⁻) 啄 → たく
29330#26816 SIBLINGS CHILDREN 26816
 
0720 日本書紀
㖨國(4)┆㖨己呑(4)┆沙㖨(6) ❶ 沙喙部(524 봉평신라비) = 沙㖨部(720 일본서기)
29330#26840 SIBLINGS CHILDREN OPEN
 
0720 㖨
29330#26814 SIBLINGS CHILDREN 26814
 
0720 㖨 잠깐 웃을 록(녹)
29330#30117 SIBLINGS CHILDREN 30117
 
0720 釋日本紀(1300⁻) 㖨 → とく
29330#26817 SIBLINGS CHILDREN 26817
 
0720 日本書紀
喙地(2)┆喙己呑(2) ❷ 喙己呑(720 일본서기) = 㖨己呑(720 일본서기)
29330#26854 SIBLINGS CHILDREN OPEN
 
0720 喙(일본서기) 喙地(2)┆喙己呑(2)
29330#26820 SIBLINGS CHILDREN 26820
 
0801 通典
城曰健牟羅 其邑在內曰喙評(喙呼穢反) 在外曰邑勒 亦中國之言郡縣也 國有六喙評 五十二邑勒 성을 침모라라 부르며 그 읍이 안에 있는 것은 달평이라 하고 밖에 있는 것은 읍륵이라 한다. 달평은 6군데, 읍륵은 52군데 있다. ❸ 啄評(636 양서) = 喙評(801 통전)
29330#26830 SIBLINGS CHILDREN 26830
 
1060 新唐書
謂城為侵牟羅 邑在內曰喙評 外曰邑勒 有喙評六 邑勒五十二┆성을 침모라라 부르며 그 읍이 안에 있는 것은 달평이라 하고 밖에 있는 것은 읍륵이라 한다. 달평은 6군데, 읍륵은 52군데 있다.
29330#26829 SIBLINGS CHILDREN 26829
 
1145 三國史記
達伐城을 쌓고 나마 극종을 성주로 삼았다. ❹ 㖨國·喙地(720 일본서기) = 達伐(1145 삼국사기)
29330#26860 SIBLINGS CHILDREN 26860
 
1145 三國史記
왕이 達句伐로 도읍을 옮기려 하다가 실행하지 못하였다.
29330#26826 SIBLINGS CHILDREN 26826
 
1145 達
29330#26831 SIBLINGS CHILDREN 26831
 
1145 達 통달할 달
29330#26832 SIBLINGS CHILDREN 26832
 
1145 三國史記
沙梁(18) ❺ 沙喙部(524 봉평신라비) = 沙㖨部(720 일본서기) = 沙梁部(1145 삼국사기)
29330#26838 SIBLINGS CHILDREN 26838
 
1145 梁
29330#26822 SIBLINGS CHILDREN 26822
 
1145 梁 들보 량(양)
29330#26823 SIBLINGS CHILDREN 26823
 
1281 三國遺事
최치원이 말하기를 “진한은 본래 연나라 사람으로서 도피해 온 자들이므로 涿水의 이름을 따서 그들이 사는 고을과 동리 이름을 沙涿·漸涿 등으로 불렀다.” 신라 사람들의 방언에 涿 자를 읽을 때 발음을 道라고 한다. 그러므로 지금도 혹 沙梁이라 쓰고 梁을 또한 道라고도 읽는다. ❻ 沙喙(524 봉평신라비) = 沙㖨(720 일본서기) = 沙梁(1145 삼국사기) = 沙涿(1281 삼국유사)
29330#26862 SIBLINGS CHILDREN 26862
 
1281 涿
29330#26865 SIBLINGS CHILDREN 26865
 
1281 涿┆칠 탁
29330#26866 SIBLINGS CHILDREN 26866
 
1281 拒馬河
涿水
29330#26863 SIBLINGS CHILDREN 26863
 
Pet Dictionary
What breed is this pet?
 
1281 涿鹿县
29330#26864 SIBLINGS CHILDREN 26864
 
달구벌의 어원
달은 닭의 경상도 사투리 발음이다. 달구는 다른 말과 연음될 때 발음의 편의상 묵음 ㄱ이 되살아나는 현상이다. 닭똥을 달구똥이라 발음하는 것은 그 사례다.┆일본서기에 나오는 卓國의 卓도 닭을 가리킨다고 한다.┆신라의 왕궁 터를 月城이라 부르고 그 내부의 연못도 月池라 부른 것도 모두 같은 연유로 본다. 月은 달(닭)을 훈독한데서 나온 표기이다.
29330#26813 SIBLINGS CHILDREN 26813

-